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을 하게 하는 치료법

월경을 하게 하는 치료법

[ 通血治法 ]

胞脉閉, 月事不來, 先服降心火之劑, 宜三和湯, 玉燭散, 次服五補元 方見虛勞, 後以衛生湯補脾養血1). ○ 二陽之病, 月事不來, 先瀉心火, 血自下, 亦用上藥[潔古]2). ○ 氣上迫肺, 月事不來, 宜導痰降火, 則心氣下通, 而月事來, 宜通經湯3)[丹心]. ○ 先賢治血閉之法, 皆主於補血瀉火. 補血者四物湯, 瀉火者調胃承氣湯, 卽玉燭散也[綱目]4). ○ 胃弱血枯經斷, 宜補中益氣湯 方見內傷 加川芎生地黃天花粉5). ○ 正半産後失血多經閉, 宜十全大補湯 方見虛勞[入門]6). ○ 濕痰粘住, 經閉者, 導痰湯 方見痰飮 加川芎當歸黃連, 不可服地黃[入門]7). ○ 室女勞心血閉, 宜柏子仁丸, 澤蘭湯[良方]8). ○ 氣血盛實, 經血遏閉者, 宜萬痛丸, 血極膏[入門]9). ○ 血海疼痛, 宜烏藥湯[東垣]10). ○ 血閉通用增味四物湯, 導經丸, 瑞金散, 六合湯. ○ 脾胃鬱火耗血不通, 宜歸脾湯 方見神門. 肝脾鬱怒, 血傷不通, 宜加味歸脾湯[良方].

포맥이 막혀 월경이 나오지 않으면 먼저 심화(心火)를 내리는 , 을 쓰고 그 다음에 오보원(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먹는다. 그런 다음 으로 비(脾)를 보하고 혈을 기른다[養血]. ○ 두 양[二陽]의 병으로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먼저 심화를 내리면 월경이 저절로 나온다. 이때도 앞의 약을 쓴다(결고). ○ 기가 올라가 폐를 압박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은 담을 끌어내리고[導痰] 화(火)를 내리면 심기(心氣)가 아래로 통하여 월경을 하는데, 을 쓴다(단심). ○ 선현들은 월경이 나오지 않는 것에 대한 치료 방법으로 모두 혈을 보하고 화(火)를 내리는 방법을 썼다. 혈을 보하는 데는 을, 화(火)를 내리는 데는 조위승기탕, 즉 옥촉산을 쓴다(『의학강목』). ○ 위(胃)가 약하고 혈이 말라서 월경이 끊어진 데는 보중익기탕(처방은 「내상문」에 있다)에 천궁·생지황·천화분을 더 넣고 쓴다. ○ 아기를 낳거나 유산으로 출혈을 많이 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십전대보탕(처방은 「허로문」에 있다)을 쓴다(『의학입문』). ○ 습담이 늘어붙어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처방은 「담음문」에 있다)에 천궁·당귀·황련을 더 넣고 쓰며, 지황은 먹어서는 안 된다(『의학입문』). ○ 처녀가 노심초사하여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 을 쓴다(『부인대전양방』). ○ 기혈이 너무 왕성하여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데는 , 혈극고를 쓴다(『의학입문』). ○ 혈해(血海)가 아픈 데는 을 쓴다(동원). ○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 , , 을 두루 쓴다. ○ 비위(脾胃)에 화(火)가 몰려 혈이 마르고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처방은 「신문」에 있다)을 쓰고, 간(肝)과 비(脾)에 성낸 기운이[怒] 막혀 혈(血)이 상하고 월경이 나오지 않는 데는 을 쓴다(『부인대전양방』).

연관목차

1330/2043
삼초부(三焦腑)
포(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