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도

사신도

[ 四神圖 ]

중국 고대 사상에서 발생한 방위도(方位圖)로 음양오행설에서 나왔다.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전국시대(戰國時代) 말에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 음양설과 우주의 구조와 운행원리를 설명하는 오행설이 결합되어 현실 사회의 질서와 운영원리를 설명함으로써 현실 사회에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다. 이러한 음양오행설은 죽은 자의 세계에도 영향을 미쳐 묘지를 선정하는데 풍수지리를 적용하게 되었다. 특히 후한대(後漢代)에 이르러 사신수(四神獸)가 방위 신으로 위치를 확고히 하게 되었고, 이후 사신수는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시대에 걸쳐 크게 유행하여 회화와 공예의 기본 무늬가 되었다. 사신수는 동방의 청룡(靑龍), 서방의 백호(白虎), 남방의 주작(朱雀), 북방의 현무(玄武)이다. 이 사신은 동, 서, 남, 북 네 방향과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 하늘 사방의 28별자리와 관련 있는 상상속의 동물이다.

청룡은 동방의 7별자리를 대표하는 영물로, 용은 더듬이처럼 끝이 말린 뿔과 매끈한 이마, 길게 내민 혀, 넓고 뾰족한 귀와 찢어진 눈, 몸통 굵기의 꼬리, 기다란 몸뚱이에 비늘이 붙었고, 가시가 달린 파충류와 비슷한 모습으로 묘사된다. 백호는 실재 존재하는 호랑이를 영물시 하면서 등장한 신수로, 서방 7별자리를 대표한다. 백호는 머리는 호랑이와 같으나 몸은 용과 흡사하며, 목과 꼬리가 가늘고 긴 파충류와 비슷한 모습이다. 주작은 남쪽 7별자리를 상징한다. 주작은 신조(神鳥)인 봉황에서 기원한 것으로 무덤 입구를 지키는 존재이다. 주작은 수탉이 날개를 편 모습으로 그려지는데, 이는 봉황의 형상이 수탉과 같다는 고대 관념이 작용한 것이다. 현무는 북방 7별자리를 상징하며, 거북과 뱀이 혀를 길게 빼고 얼굴을 서로 마주하는 모습으로 묘사된다. 뱀은 수컷 곧 양을 나타내며, 거북은 암컷 곧 음을 나타낸다.

한국에서 사신도는 고구려시대 돌방봉토벽화고분(石室封土壁畵古墳)에서 크게 유행하여, 90여 기의 돌방봉토벽화고분 중 34기의 무덤에서 사신이 확인되었다. 고구려의 사신도는 생활풍속도와 함께 묘사되거나 독립적 제재로 등장한다. 생활풍속도와 함께 하는 사신도는 천장 고임의 여러 제재 중 하나로 나타나 하늘 세계를 상징한다. 천장 고임에 그려져 있는 사신은 모두 쌍으로 표현되며, 비례와 균형이 맞지 않아 어색한 감을 준다. 시간이 흘러 6세기경이 되면, 벽화 내에서 사신의 비중이 커져 사신은 널방의 네 벽에 자리하며, 표현도 세련되고 자연스러워진다. 후기의 청룡과 백호는 홀수로, 주작은 암수 1쌍으로, 현무는 뱀과 거북의 자웅합체(雌雄合體)로 그려져, 청룡과 백호는 벽사의 영물로, 주작과 현무는 음양조화의 신수로 묘사된다. 이러한 고구려의 사신은 우주의 방위신이며 무덤 주인을 위한 수호신으로, 선인(仙人)으로 묘사된 동 시기 중국 묘실벽화(墓室壁畵)의 사신도와 구별된다.

백제에서는 공주 송산리 6호분과 능산리 고분에서 확인된다. 백제의 사신도는 그림이 그려질 화면에서 고운 진흙을 바르고 그 위에 그려졌다. 백제 사신도는 고구려 벽화분의 영향으로 보기도 하지만, 고구려 사신도보다는 중국 남조의 사신도와 유사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고려시대의 사신은 개성 수락암동 1호분에서는 12지상과 함께 등장하며, 석관에도 묘사된다. 고려시대의 사신도는 석관의 네 벽에 선으로 새긴 것으로 그림을 그린 예는 아직까지 없다. 석관의 측벽에 사신을 그리는 풍습은 중국 요(遼)나라에서도 유행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선조의 목릉(穆陵)에 사신도가 있다. 사신도는 조선시대 민화에서도 등장한다. 사신도는 시대마다 내용을 달리하지만, 대체로 현실과 상상의 동물이 복합된 애용으로 묘사된다.

고구려 고분 사신도(청룡도)

고구려 고분 사신도(청룡도)

통구 사신총 북벽 사신도(현무도)

통구 사신총 북벽 사신도(현무도)

참고문헌

  • 고구려 고분벽화연구-내세관 표현을 중심으로-(전호태, 서울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7년)
  • 百濟の古蹟(關野 貞, 朝鮮の建築と藝術, 岩波書店, 1941년)
  • 扶餘陵山里古墳群の調査(朝鮮古蹟委員會 昭和11年度 古蹟調査報告書, 1937년)
  • 公州宋山里古墳調査(朝鮮古蹟委員會 昭和11年度 古蹟調査報告書, 193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