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기제작

석기제작

[ 石器製作 ]

직접떼기:左-모루떼기, 右-양극떼기

직접떼기:左-모루떼기, 右-양극떼기

석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물은 석기를 제작하는 행위자의 의도를 반영하게 된다. 석기제작기술은 시대를 달리하면서 인류의 형질적 진화과정과 맞물려, 보다 복잡하면서도 정연한 제작과정을 갖게된다.

이러한 석기제작과정은 당시 구석기인의 처해진 환경 속에서 도구사용 역량, 경제활동과 노동의 관계, 기술적인 전통 등을 파악할 수 있는 많은 자료를 제시해 준다. 이러한 문제는 아직까지 남아있는 현대의 구석기인이 석기를 다루는 방법을 면밀히 연구함으로써 이들이 남겨놓은 산물을 가지고 구석기시대의 석기들과 비교하고, 확인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현대 석기제작자들이 직접 동일한 조건 하에서 실험을 통하여 사실을 검증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이 가능해 졌다.

지금까지 확인된 여러 석기제작기술은 크게 나누어 직접떼기, 간접떼기, 눌러떼기로 구분할 수 있다.

직접떼기:上-강한 망치떼기, 下-약한 망치떼기

직접떼기:上-강한 망치떼기, 下-약한 망치떼기

첫째로, 직접떼기방법(直接打擊法, Direct percussion)은 다른 매개체 없이 격지를 떼고자 하는 몸돌과 격지를 떼기 위한 도구로 구성된 관계 속에서 파악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직접떼기에는 다시 몸돌을 던지거나 몸돌을 쥐고 고정된 모루돌에 내리쳐서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과 망치라는 도구를 활용하여 고정된 몸돌을 타격하여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던져떼기방법(hurling technique)은 가장 원시적인 방법으로서 말 그대로 몸돌을 정해진 모루돌(anvil)에 던져 격지를 얻는 방법으로서, 규칙적인 방법으로 격지를 하나씩 떼어내면서 얻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무계획적으로 여러 개의 격지와 부스러기를 동시에 얻기 위해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가끔은 일반적인 박리방법으로 떼어낼 수 없는 좋은 석재를 얻거나 몸돌용 덩어리를 나눌 때에 활용된다.

모루떼기방법(Anvil[Block-on-Block] Technique)은 고정된 모루돌에 떼고자 하는 격지의 크기와 위치를 정하고 타격지점을 몸돌에 강하게 내리쳐 부딪혀서 원하는 격지를 얻는 방법이다. 이 기술은 큰 격지를 떼어낼 때 자주 사용된다. 격지와 몸돌 상에 남아 있는 흔적은 강한 망치, 즉 돌로 작업했을 때 나타나는 것과 유사하다. 고정된 몸돌을 타격하며 격지를 떼어내는 기술은 구석기시대의 전반에 걸쳐 일반적으로 활용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에는 망치가 격지생산에 가장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망치는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을 갖게 된다.

박리방법은 강한망치떼기와 약한망치떼기로 나눈다. 강한망치떼기방법(Hard-Hammer Technique)은 돌망치로 몸돌을 타격하여 격지를 생산하는 방법으로서 전기구석기시대로부터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 방법이다. 이 방법에 의해 떼어진 격지의 타격면(striking flatform)은 두터우며 배면에 나타나는 타격혹(bulb)은 상대적으로 볼록하다. 박리과정에서 돌의 지지력과 박리할 때 가해지는 힘의 하중 정도에 따라 형성되는 타격혹흔은 깊고 넓게 나타나기도 한다. 몸돌의 박리면은 깊고 격지가 떼어진 박리면 사이의 선이 뚜렷하다.

약한망치떼기방법(Soft Ham-mer Technique)은 몸돌보다 약한 재료, 즉 약한 돌, 나무, 뿔, 뼈 등으로 만든 망치를 가지고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으로 떼어낸 격지는 일반적으로 얇은 타격면과 배면이 거의 편평한 양상을 보이는 특징을 갖는다. 몸돌상에 나타난 제양상은 강한망치떼기의 그것보다 약하게 나타난다. 이 떼기방법은 강한돌에도 사용하지만 비교적 연하고 세립질의 암석을 석재로 선택하였을 때 사용되며, 특히 떼어낸 격지를 가지고 주먹도끼와 같은 석기를 만들 때나 눌러떼기기술과 병행하여 석기를 만들고자 할 때, 정교한 1차 생산물을 떼어낼 때, 원하는 석기를 만들기 전에 형태를 조정하는 1차 손질 과정에서 자주 사용된다.

망치를 사용할 때 손으로 자유롭게 쥐고 박리하는 방법(free-hand percussion)과 모루돌에 올려놓고 박리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며 후자의 경우는 박리하는 과정에서 특별한 흔적을 남겨놓기 때문에 이를 양극떼기(bipolar technique)라고 부른다. 이 기술은 모루돌 위에 몸돌을 올려놓고 망치로 수직 혹은 대각선으로 박리하여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으로서 작거나 단단하거나 해서 다루기 힘든 몸돌을 작업할 때 적합하다. 격지의 타격면은 얇거나 거의 타격면이 보이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배면은 혹이 작고 편평한 면을 유지한다. 몸돌은 타격된 방향의 반대끝(모루돌과 맞닿은 면)에 박리과정에서 형성된 부수어진 흔적이 남게 된다.

