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변 출혈

대변 출혈

[ 便血 ]

內經曰, 結陰1)者, 便血一升, 再結二升, 三結三升2). 釋曰, 結陰之病, 陰氣內結, 不得外行, 血無所稟, 滲入腸間, 故便血也. 其脈虛澁者是也, 因血結不行故下也3). 平胃地楡湯, 結陰丹主之[綱目]4). ○ 靈樞曰, 邪在五藏, 則陰脈不和, 陰脈不和, 則血留之. 盖邪犯五藏, 則三陰脈絡不和而結聚, 血因停留, 溢則滲入腸間而爲便血[入門]5).

○ 仲景曰, 先便後血者, 遠血也, 黃土湯主之. 先血後便者, 近血也, 赤小豆當歸散主之6). ○ 便血宜胃風湯 方見大便, 淸藏湯, 楡砂湯, 地楡散, 連殼丸, 加減四物湯, 槐花散. 有實熱者, 當歸承氣湯. 日久便血, 元氣下陷者, 厚朴煎, 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內傷飮食者, 平胃散 方見內傷 加枳殼槐花當歸烏梅. 酒毒便血, 酒蒸黃連丸[諸方].

『내경』에서는 "결음(結陰)이라는 병은 대변을 보면서 피를 한 되 가량 쏟는 것인데, 두 번째 결음에는 두 되 쏟고 세 번째 결음에는 석 되 쏟는다"고 하였다. 낙용길의 주에 "결음이라는 병은 음기가 안으로 맺혀 밖으로 돌지 못하고 혈이 머무를 데가 없어서 창자 사이로 스며들므로 대변 출혈이 되는 것인데, 그 맥이 허(虛)하고 삽(澁)한 것이 바로 이 병이다. 이는 피가 맺혀 잘 돌지 못하기 때문에 아래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을 쓴다(『의학강목』). ○ 『영추』에서는 "사기가 오장에 있으면 음맥(陰脈)이 조화롭지 못하고, 음맥이 조화롭지 못하면 혈이 한곳에 머무르게 된다"고 하였다. 대개 사기가 오장을 침범하면 삼음(三陰)의 맥과 낙(絡)이 조화가 안 되어 맺히게 되고, 혈이 한곳에 멈춰 머물러 넘치게 되면 그 피가 창자 사이로 스며들어가 대변 출혈이 된다(『의학입문』).

○ 장기(張機)는 "먼저 대변이 나오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멀리서 나오는 피[遠血]로 이 주치하고, 먼저 피가 나오고 나중에 대변이 나오는 것은 가까운 곳에서 나오는 피[近血]로 이 주치한다"고 하였다. ○ 대변 출혈에 (처방은 「대변문」에 있다), , , , , , 을 쓰고, 실열이 있으면 을 쓰고, 오래도록 대변 출혈하여 원기가 아래로 꺼진 데는 후박전이나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內傷門)」에 있다)을 쓰고, 음식으로 속을 상한 데는 (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지각·괴화·당귀·오매를 더하여 쓰고, 술독으로 대변 출혈하는 데는 을 쓴다(제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