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고려

분류 문학 > 제도 > 국호

기본정보

기원전 37년에서 기원후 668년까지 705년간 존속했으며, 총 28대의 왕이 다스린 삼국 중의 한 국가인 고구려의 국호로, 5세기 정도부터 사용하였다고 한다.

일반정보

『삼국사기』에 따르면, 고구려는 기원전 37년에 주몽(朱蒙)이 이끄는 부여족의 한 갈래가 졸본(卒本) 지방에서 건국하였다고 한다. 이후 한반도 북부와 중국 동북(東北) 지방을 무대로 하여 발전하였으며, 668년(보장왕 27)에 나․당 연합군과의 싸움에 패함으로써 막을 내렸다. 고구려의 나라이름은 초기에는 고구려라고 불리다가 어느 시기부터 고려로 개칭되었다고 여겨지며, 그 시기는 대체로 5세기 평양 천도를 전후한 시기로 생각된다.

고려 본문 이미지 1
고려 본문 이미지 2

전문정보

고려(高麗)의 연원으로 먼저 나타나는 용어는 구려(句麗)․구려(句驪)이다. 이는 고구려에 관한 기사가 처음으로 실린 『한서(漢書)』 권28 지리지8 하에 보인다. 한 무제가 조선을 경략하고(기원전 108) 4군을 설치하자, 이전부터 존재해왔던 구려(句麗)․구려(句驪) 집단이 그 통할하에 들어갔으며, 현토군(玄菟郡)의 설치(기원전 107)에 즈음하여 그 예하에 고구려현(高句驪縣)을 두었다. 고구려(高句麗) 국호에 대하여, 중국 사서에서 “구려(駒驪)”․“구려(句驪)”․“고구려(高句驪)” 등으로 “려(驪)”에 “마(馬)”자를 덧붙여 쓴 것은(『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 『삼국지(三國志)』 등) 중국인들이 외국의 종족명, 지명, 인명에 대한 비칭(卑稱)으로 동물자변을 덧붙여 그들을 폄하하려는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현토군 성립 이후 자신들의 국가를 건설하는 과정에서 구려의 각 세력권은 점차 결집되어 갔으며, 그들을 총칭하는 말로 고구려(高句麗)라는 칭호를 이어 쓰지 않았나 한다. 이렇게 보면, 고구려(高句麗)라는 명칭 자체는 구려(句麗)가 바탕이 되고 앞에 ‘높다’, ‘크다’는 의미로 ‘고(高)’라는 수식어를 붙였다는 해석이 가능해진다. “구려(句麗)”는 ‘구(溝)’와 마찬가지로 ‘성읍(城邑)’의 의미이고, ‘고(高)’는 ‘크다’는 뜻이므로, 결국 고구려(高句麗)는 ‘대성(大城)’, ‘수읍(首邑)’, ‘상읍(上邑)’의 뜻으로, 이것이 도시명 내지 국가명으로 발전된 것이라고 한다.(이병도, 1976)

그동안 “고구려”․“고려” 국호는 서로 상통하여 사용된 것으로 이해하기도 했지만, 고구려의 어느 시기부터는 “고려”라는 국호를 공식적으로 사용했다는 의견이 있다. 곧, 고구려 당시에 이미 ‘고려’라는 국호를 사용하였고, 나중에 고려(918∼1392)는 그 이름을 그대로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언제 고구려가 나라이름을 고려로 바꾸었는가 하는 시기의 문제이다.

