귀고리

귀고리

[ 耳飾 ]

귀고리 세부명칭

귀고리 세부명칭

귀고리는 ‘귀걸이’라고도 불리며 선사시대에서부터 꾸준히 사용되어 온 치레걸이의 일종으로, 금속문화(金屬文化)의 도입과 함께 천하석(天河石), 수정(水晶), 호박(琥珀) 등에서 금(金), 금동(金銅), 은(銀)으로 소재가 전환되어 다양한 형태의 금속제 귀고리가 유행하였다. 특히 금으로 제작된 귀고리가 가장 많고 그 장식미가 뛰어나 삼국시대에 매우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삼국시대의 귀고리는 1개의 고리로만 된 소환귀고리(素環耳飾)와 여러 꾸미개가 달려 장식이 화려한 드리개장식귀고리(垂飾附耳飾)가 있는데, 후자의 기본구조는 귀에 직접 거는 고리(主環)와 그 아래의 꾸미개로 구성된 중간식(中間飾), 가장 아래 매달리는 드리개(垂下飾)로 구성된다. 또한 고리는 굵기에 따라 굵은고리(太環)와 가는고리(細環)로 나뉘고, 중간식은 투작구체(透作球體), 반구체(半球體), 입방체(立方體), 구체(球體) 등이 있으며 드리개의 종류로는 심엽형(心葉形), 추형(錘形), 산치자형(山梔子形), 구체(球體) 등이 있다. 삼국은 각각 이들 형태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구려 귀고리(高句麗 耳飾)는 초기에는 고리로만 된 소환식이었으나 차츰 간략한 추형드리개(錘形垂下飾)가 달리고 고리의 형태도 굵은고리와 가는고리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후 중간식과 드리개를 갖춘 전형적인 삼국시대의 형식으로 발전하는데 고구려 귀고리의 가장 큰 특징은 고리 아래의 유환과 공구체의 중간식, 그리고 원추형드리개의 연결을 땜질을 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한편 약수리 벽화고분에서 출토된 것은 중간식이 없이 사슬로 이루어지고 공구체의 드리개가 달린 것으로 가야계통 귀고리와 유사하고, 집안 마선구 1호 출토품과 같은 굵은고리에 간략한 추형의 드리개를 단 형태는 경주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것과 같아 고구려 귀고리가 삼국에 끼친 영향을 짐작케 해준다.

신라 귀고리(新羅 耳飾)는 초기에는 경주 황남동 109호분 3·4곽 출토품과 같이 소환식이었으나 차츰 굵은고리와 가는고리가 고루 나타나며 중간식의 형태도 삼국 중 가장 다양하여 구체, 구체+반구체, 구슬모양, 입방체, 원통형 등이 있다. 드리개의 형태는 대개 심엽형이나 늦은 시기에는 펜촉형도 있다. 굵은고리귀고리의 변화과정은 경주 황오리 14-1호 출토품이 가장 이른 예로 중간식이 없이 심엽형수하식으로 연결되고 고리의 크기가 작으나, 점차 고리의 크기가 커지고 장식이 화려해져 경주 보문리 부부총 출토품과 같이 고리에 누금장식(鏤金裝飾)을 가하게 된다.

또한 중간식의 내부에 들어가는 연결금구가 금판에서 금사의 형태로 변화하고, 중간식을 구성하는 구체와 반구체 사이의 소환수가 늘어남과 함께 중간식에 장식하는 영락의 수가 늘어난다. 드리개의 형태도 장식이 없는 판을 이용하다 중간에 선을 넣는 단계에서 후기에는 테두리에 문양띠와 누금장식이 추가되는 형태로 변해간다. 가는고리귀고리는 굵은고리보다 중간식의 형태가 매우 다양하며 여러 유형이 공존하나 큰 변화의 흐름은 굵은고리귀고리와 같다.

가야 귀고리(伽耶 耳飾)는 모두 가는고리귀고리이며 사슬형의 연결금구의 끝에 공구체의 중간식이 가장 큰 특징이다. 드리개의 형태는 심엽형도 있지만 주로 열매모양의 주 모티브가 중심이고 이외에도 원추형, 잎사귀형태 등 다양한데, 가야의 귀고리는 신라에 비해 이처럼 드리개에 많은 비중을 두었으며 구성순서와 형태가 신라에 비해 정형화하지 않고 매우 다양하다. 가야 귀고리의 변화 흐름은 고리의 굵기가 점차 굵어지면서 중간식인 공구체의 중간에 각목문대가 추가되거나 누금장식이 가해지는가 하면 신라의 귀고리와 같은 영락장식이 생긴다. 드리개에는 원추형 혹은 펜촉형의 끝에 금립장식을 가미하는 등 장식이 화려해지는 변화가 생긴다

백제 귀고리(百濟 耳飾)는 신라, 가야에 비해 그 예가 매우 적은 편으로, 모두 가는고리귀고리이다. 백제 귀고리는 왕도의 변천에 따라 크게 3시기로 구분되는데 웅진도읍기의 귀고리가 가장 화려하고 형태와 제작기법에서 신라, 가야, 왜와의 유사도가 높아 국제적인 성격을 보인다. 한성도읍기의 귀고리로는 천안 용원 129호묘와 원주 법천리 1호묘, 서울 석촌동 86-화장유구 출토품 등이 있는데 중간에 각목문대가 없는 공구체와 원형 혹은 길죽한 심엽형드리개가 특징이다.

웅진도읍기에는 중간식의 형태가 반구체 혹은 유리옥이 사용되는 예가 많으며 연결금구는 금사이고 양끝을 횡으로 여러 번 감아 마무리하는 특징이 있다. 드리개는 심엽형이 많으며 자엽(子葉)을 갖춘 것도 있고 삼익형(三翼形) 혹은 사익형(四翼形)으로 장식된 예도 있다. 6세기 중엽 이후 사비도읍기에는 부여 능산리 운동장부지 32호묘, 49호묘, 왕궁지 출토품 등이 있는데 너비가 넓은 연결금구의 상부를 고리에 걸고 아래 쪽에는 자엽을 갖춘 심엽형드리개를 매달았는데 상·하 연결금구를 접합하여 만들고 형식이 획일화된다.

참고문헌

  • 三國時代 耳飾과 帶金具의 分類와 編年(李漢祥, 三國時代 裝身具와 社會相, 1999년)
  • 考古資料를 통해 본 우리 나라 古代의 冠(咸舜燮, 三國時代 裝身具와 社會相, 1999년)
  • 羽毛附冠飾의 始末(申大坤, 考古學誌 8. 1997년)
  • 高句麗考古學硏究(東潮, 1997년)
  • 신라와 가야의 裝身具(李仁淑, 韓國古代史論叢 3, 1992년)
  • 裝身具(윤세영, 한국사론 15, 국사편찬위원회, 198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