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수리 벽화고분

약수리 벽화고분

[ 南浦 藥水里 壁畵古墳 ]

지역 남포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약수리(舊地名 : 평남 강서군 약수리, 평남 대안시 약수리)에 위치한 고구려 벽화고분으로, 태성저수지 건설공사로 1958년에 발굴되었다. 저수지 부근에는 이외에도 강서대묘, 쌍영총, 태성리 1호분 등 중요한 고구려 벽화고분이 산재하고 있다. 약수리 벽화고분은 유실과 도굴로 인해 원형(原形)에 많은 손상을 입었으나 벽화는 비교적 잘 보존된 상태이다.

돌방(石室)은 언덕을 잘라내고 반지하에 남향으로 축조하였으며, 널길(羨道), 좌우 딸린방이 붙은 앞방(前室), 통로, 뒷방(後室) 등으로 이루어진 두방무덤(雙室墓)이다. 돌방은 앞방 2.6×2.8m, 뒷방 3.4×3.1m로서 모두 정방형(正方形)에 가깝다. 천장은 앞방과 뒷방 모두 활모양으로 내경(內傾)하다가 끝에 삼각고임을 얹은 활삼각고임식이다. 각 벽면은 다듬지 않은 크고 작은 돌을 쌓아 축조한 다음 회를 두텁게 발랐으며, 천장 마감으로 판돌을 사용하였다. 뒷방에는 북벽과 서벽에 붙여서 널받침(棺臺)을 설치하였다. 앞방 서북 모서리에도 장방형 대(臺)를 설치하였는데, 북벽에 무덤주인공이 그려진 것으로 보아 제단으로 여겨진다. 금귀고리, 금반지, 하트형 금제 장신구, 은반지, 관못 등이 출토되었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 및 사신(四神)인데, 발굴 당시에도 채색이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각 벽면의 중앙에 기둥과 두공을 그리고, 그 위에 도리를 얹은 모습을 묘사하여 돌방 전체를 목조가옥처럼 보이게 하였다. 벽화는 벽면 중간에 띠를 두른 것 같은 도리에 의해 상·하단으로 나뉜다. 뒷방 하단의 경우, 북벽에는 현무(玄武)와 무덤주인공 부부, 동벽에는 청룡(靑龍), 서벽에는 백호(白虎), 남벽에는 주작(朱雀) 등이 각각 그려져 있다. 사신도는 고졸(古拙)하고 엉성하지만 세부적으로 동물묘사에 근사하려는 노력이 엿보이며, 무용총의 사신도와 흡사하다. 주인공 부부는 정면을 향해 평상 위에 나란히 앉은 모습으로 몸과 머리의 비례가 맞지 않아 어색하며, 다른 고분의 주인공에 비하면 간략하게 생략되어 상징적으로 그려 넣었다. 벽면과 천장을 포함한 상단에는 일월성신도가 배치되어 있는데, 동측의 일상, 서측의 월상, 북측의 북두칠성 등을 중심으로 많은 별들이 그려져 있다.

앞방에는 북벽의 무덤주인공을 중심으로 행렬도, 수렵도, 각종 가내생활장면 등을 표현하였다. 무덤주인공 그림에 부인은 보이지 않으며, 뒷방의 주인공 그림에 비해 정교하며 덕흥리 벽화고분이나 태성리 1호분의 주인공 그림과 유사하다. 북벽 중앙에는 성곽도가 선묘되어 있는데, 요동성총의 성곽도에 비해서는 입체적이지만 고식의 묘사에서 벗어나지는 못하였다. 남벽의 동측 상단, 동벽 상단, 북벽의 동측 상단에는 성곽도를 향해 무덤주인공이 입성하는 장엄한 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주인공 부부가 타고 있는 수레 2대를 중심으로 시녀, 무장한 호위행렬, 기마인물, 관리 등이 보인다. 서벽 상단과 남벽의 서측 상단에는 생동감 넘치는 대규모 수렵도가 그려져 있다. 사냥을 하는 인물 사이로 초보적인 산수 표현이 보인다. 서벽 남측 하단에는 마구간, 동벽 하단에는 부엌과 방앗간, 남벽 서측에는 큰 말을 끌고 가는 두 인물과 외양간 등이 각각 배치되어 가내 생활장면을 표현하였다. 그리고 남벽 동측에는 수문장이 있다. 널길에서 벽화는 확인할 수 없고, 앞방의 딸린방에서도 벽화가 확인되지 않았다.

약수리 벽화고분의 무덤 구조나 천장 형식감신총모두루총에서도 확인된다. 사신도는 후기 사신도의 웅혼하고 세련된 모습과 달리 고졸한 모습이고, 인물상의 배치도 5세기 인물풍속도와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처럼 벽화 내용과 배치가 초기 생활풍속계 벽화고분과 상통한다는 점에서 인물풍속과 사신이 공존하는 무덤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인 5세기 초로 편년할 수 있다.

약수리 벽화고분 본문 이미지 1

참고문헌

  • 高句麗古墳壁畵(이태호·유홍준, 도서출판 풀빛, 199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