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혈, 수혈, 타혈, 각혈

해혈, 수혈, 타혈, 각혈

[ 咳血嗽血唾血咯血 ]

咳血者, 咳甚出血, 本於肺, 龍腦雞蘇丸, 雞蘇散 方見上, 玄霜膏1). ○ 嗽血者, 痰嗽帶血, 本於脾, 六君子湯加桑白皮片芩枳角五味子. 有火者, 加味逍遙散 六君子湯, 方見痰飮2). ○ 唾血者, 鮮血隨唾而出, 本於腎, 滋陰降火湯 方見火門. 唾中有紅絲, 乃是肺痿, 難治3). ○ 咯血者, 咯出血屑, 或咯而不出, 甚咯則出, 或帶紅絲細如線, 此精血竭也. 四物湯加竹瀝薑汁童便靑黛, 或滋陰降火湯, 保命生地黃散 方見下, 聖餠子[入門]4).

○ 先見紅後見痰, 多是陰虛火動, 痰不下降, 四物湯加貝母天花紛以化痰, 山梔仁麥門冬牡丹皮以降火5). 先痰嗽後見紅, 多是痰火積熱, 降痰火爲急, 宜山梔地黃湯6). ○ 痰嗽涎帶血出, 此胃口熱, 血蒸而出. 重者山梔, 輕者藍實[丹心]7). ○ 先吐痰後見血, 是積熱, 宜淸肺湯. 先吐血後見痰, 是陰虛, 宜滋陰降火湯[回春]8). ○ 咳嗽唾咯血, 宜龍腦雞蘇丸, 河間生地黃散, 淸火滋陰湯, 淸咳湯, 淸咯湯, 淸唾湯, 坎离膏 方見下, 玄霜雪梨膏, 恩袍散.

해혈은 기침을 심하게 하여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폐에 있다. 이나 (처방은 앞에 있다), 를 쓴다. ○ 수혈은 기침할 때 가래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으로, 그 근본은 비(脾)에 있다. 에 ·편금·지각·오미자를 더하여 쓰고, 화기(火氣)가 있으면 을 쓴다(육군자탕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 ○ 타혈은 침을 뱉을 때 선홍색의 피가 나오는 것으로, 근본은 신에 있다. (처방은 「화문」에 있다)을 쓴다. 침에 붉은 실처럼 피가 섞여나오는 것을 폐위(肺痿)라고 하는데, 치료가 어렵다. ○ 각혈은 작은 핏덩이를 뱉어내는 것인데 뱉어도 나오지 않다가 심하게 뱉으면 나오기도 하고 마치 실처럼 가는 핏줄기를 띠고 있기도 하는데, 이는 정혈(精血)이 고갈되었기 때문이다. 에 죽력·강즙·동변·청대를 더하여 쓰거나, 자음강화탕, (처방은 뒤에 있다), 를 쓴다(『의학입문』).

○ 먼저 피가 나오고 나중에 가래가 나오는 것은 대부분 음이 부족한 데 화(火)가 동(動)하여 가래가 내려가지 못한 것이다. 사물탕에 패모·천화분을 더하여 담을 삭이고, 산치자··로 화를 내린다. 먼저 기침하면서 가래가 나오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대부분 담화(痰火)와 열이 쌓여서 된 것으로, 담화를 내리는 것이 급하다. 을 쓴다. ○ 가래 섞인 기침이 나오며 침에 피가 섞여나오는 것은 위(胃) 입구[胃口]의 열로 피가 훈증(熏蒸)되어 나오는 것이다. 심한 데는 산치자를 쓰고, 가벼운 데는 남실을 쓴다(『단계심법』). ○ 먼저 가래를 토하고 나중에 피가 나오는 것은 열이 쌓인 것으로 을 쓰고, 먼저 피를 토하고 나중에 가래가 나오는 것은 음허(陰虛)로 자음강화탕을 쓴다(『만병회춘』). ○ 해혈, 수혈, 타혈, 각혈에는 용뇌계소환, , , , , , (처방은 뒤에 있다), , 을 쓴다.

연관목차

450/2043
혈(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