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중기

[ 中氣 ]

本事曰, 凡人暴喜傷陽, 暴怒傷陰, 憂愁怫1)2), 氣多厥逆3), 便覺涎潮昏塞, 牙關緊急4). 若槪作中風用藥, 多致殺人. 若有此證, 急化蘇合香元灌5)之, 醒後隨證調治6). ○ 得效曰, 中風則脈浮身溫, 口多痰涎. 中氣則脈沈身凉, 口無痰涎. 中風而以中氣藥治之, 亦無所傷. 中氣而以中風藥投之, 禍不旋踵7), 先用蘇合香元. 次用七氣湯加石菖蒲.

『보제본사방』에서는 "사람이 갑자기 너무 즐거워하면 양(陽)을 상하고, 갑자기 몹시 화내면 음(陰)을 상하며, 걱정과 근심으로 마음이 답답하면 대개 기가 치밀어오르게 되니[厥逆], 갑자기 침을 흘리고 까무러치며 입을 악다물게[牙關緊急] 된다. 이를 만약 중풍으로 보고 약을 쓰면 흔히 사람을 죽이게 된다. 만약 이러한 증이 있으면 급히 을 개어 흘려먹이고 깨어나면 증에 따라 치료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 『세의득효방』에서는 "중풍(中風)은 맥이 부(浮)하고 몸은 따뜻하며 입에 담연(痰涎)이 많다. 중기(中氣)는 맥이 침(沈)하고 몸이 차며 입에 담연이 없다. 중풍에 중기 약으로 치료하여서는 크게 손상됨이 없으나 중기에 중풍 약을 쓰면 곧 부작용이 난다"고 하였다. 먼저 소합향원을 쓰고, 뒤에 에 석창포를 더 넣어 쓴다.

○ 方氏曰, 中風多不能治, 中氣須曳8)便醒, 其故何歟9). 夫中風中氣, 一源流也, 皆由忿怒所致. 人之五志, 惟怒爲甚, 所以爲病之暴也. 盖少壯之人, 氣血未虛, 眞水10)未竭, 火畏於水, 不能上升, 所以身凉無痰涎, 須曳11)便醒也. 老衰之人, 氣血俱虛, 眞水已竭, 火寡於畏, 得以上升, 所以身溫有痰涎, 多不能治也12).

○ 방광(方廣)은 "중풍은 대개 치료가 불가능한데, 중기는 잠시 있다 곧 깨어나니 무엇 때문에 그러한가. 중풍이나 중기의 근원은 하나로, 모두 분노로 인하여 생긴다. 사람의 오지(五志) 중에서 오직 이 제일 심하여 갑자기 병이 생기는 원인이 된다. 대개 소년이나 장년인 사람은 기혈이 아직 허하지 않고 진수(眞水)가 마르지 않아서 화(火)가 수(水)를 두려워하여 마음대로 올라가지 못하므로 몸이 서늘하고 담연이 없고 [병이 생겨도] 잠시 있다 곧 깨어난다. 그러나 노쇠한 사람은 기혈이 허하고 진수가 이미 말라 화가 두려움이 적어 마음대로 올라가므로 몸이 덥고 담연이 있으며 대개는 치료가 안 된다"고 하였다.

○ 入門曰, 中氣虛者, 八味順氣散. 實者, 四七湯13). ○ 回春曰, 中氣者, 因與人相爭, 暴怒氣逆, 而暈倒也. 先用薑湯灌救, 甦後用木香順氣散14). ○ 醫鑑曰, 內經曰, 無故而瘖, 脈不至, 不治自已15), 謂氣暴逆也. 氣復則已, 審如是, 雖不服藥亦可16).

○ 『의학입문』에서는 "중기의 허증에는 을 쓰고, 실증에는 을 쓴다"고 하였다. ○ 『만병회춘』에서는 "중기는 다른 사람과 서로 싸워서 갑자기 크게 화냄으로써 기가 위로 거슬러올라가[上逆] 어지러우면서 실신하는 것이다. 먼저 생강 달인 물을 흘려먹여서 목숨을 구하고 깨어난 뒤에는 을 쓴다"고 하였다. ○ 『고금의감』에서는 "『내경』에서 '아무 이유 없이 말이 나오지 않고 맥이 뛰지 않는 것은 치료하지 않아도 저절로 낫는다'고 하였는데, 이는 기가 갑자기 거슬러오른 경우[氣逆]이다. 그래서 기가 제자리로 다시 돌아가면 병이 낫는 것이다. 살펴보아서 이런 경우라면 약을 쓰지 않아도 좋다"고 하였다.

연관목차

187/2043
기(氣)
중기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