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비라 자바지무

음비라 자바지무

[ Mbira dzavadzimu ]

요약 음비라 자바지무는 직사각형 나무 판 위에 설치된 20~30개의 금속판(건반)을 튕겨서 소리내는 유율타악기이다. 짐바브웨에 주로 거주하는 쇼나족의 전통 악기이며, 단순히 음비라라고도 불린다.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왼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건반을 튕기며, 박으로 만든 울림통 안에 넣고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오늘날 짐바브웨를 대표하는 악기로, 전통음악 뿐 아니라 대중음악 장르에도 자주 사용된다.
음비라 자바지무

음비라 자바지무

분류 타악기 > 유율타악기
호른보스텔-작스 분류 몸울림악기(Idiophone, 體鳴樂器)
주요 사용 지역 짐바브웨
주요 사용 명칭 Mbira dzavadzimu, Mbira, Mbira dze midzimu, Mbira huru, Mbira nhare(쇼나어)

1. 음비라 자바지무

음비라 자바지무(Mbira dzavadzimu)는 에 주로 거주하는 (Shona)의 전통 라멜로폰(Lamellophone, 또는 라멜라폰Lamellaphone)이다. 라멜로폰은 상자나 판 형태의 몸통 앞면에 좁고 긴 금속 또는 나무 건반 여러 개가 배열되어 있고 이 건반들을 손으로 튕겨서 연주하는 유율타악기를 일컬으며, 아프리카에는 이름과 형태, 건반 수, 건반 배열, 조율, 연주관습이 다른 수많은 라멜로폰이 존재한다.

짐바브웨의 위치

짐바브웨의 위치

아프리카의 다양한 라멜로폰

아프리카의 다양한 라멜로폰 일본 하마마쓰시 악기 박물관(浜松市楽器博物館) 소장

오늘날 짐바브웨의 라멜로폰 중 가장 유명한 음비라 자바지무는 직사각형 나무 판 위에 음높이가 다른 20~30개의 금속판(건반)이 우측에 1단, 좌측에 2단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건반의 음높이는 전통적인 7음 음계에 맞춰 조율된다. 그러나 조율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악기마다 건반의 음높이와 음역이 다를 수 있다. 음비라 자바지무는 조상의 영혼을 부르는 전통 의식인 비라(Bira)에 사용되는 합주용 악기이며, 아주 드물게 독주 악기로도 사용된다. 대중음악에 사용될 경우에는 다양한 형태로 연주될 수 있다. 연주 시에는 악기의 몸통 오른쪽 아래에 있는 구멍에 오른손 새끼손가락을 끼우고 양손으로 악기를 잡은 채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 왼손 엄지손가락을 이용해 건반을 튕긴다. 음량을 키우기 위해 박으로 만든 울림통(데제, deze) 안에 넣고 연주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비라 자바지무와 데제(울림통)

음비라 자바지무와 데제(울림통) 일본 하마마쓰시 악기 박물관(浜松市楽器博物館) 소장

음비라 자바지무는 오늘날 짐바브웨를 대표하는 악기로 짐바브웨 안팎에서 매우 유명하다. 그러나 음악인류학자 휴 트레이시(Hugh Tracey, 1903~1977)에 따르면 1930년대 초까지만 해도 음비라 자바지무는 소수의 지역에서만 연주되고 있었고, 이 악기를 제작하고 연주하는 전통이 사라지고 있었다. 이렇게 사라져 갈 뻔했던 음비라 자바지무는 민족주의적 사고의 확산과 독립전쟁이라는 시대적 분위기에 힘입어 1960년대 중반부터 짐바브웨에서 많은 관심을 받게 된다.

