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의 풍경

시장의 풍경

분류 정치/경제/생업 > 시장이란 > 시장이란

사람과 사람, 공간과 공간을 한데 묶는 끈

전통적인 우리 시장의 모습은 농촌사회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정기시장에서 찾을 수 있다. 정기시장은 지역사회를 공간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 한데 묶는다. 여기서 '공간적' 이라는 말은 지리적으로는 거리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거리와 인구의 수까지를 포함한다. 시간적으로는 개시일, 즉 장날이 지정되어 있으므로 능률적으로 판매자와 구매자를 한 장소로 모은다.

전통사회의 시장은 분열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개개의 촌락들을 이와 같은 원리를 통해 서로 연결시켜 전체 사회와 닿게 하는 역할을 해왔다. 또한 시장은 그 시대 그 지역 주민의 생활실태를 반영한다. 그들이 평소에 무엇을 먹고 입는지, 생활 속에서 어떠한 물건들을 사용하는지는 시장에 가 보면 알 수 있다. 농민들은 꼭 사거나 팔 물건이 없더라도 구경 삼아 시장에 나와 본다. 이것이 농촌시장의 특징이다. 그래서 '남이 장에 간다고 하니 씨오쟁이 짊어지고 따라간다.' 라는 속담도 있다. 평소에는 조용하던 농촌 마을도 장날이 되면 활기를 띤다. 장터에 이르는 길은 손이나 어깨, 머리 위에 곡식자루, 닭, 계란, 채소 등을 이고 지고 나오는 농민들로 북적거린다.
시장에서는 경제적 교환이 행해졌음은 물론 이와 같이 사회적 교환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문화적 전통이 이어져나갔다. 적어도 '시골장에서 파는 사람이 곧 사는 사람이고 사는 사람이 곧 파는 사람이다.' 라는 말이 통용될 수 있을 때까지는 그러했다. 그러나 산업화된 현대사회의 농촌시장에서는 이러한 모습을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거의 모든 부문에서 생산과 소비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과거 시장의 모습을 확인하기 위해 가볼 만한 곳은 여전히 농촌시장, 즉 시골장 뿐이다. 시골장에는 장날마다 꼭 만나게 되는 사람들이 있다. 그들은 순회상인들로서 각자 자기 자리가 있어서 장이 설 때마다 그 자리를 지킨다. 시장에는 이와 같은 행상인 말고도 이들을 따라 함께 이동하는 장수들이 있다. 신발을 수선하는 신기료장수, 냄비 · 솥 · 쟁기 같은 각종 생필품이나 농기구를 고쳐주는 수선공, 이발사, 점쟁이 등이 그들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풍각쟁이, 악단, 극단, 서커스단 들도 순회상인들을 따라 공연장을 옮겼다.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1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2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3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4

[장옥과 노점] 시골장의 점포는 장옥(場屋)과 노점(露店)으로 구성된다. 장옥의 지붕 사이로 친 천막 아래에 노점이 들어선다(충남예산군에 있는 덕산장). 간이식당도 장날에 맞추어 여는 노점이다(충남 홍성군 광천장). 『시장의 사회사』, 정승모.

과거 시골장의 모습은 어떠하였을까?

1800년대 초에 우하영(禹夏永)이 엮은 『천일록(千一錄)』에는 '장이 서면 길거리에 사람들이 줄을 잇는다.' 라고 하였다. 규모가 작은 한 시골 정기시장에 관하여 기술한 외국인 캠벨의 다음 글에서는 외국 상품이 이미 침투한 개항기 이후 시골장의 모습을 엿볼수 있다.

시장으로 가는 길은 장을 보러 가는 사람들의 즐거운 목소리로 활기를 띠었다.
부녀자들은 머리 위에 참외, 배 등의 과일을 담은 도기나 바구니를 이고 가고 있었다.
황소나 달구지에는 연료용 마른 나무가 실려가고, 말은 곡물과 건어를 비롯한 여러 가지의 생산품을 실어 나르고 있었다. 윗도리를 벗어제쳐 반나체가 된 지게꾼은 내리누르는 무거운 짐 때문에 허리를 굽힌 채로 도기와 칼로 파서 만든 나무그릇을 붙들어맨 지게를 등에 지고 가고 있었다. 그리하여 거리는 이따금 사각형으로 넓혀지고 점포를 만들기 위해 짚으로 된 차양들이 재빨리 쳐지곤 하였다.

