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강강술래

진도 강강술래

분류 교통/통신/지리 > 해양문화사전 > 해양민속 > 놀이

1966년 2월 15일 국가지정 중요 무형문화재 제8호로 지정된 강강술래는 주로 진도를 비롯해 해남·완도·무안 등 전라남도 해안일대에서 성행되어 왔다. 노래와 무용과 놀이가 혼합된 부녀자들만의 놀이로, 주로 추석날밤에 행하여지며 정월 대보름날 밤과 칠월 백중에도 놀았다. 명칭은 ‘강강수월래’ 또는 한자로 ‘强羌水越來(강강수월래)’로 표기하는 일도 있으나 ‘강강술래’가 일반적이다. 강강술래의 역사는 추정하기 나름이라 정확하지는 않다.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전술적으로 만들었다는 구전이 있는가 하면, 어원적으로 해석을 해서 오랑캐 또는 왜구의 내침과 관련하여 설명하는 사람도 있다. 강한 오랑캐가 물을 건너온다는 뜻으로 강강수월래(强羌水越來)라고 불렀다는 설명도 있지만 믿을 만한 근거를 갖고 있지 못한다. 강강술래는 원시시대의 부족이 달밤에 노래하고 춤추던 유습(풍습)에서 비롯된 민속놀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오랜 옛날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은 달의 운행원리에 맞추어 자연의 흐름을 파악하였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서 보름달이 차지하는 위치는 가장 중요할 수밖에 없었다. 즉, 달이 가장 밝은 추석날이나 정월 대보름날이면 고대인들은 축제를 벌여 춤과 노래를 즐겼고, 이것이 ‘강강술래’라는 놀이로 정형화되면서 전승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렇게 전승된 ‘강강술래’를 이순신이 의병술(擬兵術)로 채택, 임진왜란에서 승리를 거둠으로써 널리 보급되고 더욱 큰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진도에서 매우 흔하게 추어지던 강강술래는 예전에도 젊은 여자들, 특히 30대 이내의 여자들에 의해서 추어졌다고 한다. 그만큼 격렬한 춤이기도 하다. 넓은 의미의 강강술래는 여러 가지 부수적인 놀이까지 포함하지만, 협의의 강강술래는 왼손을 앞으로 내어 앞사람의 오른손을 잡은 형태로 여러 명의 여자들이 어울려 원형으로 뛰면서 추는 춤을 의미한다. 강강술래는 빠르기에 따라 긴강강술래, 중강강술래, 잦은강강술래로 추어진다. 처음에는 긴강강술래로부터 시작해서 점점 흥이 고조되면 춤동작이 노래에 맞춰 빨라진다. 한참을 잦은강강술래를 즐기다가 지치면 여러 가지 여흥놀이를 하며 즐긴다. 진도에서 전승되던 여흥놀이로는 개고리타령, 남생아 놀아라, 고사리 꺽자, 쥔쥐새끼놀이, 청어엮고 풀기, 기와밟기, 덕석몰이, 꼬리따기, 문지기놀이, 가마등, 수건놓기, 외따먹기 등을 들 수 있다. 강강술래가 추어지는 추석의 세시적 의미는 무엇보다도 풍농감사제라는 것이다. 추석은 농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졌으며, 풍년을 들게 해준 조상신과 자연신에 대해 감사제를 올리는 성격을 지닌다. 음력 8월 한가위가 명절로 이야기된 것은 신라 때부터이다. 신라 3대 노례왕 때 궁성의 여자들이 좌우로 편을 갈라 길쌈을 해서 한가위 때 승패를 가리는 행사가 있었다. 이런 행사는 물론 다른 의미도 있지만, 우선은 여성 위주의 놀이였다는 데 의미를 둘 수 있다. 추석과 연관된 여성의 집단유희는 이미 신라시대의 세시풍속에서 찾아볼 수 있는 예이다. 대보름에 행해졌던 줄다리기가 남녀로 편을 갈라 생생력을 돋우고, 또 여성편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는 속신으로 채워진 데에 반해, 추석놀이는 여성 중심의 행사로서 크게 치러졌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이는 곡식의 생산을 자식의 생산과 일치시켜 생각했던 원시적 사고가 투영된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자식을 낳을 수 있는 젊은 여성들이 둥근 보름달 아래에서 둥글게 원을 그려 춤을 춤으로써 들녘의 곡식들이 잘 여물어 풍년을 구가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강렬한 집단적 기도라고 할 수 있다.
• 출처 : 디지털진도문화대전>

연관목차

1606/2347
표해록
문인
해양민속
놀이
진도 강강술래 지금 읽는 중
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