간접떼기

간접떼기

둘째로, 간접떼기(Indirect percussion, Punch technique)는 망치와 몸돌 사이에 또 하나의 매개체가 조합되어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보다 정교한 박리를 할 수 있게 하며 규칙적인 방법으로 유사한 생산물을 다량 만들어낼 수 있는 발전된 기술이다. 망치와 몸돌 사이의 중간 매개체는 나무와 뿔이 일반적이지만 작은 돌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때 망치도 돌보다는 가격하는 머리가 큰 나무나 뿔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밟기 위해서는 몸돌도 역시 손으로 쥐는 방식으로는 작업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고정기구(신체의 다른부위, 즉 무릎도 포함)에 몸돌을 고정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몸돌의 재질이 단단해서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 방법은 주로 퇴적암이나 화산암제를 주로 사용하며 돌날떼기에 활용되었는데, 이때 만들어진 생산물로 석기를 만드는 것이 형태의 정형성을 가져올 수 있는 기술적 바탕이 된다. 돌날은 작고 얇은 타격면을 갖게 되며 타격혹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돌날을 떼어내는 방향은 약간 대각선을 이루게 되는데 그 결과 돌날의 측면형태는 약간 휜 형태를 보인다.

눌러떼기

눌러떼기

셋째로, 눌러떼기(Pressure Technique)는 몸돌과 박리도구를 매개로 하여 격지를 생산하지만 직접떼기와 간접떼기가 주로 내려치는 행위를 통해서 격지를 떼어냈다면 이 방법은 눌러서 몸돌에 힘을 가해 격지를 떼어내는 방법이다. 박리도구는 끝이 뾰족한 뿔이나 뼈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기술은 후기구석기시대에 처음으로 관찰된다. 이 기술은 후기구석기시대에 몸돌을 다루는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세형몸돌 및 각종 석기를 다룰 때 사용되었다. 이 방법은 석기제작자가 석기를 제작할 때 규칙적인 방법으로 모든 박리순서를 조절해 가면서 몸돌로부터 돌날을 떼어내고, 그 돌날로 석기를 만든다.

우선 큰 몸돌을 고정기구에 고정시킨 다음 사람의 손으로 혹은 가슴에 받칠 수 있는 박리도구를 사용해서 눌러 돌날을 떼어낸다. 세형몸돌(microblade core)은 각종 고정기구에 고정시키거나 손으로 쥐고 작은 박리도구로 세형돌날(microblade)을 떼어낸다. 석기는 1차적으로 직접떼기로 형태를 조성한 이후 눌러떼기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교한 석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이 방법을 활용하여 화살촉, 양면석기, 창끝 등 후기구석기시대 후기 이후에 대표적인 석기들과 다양한 소형 예술품 등을 만들어 내었다.

눌러떼기 여러방법

눌러떼기 여러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얻어지는 1차생산물을 격지라 한다. 이러한 격지는 2차 손질을 통하여 석기를 제작할 때 바탕이 된다. 격지에는 이를 떼어내는 과정에서 생긴 여러 흔적이 남는다. 격지에는 배면(ventral, interior surface, 격지항목 참조)과 등면(dorsal, exterior surface, 격지항목 참조)이 있다. 등면에는 박리된 흔적이 남는데 이 면과 배면의 특징은 어떠한 방법으로 격지를 떼어냈는지 알 수 있는 증거를 제시해 준다.

예를 들어 격지떼기인지, 돌날떼기인지, 연속적인 박리를 시도했는지 아닌지 등 여러 기술적인 특성을 파악할 수 있게 한다. 배면에는 타격점(point of percussion, 격지항목 참조), 타격혹(bulb of percussion, 격지항목 참조), 타격혹흔(bulb scar, 격지항목 참조), 방사선(radial fissure, 격지항목 참조), 파상문(ripple, 격지항목 참조) 등이 보인다.

격지를 떼어낼 때, 강한망치(hard-hammer)나 약한망치(soft-hammer)로 때린 타격점이 위치하는 면을 타격면(striking flatform)이라고 한다. 타격면에는 몸돌 상에서 타격면을 어떻게 조정했는지를 알 수 있는 여러 흔적이 남아있다. 일반적으로 격지의 배면과 타격면은 둔각을 이룬다. 경우에 따라 의도된 박리작업을 위해 타격면을 가공하기도 한다. 즉, 타격각(flaking angle)을 조정하기 위해 타격면에 박리를 가하거나(facetting) 박편의 등면이 될 부분에 박리를 가하기도 하며(trimming) 타격면의 가장자리(platform edge)를 다른 돌로 문지르는(rubbing) 등의 가공을 한다.

타격혹은 타격면을 위로 한 상태에서 타격점의 아래부분에 패각상의 형태(conchoidal shape)로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타격혹흔은 격지가 떨어져 나갈 때 생기며, 타격혹 부분에 깨진면이나 선의 형태로 관찰된다. 방사선은 타격점에서 격지의 날(margin)쪽으로 뻗어나간 선을 의미한다. 파상문은 격지를 떼어낼 때 가해지는 힘이 석재에 전달되면서 생기며 이론상 타격점을 중심으로 동심원상의 물결을 보인다. 방사선과 파상문을 통해 격지가 떨어질 때 힘이 가해진 방향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흔적은 입자가 고운 석재일 경우에는 잘 관찰되지만 입자가 굵은 석재일 경우에는 잘 보이지 않는다. 등면상태, 타격면, 배면의 타격점·타격혹·방사선·파상문 등의 관찰을 통해 석기제작기술을 복원할 수 있다.

참고문헌

  • Flintknapping(John C. Whittaker, 1997년)
  • Pozdnepaleoliticheskie komplekcyi uga rocciiskogo dalinego bostoka I sopredelinykch territorii(Lee Heon-jong, 1995년)
  • Handbook of Paleolithic Typology(A.Debenath & H.L.Dibble, 1994년)
  • Encyclopedia of Human Evolution and Prehistory(Ian Tatterwall·Eric Delson·John Van Couver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