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선원

천선원

분류 문학 > 건축 > 사찰

기본정보

고려(高麗) 태조(太祖) 2년(919)에 창건된 10대 사찰 중 하나.

일반정보

천선원(天禪院)은 고려(高麗) 태조(太祖)가 재위 2년(919) 송악(松岳)에 창건한 10대 사찰 중 하나이다. 시대에 따라 천선원(天禪院), 당사(唐寺), 대사(大寺),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 보제(普濟), 연복사(演福寺)의 명칭으로 나타난다.

전문정보

천선원(天禪院)은 고려(高麗)의 태조(太祖)가 재위 2년(919) 송악(松岳, 지금의 개성)에 창건한 10대 사찰 중 하나이다. 태조가 「훈요십조(訓要十條)」에서 “우리나라의 대업은 반드시 모든 부처의 호위에 힘입은 것이다(我國家大業 必資諸佛護衛之力)”라고 하여 후삼국의 통일이 불교에 힘입은 바가 컸으며, 고려 왕조의 사상적 기반도 불교에 두려고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숭불정책(崇佛政策)의 일환으로 고려 도선(道詵)이 지정한 산수(山水)의 순역(順逆)에 따라 사원(寺院)을 창건하였다. 특히 태조가 919년 수도를 철원(鐵原)에서 송악(松岳)으로 옮긴 뒤, 그 곳에 세운 법왕(法王)·자운(慈雲)·왕륜(王輪)·내제석(內帝釋)·사나(舍那)·천선원(天禪院)·신흥(新興)·문수(文殊)·영통(靈通)·지장(地藏) 등의 10대 사찰은 경주 중심의 고대적 불교기반을 송악으로 재편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이다.

천선원(天禪院)은 시대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으로 나타나고 있다. 『삼국유사』왕력편에서는 “천선원 곧 보제(天禪院 卽普濟)”라고 하고 있고,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권4 개성부(開城府)상 불우(佛宇)조에는 “연복사(演福寺)는 도성 중앙에 있으며 옛 이름은 보제(普濟)이다(演福寺都城中央 古名普濟)”라고 하였고, 『고려도경(高麗圖經)』권17 사우(祠宇)조에는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는 곧 연복사(演福寺)이며 왕부의 남에 있다. 본호는 당사로 고려말에서 이르기를 ‘당’은 ‘대’와 서로 같으며 또는 대사라고도 하였다(廣通普濟寺 卽演福寺 在王府之南 本號唐寺 方言唐與大相似亦爲大寺)”라 하였다. 또 「지곡사진관선사비(高麗康州智谷寺眞觀禪師碑)」에는 “성 남쪽의 광통보제선사(城南廣通普濟禪寺)”라 한 것으로 보아 천선원은 당사(唐寺), 대사(大寺), 광통보제사(廣通普濟寺), 보제(普濟), 연복사(演福寺) 등의 사찰명으로 불리었음을 알 수 있다.(한기문, 1998)

『고려도경(高麗圖經)』권18 사우(祠宇)조에 “광통보제사는 왕부의 남쪽 태안문(泰安門) 안에서 곧장 북쪽으로 백여 보의 지점에 있다. 절의 액자는 ‘관도(官道)’에 남향으로 걸려 있고, 중문의 방은 ‘신통지문(神通之門)’이다. 정전(正殿)은 극히 웅장하여 왕의 거처를 능가하는데 그 방(榜)은 ‘나한보전(羅漢寶殿)’이다. 가운데에는 금선(金仙)ㆍ문수(文殊)ㆍ보현(普賢) 세 상이 놓여 있고, 곁에는 나한 5백 구를 늘어놓았는데 그 의상(儀相)이 고고(古高)하다. 양쪽 월랑에도 그 상이 그려져 있다. 정전 서쪽에는 5층 탑이 있는데 높이가 2백 척이 넘는다. 뒤는 법당이고 곁은 승방인데 1백 명을 수용할 만하다. 맞은편에 거대한 종이 있는데 소리는 가라앉아 시원하지 못하다.(廣通普濟寺 在王府之南 泰安門內 直北百餘步 寺額 揭於官道南向中門 榜曰神通之門 正殿極雄壯 過於王居 榜曰羅漢寶殿 中置金仙 文殊 普賢三像 旁列羅漢五百軀 儀相高古 又圖其像於兩?焉 殿之西 爲浮屠五級 高逾二百尺 後爲法堂 旁爲僧居 可容百人 相對有巨鐘 聲抑而不揚)”라고 하는 기록이 남아있어 당시의 모습을 보여준다.

천선원은 진관선사(眞觀禪師) 석초(釋超)가 머물렀던 곳이며, 3대선우(三大禪宇)로서 3년마다 담선대회(談禪大會)가 열렸던 곳이다. 또한 5백나한제 기우(祈雨), 기각북구(祈却北寇)의 행사가 역대왕에 의해 열렸던 것으로 보아 선종사찰(禪宗寺刹) 중심으로서의 기능과 더불어 호국(護國)의 사찰의 기능도 함께 지녔던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한기문, 1998, 『高麗寺院의 構造와 機能』, 민족사.

관련원문 및 해석

太祖[戊寅六月裔死 太祖卽位于鐵原京 己卯 移都松岳郡 是年 創法王 慈雲 王輪 內帝釋 舍那
又創天禪院 [卽普<濟>] 新興 文殊 (靈)通 地藏 前十大寺皆是年所創 庚辰 乳岩下立油市 故今俗利市云乳下 十月創大興寺 或系壬午 壬午 又創日月寺 或系辛寺 甲申 創外帝釋 新衆院 興國寺 丁亥 創妙寺 己丑 創龜山 庚寅安] 丙申統三
태조[무인년(918) 6월에 죽으니 태조가 철원경에서 즉위하였다. 기묘년(919)에 도읍을 송악군으로 옮겼다. 이 해에 법왕·자운·왕륜·내제석·사나 등의 절을 세우고 또 천선원[곧 보제]·신흥·문수·영통·지장 등의 절을 세웠으니 앞의 10대 사찰은 모두 이 해에 창건되었다. 경진년(920)에 유암 아래에 유시를 설치하였다. 이 때문에 지금 항간에서는 시장에서 이익을 얻는 것을 유하라고 한다. 10월에 대흥사를 세우니 또는 임오년(922)의 일이라고도 한다. 임오년(922)에 또 일월사를 세우니 또는 신사년(921)의 일이라고도 한다. 갑신년(924)에 외제석·신중원·흥국사를 세우고, 정해년(927)에는 묘사를 기축년(929)에 귀산사를 세웠으며 경인년(930)에 안(이하미상)] 병신년(936)에 삼국을 통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