이에 대해서는 중국 사서에서는 삼국시대부터 고구려(高句驪)를 고구려(高句麗)로 썼고, 수ㆍ당대부터는 고려(高麗)라 줄여서 불렀다고 파악한 견해가 있다.(이병도, 1976)

한편, ‘고려(高麗)’라는 국호가 중국 문헌에 나타난 확실한 시기는 장수왕 8년 이후 11년과 23년(435)이지만, 국호의 개칭 시기는 정확히 말할 수 없다면서, 대체로 장수왕 10년대에 국호의 개칭이 있었다고 본 견해가 있다. 그러나 이를 광개토대왕 시기로 올려 잡을 수 있는 개연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정구복, 1992)

이에 의하면, 가장 먼저 “고려”라는 국호가 사용된 기록은 『위서(魏書)』 권2 제기(帝紀)2 태조기(太祖紀) 원흥(元興) 원년(元年) 춘정월(春正月) 기사에 보이는데, 이 때는 광개토대왕 8년인 398년이지만 이 기록의 “고려” 사용은 믿기 어렵다고 한다. 그리고 『위서』 권4 제기4 세조기(世祖紀) 태연(太延) 원년(元年) 6월 병오(丙午)의 장수왕 23년(435) 기사 다음부터 거의 매년 본기에서 고려 기사를 쓰고 있다고 하였다.(정구복, 1992)

다음으로 『송서(宋書)』 권3 본기3 무제(武帝) 하 영초 원년(420) 7월 갑진조에서는 “고구려왕(高句驪王)”이라고 했다가, 3년 뒤인 『송서(宋書)』 권4 본기4 소제(少帝) 경평 원년(423) 3월 기사부터는 “고려국(高麗國)”으로 바꾸어 썼기 때문에, 이 사이에 나라이름이 바뀌었다는 심증을 가졌다. 그러나 경평 원년은 423년으로 장수왕 11년에 해당하는데, 이는 혹 남송 대에 보궐(補闕)한 결과일지도 모르므로 확실하다고 하기는 어렵다고 한다. 하지만 그 뒤부터는 사신 왕래 기록에도 본기에서는 모두 “고려(高麗)”를 썼기 때문에, 장수왕 10년대나 장수왕 연간부터 고려를 국호로 썼다고 보았다.(정구복, 1992)

이와 함께 고구려가 국호를 고친 배경과 장수왕 15년의 평양 천도와의 관계도 조심스럽게 제기하였다. 광개토대왕 이후의 비약적인 발전과 한문화의 성숙된 이해 그리고 평양으로 천도함을 계기로, 고구려에서 한자적인 의미가 없는 “구(句)”자를 생략시켜 “고려(高麗)”라는 국호로 개칭함으로써 한자의 일반적 의미로 풀어도 좋은 의미를 갖는 국호로 정한 것으로 보았다.(정구복, 1992)

한편, 고구려 안장왕 2년인 양 무제 보통(普通) 원년(520년) 2월 계축(癸丑)에 안장왕을 ‘영동장군고려왕(寧東將軍高麗王)’으로 책봉하는 것을 시작으로 “구(句)”자를 없애고 “려(驪)”를 “려(麗)”로 고쳤다는 의견도 있다.(李殿福, 2000) 이에 대하여 520년 설을 집중적으로 비판하면서 장수왕 11년(423년) 설을 주장하기도 한다.(孫進己, 1994)

곧, 앞에서 언급한 남조(南朝) 사서인 『송서(宋書)』 기록과 함께, 북조(北朝) 사서인 『위서(魏書)』 태연(太延) 2년(436)의 “고려가 갈로 등의 장수에게 병사를 이끌고 가서 맞이하였다(高麗遣將葛蘆等率兵迎之)”는 기록을 가지고 435년 이전에 이미 고려(高麗)라고 칭하였다고 주장하였다.(孫進己, 1994)

