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경북도 경성군 역사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함경북도 경성군 역사

분류 행정구역정보관>개관>역사
행정구역 함경북도>경성군

선사시대부터 경성군 지역에 이미 사람이 살고 있었다. 그것은 원향동의 조개더미에서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토기를 비롯한 다양한 유물들이 발굴되고 원수대(元帥臺)와 용평리에서도 신석기시대의 유적이 발견된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경성군 지역에 말갈, 부여, 숙신, 예맥, 읍루 등 여러 부족국가가 있었으며 삼국시대에는 고구려의 판도에 편입되었다.

통일신라시대 한때 당나라에 예속되었으나 신라문무왕 9년 발해국개국에 이르러 발해 동경용원부(東京龍原府)에 소속되었다. 발해가 패망해서부터 고려말기까지 경성군 지역은 줄곧 외적에게 예속되어 있는바 926년(태조 9년) 경성군 지역은 요나라의 속지로 되어 있었고, 1125년(인종 3년)에는 금나라의 속지로 되어 있었으며, 1234년(고종 21년)에는 원나라의 속지로 되어 있었다.

1368년 명나라에 의해 원나라가 패망한 기회를 이용하여 고려가 대거 북진, 종당에는 두만강 하구지역까지 수복하였다. 1390년(공양왕 2년) 당시 경성을 우롱이(于籠耳)라고 칭했다. 조선시대 초기 태조 7년인 1398년에 북도의 행정구역을 책정할 때 경성군 지역은 처음으로 경성으로 명명되고 만호진(萬戶鎭)이 설치되었다. 1400년(정종 2년)에는 군으로 개칭하면서 병마사가 군사(郡事)를 겸임하였다.

1403년(태종 3년) 경성읍성을 축조하고, 1406년(태종 6년) 여진과의 무역소를 설치했으며, 1410년(태종 10년)에는 경원부(慶源府)를 이곳으로 천이했다. 1436년에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고, 1437년(세종 19년) 길주에 있던 절제사본영을 이곳으로 천이했고, 1467년(세조 13년) 북병영을 신설하고 북절도사를 두었다.

1884년(고종 21년) 병사를 폐지하고 북도만무사 겸 절도사를 둠으로써 경성은 북도의 수부가 되었다. 1896년(건양 1년) 함경도를 함경남북도로 분도할 당시 경성군 관하에는 주촌면, 어랑면, 경성면, 명간면, 주을온면, 어대진면 등 6개 면이 있었다. 현재의 승암노동자구(勝岩勞動者區)는 1884년부터 1923년까지 도청 소재지로 되어 있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에 주촌면을 주남면과 주북면으로 분리하고 나남면(羅南面)을 신설했고 명간면은 명천군(明川郡)에 편입되었다.

1923년 도청을 나남으로 이전하고, 1931년에 나남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40년 주을온면과 어대진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경성군은 함경북도에서 가장 오랜 군의 하나로서 1920년대 중엽까지 현재의 청진시 송평구역(松坪區域)의 일부와 나남구역(羅南區域), 어랑군(漁郞郡)의 넓은 지역과 화성군의 일부 지역을 차지하고 있었는데, 그 후 청진부(淸津府)가 확장되면서 1952년 행정개편 전까지 현재의 경성군과 어랑군 지역을 차지하였다.

1952년 12월 행정구역 개편 때 경성군에서 주남면, 어랑면의 21개 리, 주북면의 16개 리를 분리하여 어랑군을 신설하고, 어랑면의 3개 리는 화성군으로, 경성면의 용천, 회양, 나북, 부윤리는 나남시(羅南市)에 편입되었다. 그리하여 경성군은 남은 주을온면, 경성면과 주북면의 1개 리로 개편, 1개 읍(경성), 23개 리(구덕, 관모, 남석, 대향, 독연, 용산, 용천, 용현, 모래온천, 매향, 박충, 보상, 생기령, 수상, 승암, 오상, 온대진, 일향, 장평, 주을온포, 중평, 하면, 화하)로 개편되었다.

1953년 12월 생기령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54년 10월 보상리가 매향리(梅香里)에 편입되었다. 1963년 11월에 수성리가 승암리(勝岩里)에 편입되었고, 승암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다. 1972년 11월에는 박충리가 노동자구로 승격되었고, 1977년 11월 청진시가 직할시로 승격되면서 경성군은 청진시에 소속되었고, 1978년 10월에는 구덕리가 청진시 나남구역에 편입되었다. 1985년 7월에 청진시가 직할시로부터 도 관할 수부도시로 다시 강등되면서 함경북도 경성군에 귀속되었다.

1992년 12월에 경성읍의 일부 지역과 하온포리가 병합하여 하온포노동자구(下溫堡勞動者區)로 개편되었고, 하온포리의 일부 지역은 상온포리(上溫堡里)에 편입되었다. 2002년 현재 행정구역은 1읍(경성읍), 5구(용천노동자구, 박충노동자구, 생기령노동자구, 승암노동자구, 하온포노동자구), 15리(관모리, 남석리, 대향리, 독연리, 용산리, 매향리, 상온포리, 염분리, 오상리, 온대진리, 일향리, 장평리, 중평리, 하면리, 화하리)로 되어 있다. 경성군 소재지는 경성읍이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연관목차

조선향토대백과 행정구역정보관 : 함경북도 532/1114
221) 함경북도 회령시 대덕리
222) 함경북도 회령시 덕흥리
223) 함경북도 회령시 낙생리
224) 함경북도 회령시 용천리
225) 함경북도 회령시 무산리
226) 함경북도 회령시 방원리
227) 함경북도 회령시 벽성리
228) 함경북도 회령시 사을리
229) 함경북도 회령시 성동리
230) 함경북도 회령시 성북리
231) 함경북도 회령시 송학리
232) 함경북도 회령시 신흥리
233) 함경북도 회령시 영수리
234) 함경북도 회령시 오류리
235) 함경북도 회령시 오봉리
236) 함경북도 회령시 원산리
237) 함경북도 회령시 인계리
238) 함경북도 회령시 창태리
239) 함경북도 회령시 창효리
240) 함경북도 회령시 풍산리
241) 함경북도 회령시 학포리
242) 함경북도 회령시 행영리
243) 함경북도 회령시 홍산리
244) 함경북도 경성군
245) 함경북도 경성군 경성읍
246) 함경북도 경성군 용천노동자구
247) 함경북도 경성군 박충노동자구
248) 함경북도 경성군 생기령노동자구
249) 함경북도 경성군 승암노동자구
250) 함경북도 경성군 하온포노동자구
251) 함경북도 경성군 관모리
252) 함경북도 경성군 남석리
253) 함경북도 경성군 대향리
254) 함경북도 경성군 독연리
255) 함경북도 경성군 용산리
256) 함경북도 경성군 매향리
257) 함경북도 경성군 상온포리
258) 함경북도 경성군 염분리
259) 함경북도 경성군 오상리
260) 함경북도 경성군 온대진리
261) 함경북도 경성군 일향리
262) 함경북도 경성군 장평리
263) 함경북도 경성군 중평리
264) 함경북도 경성군 하면리
265) 함경북도 경성군 화하리
266) 함경북도 길주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