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병에 약 쓰는 법

혈병에 약 쓰는 법

[ 治血藥法 ]

丹溪曰, 凡用血藥, 不可單行單止. 又不可純用寒凉藥, 必加辛溫升藥. 如用凉藥, 用酒煮1)酒炒之類, 乃寒因熱用也2). 又曰, 久患血證, 血不歸元, 久服藥而無效者, 以川芎爲君則效3). ○ 大凡血, 見熱則行, 見寒則凝, 見黑 一作灰 則止[丹心]. ○ 凡嘔吐血, 若出未多, 必有瘀於胸膈者, 當先消瘀而凉之止之. 消瘀, 宜犀角地黃湯. 凉血, 宜陶氏生地芩連湯. 止澁, 宜側柏散, 狗膽丸[入門].4)

주진형은 "혈을 치료하는 약을 쓸 때는 그저 피를 돌리는 약이나 막는 약만을 써서는 안 된다. 차고 서늘한 약만 써서도 안 되며, 반드시 맵고 따뜻하면서 위로 올라가는 약을 더하여서 쓴다. 서늘한 약을 쓸 때는 술에 찌거나 술에 축여 볶아 쓰는데, 이것은 약이 차기 때문에 덥게 하여 쓰는 것이다" 또 "혈증(血證)을 오래 앓아서 혈이 돌아갈 곳으로 돌아가지 못하여 약을 오래 먹어도 낫지 않는 데는 천궁을 군약(君藥)으로 쓰면 낫는다"고 하였다. ○ 대체로 혈이 열을 만나면 잘 돌고 찬 기운을 받으면 엉기며 검은 것[黑](재(灰)라고 한 곳도 있다)을 만나면 그친다(단심). ○ 구혈(嘔血)이나 토혈(吐血)을 할 때 피가 많지 않으면 반드시 흉격에 어혈이 쌓인 것이니 먼저 어혈을 없앤 다음 피를 서늘하게 하여[凉血] 피를 그치게 하여야 한다. 어혈을 없애는 데는 을 쓰고, 혈을 서늘하게 하는 데는 을 쓰고, 혈을 그치게[止澁] 하는 데는 이나 을 쓴다(『의학입문』).

○ 桃仁紅花蘇木血竭牡丹皮者, 血滯所宜. 蒲黃阿膠地楡百草霜棕櫚灰者, 血崩所宜. 乳香沒藥五靈脂凌霄花者, 血痛所宜. 蓯蓉鎖陽牛膝枸杞子益母草夏枯草敗龜板者, 血虛所宜. 乳酪血液之物, 血燥所宜. 乾薑肉桂之屬, 血寒所宜. 生地黃苦蔘之屬, 血熱所宜[丹心]5).

○ 도인·홍화·소목·혈갈·는 혈이 막힌 데 좋고, 포황·아교·지유··종려회는 혈붕(血崩)에 좋고, 유향·몰약··는 혈로 인하여 아픈 데[血痛]에 좋고, 육종용·쇄양·우슬····패구판은 혈허(血虛)한 데 좋고, 유락이나 피 종류는 혈조(血燥)한 데 좋고, 건강·육계 등은 혈한(血寒)한 데 좋고, 생지황·고삼 등은 혈열(血熱)에 좋다(『단계심법부여』).

○ 治血防風爲上使, 連翹 一云黃連 爲中使, 地楡爲下使, 不可不知[丹心]. ○ 凡血結之證, 皆用醋湯和之爲妙[直指]. ○ 灸甘草炮乾薑每三錢, 煎服. 治男女失血, 不能引氣歸元甚妙[丹心]6). ○ 血不足, 須用甘草, 血色瘀黑, 用熟地黃. 血色鮮紅, 用生地黃. 若脈洪實, 痛甚, 用酒大黃. 和血止痛, 用當歸[東垣].

○ 혈을 치료할 때 방풍은 상초(上焦)로 약 기운을 끌고 가고, 연교(어떤 곳에서는 황련이라고 하였다)는 중초(中焦)로 끌고 가고, 지유는 하초(下焦)로 끌고 간다는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단심). ○ 혈이 맺힌 증상[血結]에는 모두 식초[醋] 끓인 물에 먹으면 좋다(『인재직지』). ○ 구감초와 구운 생강을 서 돈씩 달여 먹으면 남자나 여자가 출혈로 기가 근원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데 아주 좋다(단심). ○ 피가 부족한 데는 모름지기 감초를 써야 하며, 피 색깔이 검은 데는 을 쓰고, 피 색깔이 선홍색이면 생지황을 쓰고, 맥이 홍실(洪實)하고 심하게 아프면 술로 찐 대황을 쓰고, 피를 조화롭게 하고 아픈 것을 그치게 하려면 당귀를 쓴다(동원).

연관목차

511/2043
혈병에 약 쓰는 법 지금 읽는 중
몽(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