또한, 고구려가 어느 시기부터 국호를 고려(高麗)로 개정하였음은 그들 자신이 남긴 기록에 의해서도 확인된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延嘉七年銘金銅如來立像)」에 국호가 “고려(高麗)”로 되어 있고,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에도 “고려대왕(高麗大王)”이라는 구절이 적혀 있다. 그런데 고구려(高句麗)를 고려(高麗)로 바꾼 시기를 520년으로 보게 되면, 이들 유물들도 모두 그 뒤에 만든 것이 되므로, 간지가 기미년인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을 539년에 만든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러나 그 이전인 419년과 479년도 기미년이므로, 고려라는 국호를 쓴 것이 423년부터라면 479년에 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중원고구려비」도 559~589에 만든 것으로 보기보다는 480년으로 앞당긴다. 곧, 「중원고구려비」에 신유년이라는 간지가 있고, 12월 23일 갑인이라는 간지가 나오는데, 신유년은 449년, 480년, 506년, 573년, 599년에 해당하며, 그 가운데 갑인과 일치하는 해가 480년이기 때문에 그 해를 정했다. 이는 423년의 고려 국호 개칭설과도 맞아 들어간다.(孫進己, 1994)

아울러 고구려가 수도를 압록강 유역인 집안에서 대동강 유역인 평양으로 옮긴 것은 427년인데, 고구려가 고려로 나라이름을 바꾼 시기도 이 즈음인 것으로 보아, 평양 천도와 나라이름을 바꾼 것을 연관시켰다.(孫進己, 1994)

이러한 의견과 더불어 고려(高麗) 국호가 중국측 기록에 나타나는 시기를 장수왕 11년(423)부터 장수왕 23년(435) 어간으로 본 위의 견해에 동의하면서, 장수왕이 평양으로 천도(遷都)를 단행하는 427년에 고려 국호를 개칭했다는 의견도 있다. 곧, 『삼국사기』에서는 “고구려”라는 국호가 건국과 동시에 제정되어, 그것이 멸망할 때까지 이어진 듯 전하고 있으나, 실은 “구려(句麗)”가 먼저 존재하였고, 한군현의 설치에 즈음하여 이를 바탕으로 “고구려(高句麗)”가 생겨났으며, 이것이 뒤에 국호로 발전하였고, 다시 427년경부터는 이들 국호에서 비롯된 “고려(高麗)”가 국호로 쓰였다고 보았다.(박용운, 2006)

그런데 『삼국유사』의 고구려 건국과 관련된 기사 등에서는 국호를 “고구려(高句麗)”라고 표기하고 있으면서도 다른 데서는 거의 모두 “고려(高麗)”라고 쓰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오히려 고구려 초기를 다룬 기사에서도 “고려”라고 표기하기도 했다.(정구복, 1992) 이를 통해 고구려 당시에도 고려라는 국호가 널리 쓰였다는 점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삼국유사』에서는 “구려 장수왕(句麗 長壽王)”을 비롯한 ‘구려(句麗)’ 명칭도 몇몇 곳에서 사용되고 있다(『삼국유사』 권1 기이1 나물왕 김제상(奈勿王 金堤上)․태종춘추공(太宗春秋公)․권3 흥법3 아도기라(阿道基羅)).

그리하여 고구려가 멸망한 뒤에도 발해에서 고려의 후예를 자처했으며, 그것은 다시 궁예에 의해 국호로 채택되었고, 왕건 또한 918년에 새로이 나라를 열면서 국호를 “고려”로 선포하게 되었던 것이다.

참고문헌

이병도, 1976, 『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정구복, 1992, 「高句麗의 ‘高麗’國號에 대한 一考 -三國史記의 기록에 관련하여-」『호서사학』19ㆍ20.
孫進己, 1994, 『東北民族史硏究』, 中州古籍出版社.
李殿福, 2000, 「中原郡의 高麗碑를 통해서 본 高句麗 國名의 變遷」『高句麗硏究』10.
박용운, 2006, 『고려의 고구려계승에 대한 종합적 검토』, 일지사.

관련원문 및 해석

第十二 理解尼叱今[一作詀解王 昔氏 助賁王之同母弟也 丁卯立 理十五年 始與高麗通聘]
제12대 이해니질금[혹은 점해왕이라고도 한다. 석씨이고 조분왕의 동복동생이다. 정묘에 즉위하여 15년간 다스렸다. 처음으로 고구려와 외교관계를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