독립전쟁이 격렬했던 1970년대 동안 짐바브웨의 음악가들은 짐바브웨의 전통음악을 서구에서 유입된 대중음악 장르들과 결합시키는 시도를 했고 여기에 정치적 가사를 붙여서 노래했다. 이러한 음악은 시대적 분위기와 맞아 떨어져 큰 인기를 누렸고 짐바브웨의 전통음악과 쇼나의 라멜로폰 전반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이 같은 경향은 1990년대까지도 이어졌고 그 과정에서 쇼나의 라멜로폰 중에서도 음비라 자바지무가 짐바브웨를 대표하는 민족 악기로 자리잡았다. 음악인류학자 폴 벌리너(Paul Berliner, 1946~ )는 쇼나 음악가들이 음비라 자바지무를 짐바브웨에서 탄생한 유일한 라멜로폰으로 여기기 때문에 이 악기가 쇼나족의 라멜로폰 중에서도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설명한다.1)

2. 음비라 자바지무의 명칭

쇼나어로 음비라(Mbira)는 쇼나족의 라멜로폰을 통칭하는 용어이자 라멜로폰에 사용되는 개별 건반을 지칭하는 말이다. 음비라 자바지무(Mbira dzavadzimu)라는 명칭은 음비라라는 단어에 ‘조상들의 영혼’을 가리키는 바지무(vadzimu)라는 수식어가 붙은 형태로, ‘선조들의 영혼이 깃든 음비라, 조상들의 음비라’라는 의미이다. 쇼나족의 라멜로폰을 조사한 휴 트레이시는 바지무의 동의어인 미지무(midzimu)를 수식어로 붙인 음비라 제미지무(Mbira dze midzimu)라는 명칭으로 이 악기를 기록했다. 이러한 명칭이 붙은 이유는 음비라 자바지무가 조상들의 영혼을 부르는 비라(Bira) 의식에서 연주되는 악기이기 때문이다.

짐바브웨 내에서는 음비라 자바지무라는 명칭이 적절하지 않다는 주장도 있는데, 헤라(Hera), 마테페(Matepe), 은자리(Njari) 등 짐바브웨의 다른 라멜로폰들도 근본적으로 조상들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견해를 가진 연주자들은 음비라 자바지무를 단순히 음비라라고만 부르며, 이때의 음비라는 음비라 자바지무와 동의어로서, 헤라, 마테페, 은자리 등 다른 라멜로폰을 포함하지 않는 개념이다. 음비라 자바지무는 음비라 후루(Mbira huru), 음비라 은하레(Mbiranhare)라고도 불린다. 후루는 쇼나어로 ‘위대한, 큰’이라는 의미이며, 나레는 ‘쇠’를 뜻한다.

3.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법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 자세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 자세

음비라 자바지무는 왼손 엄지손가락, 오른손 엄지손가락과 집게손가락으로 연주한다. 왼손 엄지손가락으로는 악기 왼편에 있는 저음역(좌측 하단)과 중간음역(좌측 상단)의 건반을 연주한다. 오른손 엄지손가락으로는 고음역(우측) 건반에서 가장 왼쪽에 있는 3개의 건반을 연주하고, 오른손 집게손가락으로는 고음역의 나머지 건반을 연주한다. 두 엄지손가락으로는 위에서 아래로 건반을 튕기고, 집게손가락으로는 아래에서 위로 건반을 튕긴다. 건반을 튕길 때는 손톱이나 손끝, 또는 손가락 피크 등을 이용한다. 연주에 사용하지 않는 손가락으로는 악기를 잡는데, 이때 오른손 새끼손가락은 몸통에 있는 손가락 구멍에 끼운다.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 자세(반대편에서 본 모습)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 자세(반대편에서 본 모습)

4. 음비라 자바지무의 연주 형태

음비라 자바지무의 대표적인 연주형태는 비라(Bira) 의식을 반주하는 소규모 합주에 편성되는 것이다. 비라 의식은 바지무(vadzimu) 또는 미지무(midzimu)라고 불리는 직계 조상들의 영혼을 부르는 접신 의식이다. 비라 의식에서 음비라 자바지무의 역할은 조상들의 영혼을 부르는 것이다. 쇼나인들은 음비라 자바지무가 조상들의 영혼을 지상으로 불러올 수 있는 힘을 지니고 있다고 여긴다. 지상으로 내려온 조상들의 영혼은 영매의 접신을 통해 산 사람과 소통한다. 비라 의식은 밤새 이어지고, 음비라 자바지무의 음악도 의식이 치러지는 내내 연주된다.

