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 유적

오동 유적

[ 會寧 五洞 遺蹟 ]

지역 회령
단지. 높이 41cm

단지. 높이 41cm

흙팔찌. 지름6.0cm

흙팔찌. 지름6.0cm

함경북도 회령군 회령읍 오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유적으로 1950년대 초반에 북한 과학원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에서 발굴하였다. 유적은 두만강 남쪽 지류인 회령천과 팔을천 사이의 강안 충적대지에 놓여 있다. 1910년에 처음 발견하였지만 조직적인 조사는 없었고, 1950년 봄에 두만강 주변 유적조사에서 유적 범위를 확인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1954-55년 2차례에 걸쳐 발굴하였다.

발굴 결과 집자리(住居址) 9기와 작업장 및 5,000여 점의 유물이 나왔다. 발굴 당시에는 유적의 연대를 나진 초도(草島) 유적과 함께 신석기시대로 보았으나 보고서를 쓰는 과정에서 청동기시대로 해석하였고, 그 뒤 연구 결과에서는 유적을 3시기로 나누어 1문화층(1·2호 집자리)은 B.C. 2000년기 전반, 2문화층(4·8호 집자리)은 B.C. 2000년기 후반, 3문화층(5호 집자리)은 B.C. 1000년기 초반으로 나누고, 3문화층 위에는 철기시대 문화층(6호 집자리)도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1·2문화층에서 나온 집자리는 장방형(長方形) 평면의 반움(半竪穴)집으로 움바닥에 진흙을 깔거나 다지고 일부에 판자를 깐 흔적도 있다. 장축은 서북-동남이고 집자리 마다 화덕자리(爐址)가 있다. 3문화층의 5호 집자리에는 집자리 바닥에 4줄로 기둥구멍(柱孔)이 있고 가운데에 주춧돌이 2줄로 놓여 집짓기 기술에서 앞선 시기보다 발전이 있어 보인다.

집자리에서 나온 유물은 질적·양적인 면에서 풍부하지만 집자리에 따라 어떤 유물들이 나왔는지에 대해서는 보고서에서 밝히지 않고 있어 자세한 내용을 알 수 없다. 유물의 종류에 따라 문화층별로 차이가 있는 것만 알 수 있다. 이른 시기에는 흑요석 석기와 석영, 현무암을 써서 만든 뗀석기(打製石器)들이 많고, 3문화층에는 무른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磨製石器)들이 많다. 석기 갖춤새를 보면 농사용 연장으로 곰배괭이, 반달돌칼(半月形石刀), 갈돌(石棒) 등이 있고 물고기잡이에 쓰는 찔개살이 드물게 보인다. 무기와 사냥용 연장으로는 화살촉, 창, 검, 도끼, 자귀(手斧), 칼 등 돌이나 뼈로 만든 것들이 있다. 토기갖춤새는 갈색토기를 기본으로 하며, 이른 시기에는 붉은간토기(紅陶)가 많고, 늦은 시기로 가면서 검은간토기(黑陶)가 많아진다. 그밖에 단추, 구슬, 옥가락지, 토제팔찌, 뼈빗 등 장신구들이 나왔다.

오동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에 해당하는 돌널무덤(石棺墓)도 1기가 나왔다. 점판암 판돌(板石)로 짜 만든 것이며, 부장유물로는 토기, 흑요석편, 대롱옥(管玉)이 있다.

참고문헌

  • 북한의 선사고고학 3-청동기 시대와 문화(장호수, 백산문화, 1992년)
  • 우리나라 원시집자리에 관한 연구(김용남·김용간·황기덕, 사회과학출판사, 1975년)
  • 회령 오동 원시유적의 포유동물상(김신규, 고고민속 63-3, 1963년)
  • 회령 오동 원시유적 발굴보고(도유호, 유적발굴보고 7, 196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