지금의 시골장은 자본주의 상품경제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점에서 개항 이전의 시골장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하지만 바로 앞에서 본 것처럼 그 외형 만은 여전히 과거의 모습을 담고 있다.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5

[안동장] 시장에 나온 갓 쓴 남자들의 모습이 인상적이다. 이 당시는 짧은 갓양태가 유행했다(한말 때의 사진). 『시장의 사회사』, 정승모.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6

[노점상] 건물 벽 아래 좌판을 벌여 놓은 난전 상인. 각종 비녀와 빗이 보인다.(한말 때의 사진). 『시장의 사회사』, 정승모.

과거의 도시시장은 어떠하였을까?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志)』에는 장을 보려는 사람들이 새벽에는 이현(梨峴 : 지금의 종로 4가 배오개)과 소의문(昭義門 : 서소문) 밖에 모이고, 오후에 종가(鐘街 : 종로)에 집결하는 서울 풍경이 나와 있다.
러시아 대장성에서 펴낸 『한국지(韓國志)』(1905년)에는 서울 시전의 모습이 다음과 같이 소개되어 있다.

건물은 창고가 딸린 기다란 단층 시설로 창문이 아주 적다. 건물은 길기 때문에 크지 않은 어두운 방으로 나누어져 뒤칸들은 상품을 쌓아두는 창고로 이용되었으며 앞칸 정면에서 상인이 다리를 꼬고 앉아 있다가 손님이 오면 어두운 방에서 물건을 꺼내온다. 이러한 상점들은 한 종류의 상품 만을 즉 서화지나 제지품을 판매하고 있으나 대신 여러 가지 등급과 품질의 것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똑같은 어두운 작은 방들이 마주보게 되어 있으며 높고 두꺼운 벽으로 거리 쪽이 가려진다. 안쪽으로 점포들이 이어진 각 줄 옆에는 툇마루를 놓아 여기에 상인들이 앉아서 상품의 일부를 손님에게 보이기 위해 진열해놓는다. 손님들은 베란다 사이로 나 있는 길고 좁은 마당을 따라 오간다. 이들 점포의 옆은 문이 나있는 벽으로 막혀 있다. 이것은 물건이 도난당하는 것을 막고 관리들의 물욕을 자극하지 않게 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7

[유기점(鍮器店)] 가정용 유기(놋그릇류)와 곁들여 갓을 팔고 있다.『생활과 풍속』, 서문당.

또 우리가 흔히 구멍가게라고 부르는 소규모 점포의 모습도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볏짚으로 지붕을 덮은 초가 건물들은 보통 앞뒤 두 칸으로 나뉘어 있는데 거리 쪽을 향하고 있는 앞칸은 겨울이나 여름이나 열어놓아 팔 물건을 진열해놓는다. 뒤칸 방은 상인과 그의 가족들이 살림하는 방이다. 상점이 이러한 모양으로 시설되어 있기 때문에 특히 상품의 수요가 적은 겨울철에는 상점주인은 보통 뒤칸방에 앉아 벽에 만들어놓은 구멍을 통해 상점을 지킨다.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8

[붙박이 가게/ 雜廛] 일용잡화를 파는 일종의 시전(市廛)에 해당하는 고정점포다. 가게 왼쪽벽에 걸려 있는 안경과 안경집을 보면 이 당시 안경착용이 유행했던 것 같다. 『시장의 사회사』, 정승모.

시장의 풍경 본문 이미지 9

[필방(筆房)] 갓방처럼 제조도 하고 판매도 하는 붓가게. 문방구점이라고 할 수 있다.『시장의 사회사』, 정승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