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파식적

만파식적

분류 문학 > 초월적 인물형 > 이인(異人)형

• 갈래 : 전설
• 시대 : 삼국
• 신분 : 장군
• 지역 : 영남
• 출처 : 삼국유사 (권2)
• 내용 :
신라 제31대 신문왕이 즉위한 다음, 동해 대왕암에 장례하여 해룡이 된 부왕 문무왕의 명복을 빌기 위해 동해변에 감은사(感恩寺)를 창건했다. 즉위 이듬해인 임오년(壬午, 682) 5월 1일, 해관 박숙이 “동해의 작은 산이 감은사로 향해 떠와서 파도에 따라 왕래하고 있습니다.” 하고 아뢰었다. 이에 왕이 일관(日官) 김춘질(金春質)에게 점을 쳐보라 했더니, 그것은 해룡이 되어 나라를 진호(鎭護)하는 문무왕과 33천(天)의 한 아들인 김유신이 힘을 합쳐 이성동덕(二聖同德)이 되어 나라 지키는 보물을 주려고 하는 것이니, 왕이 동해변에 가면 대보(大寶)를 얻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서 5월 7일 왕이 이견대(利見臺)에 행차해 사람을 시켜 그 섬 산에 가 살펴보게 했더니, 산은 거북 모양이고, 거기에 대나무가 있어서, 낮에는 쪼개져 둘로 되고 밤에는 하나로 합쳐지고 있더라는 것이었다. 곧 왕이 감은사로 가서 잤는데, 이날 정오에 그 대나무가 하나로 합쳐지면서 천지가 진동하고 깜깜해져 7일 간 비가 내리고 16일 날 비로소 날씨가 맑았다.

왕이 배를 타고 그 섬에 가니 용이 나와 검정색 옥대(玉帶)를 바치고, 아울러 대나무가 쪼개졌다가 합쳐졌다가 하는 것은 사람이 손뼉 치는 것과 같아서 합쳐야만 소리가 나니, 왕의 정치도 이와 같이 화합해야 됨을 나타낸다는 설명도 들려주었다. 그리고 이 대를 가지고 적(笛)을 만들어 불면 천하가 화평해진다는 것과, 동해 대룡이 된 문무왕과 천신이 된 김유신이 이성동심이 되어, 이 대보를 전하라고 한 것이라 말했다. 왕이 오색 비단과 금옥으로 제사하고 대나무를 잘라 나오니 산과 용이 갑자기 사라졌다. 왕이 감은사에서 자고, 17일 지림사 서쪽 냇가에서 쉬니 궁궐을 지키고 있던 태자가 나와 축하하고, “그 옥대에 붙은 모든 장식이 진룡(眞龍)입니다. 시험해 보소서.”라고 말했다. 왕이 옥대의 왼쪽 둘째 장식을 떼어 시내에 던지니, 용으로 변해 하늘로 올라가고 그 자리는 깊이 파여 못이 되었는데, 이것이 ‘용연(龍淵)’이다. 왕이 돌아와 그 대나무로 적(笛)을 만들어 천존고(天尊庫)에 보관했는데, 질병과 가뭄과 풍랑 등의 재화에 불면 곧 효험이 있어서 ‘만파식적’이라 이름해 국보로 정했고, 뒤에 효소왕 때 적에게 잡혀간 부례랑(夫禮郞)을 구해 오게 한 이적이 있은 후 ‘만만파식적’이란 호가 생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