비라 의식을 반주하는 합주단은 2명 이상의 음비라 자바지무 연주자와 1명의 (Hosho, 짐바브웨의 래틀) 연주자로 구성되며, 음비라 자바지무 연주자가 노래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연주자들 이외의 참석자들도 음악에 맞춰 춤을 추고 박수를 치거나 노래를 하는 등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음비라 자바지무는 이 밖에도 여흥을 위해 연주되기도 하며, 드물게 독주 악기로 사용될 때도 있다. 오늘날 음비라 자바지무는 이러한 전통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로 연주되기도 한다.

5. 음비라 자바지무 관련 정보

"Chinyan'anya" 외 12곡 (CD 트랙 1~13번)
앨범
연주 Chartwell Dutiro

"Dangurangu" 외 6곡 (CD 트랙 1~7번)

"Dangurangu" 외 6곡(CD 트랙1~7번)
앨범
연주 Ephat Mujuru

"Nhemamusasa: Instrumental Excerpt I" 외 9곡 (CD 트랙 1~10번)

"Nhemamusasa: Instrumental Excerpt I" 외 9곡 (CD 트랙 1~10번)
앨범
연주 Various Artists

"Nhiriri (Wild Cat)" 외  5곡(CD 트랙1~  6번)

"Nhiriri (Wild Cat)" 외 5곡(CD 트랙1~6번)
앨범
연주 Matemai Mbira Group

"Ndomuwanepiko?" 외 8곡 (CD 트랙 1~9번)

"Ndomuwanepiko?" 외 8곡 (CD 트랙 1~9번)
앨범
연주 Mbira Dzenharira

참고문헌

  • Berliner, Paul. The Soul of Mbira: Music and Traditions of the Shona People of Zimbabw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 Berliner, Paul. "Music and Spirit Possession at a Shona Bira" African Music 5/4(1975/1976): 130-139.
  • Dutiro, Chartwell & Keith Howard, eds. Zimbabwean Mbira Music on an International Stage: Chartwell Dutiro's Life in Music. Ashgate Publishing, 2007.
  • Koskoff, Ellen et al. eds. The Concis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volume 1. Routledge, 2008.
  • Owomoyela, Oyekan. Culture and Customs of Zimbabwe. Greenwood Press, 2002.
  • Shepherd, John et al., eds. Continuum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f the World, volume 2: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ntinuum, 2003.
  • Stone, Ruth M., ed. The Garland Encyclopedia of World Music: Africa. Routledge, 2013.
  • Tracey, Hugh. “The Mbira class of African instruments in Rhodesia (1932).” African Music 4/3(1969): 78-95.
  • Turino, Thomas. “The Mbira, Worldbeat, and the International Imagination.” The World of Music, 52-1/3(2010): 171-192.
  • Welsh-Asante, Kariamu. Zimbabwe Dance: Rhythmic Forces, Ancestral Voices - an Aesthetic Analysis. Africa World Press, 2000.
  • Austin, Toby & Roger Vetter. “,” Grinnell College Musical Instrument Collection.
  • Berliner, Paul. Liner notes for Nonesuch H-72077[LP], 1977.
  • Kubik, Gerhard & Peter Cooke. “Lamellaphone.” (Grove Music Online).
  • Malamusi, Moya Aliya. “Chimurenga.” (Grove Music Online).
  • Turino, Thomas. “Zimbabwe, Republic of.” (Grove Music Online).
  • “” MbiraMagic.com.
  • MBIRA - The non-profit organization devoted to traditional music of Zimbabwe.
  • MBIRA - The non-profit organization devoted to traditional music of Zimbabwe.
  • “” MbiraMagic.com.

연관목차

998/1344
음비라 자바지무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