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는 곡식[음식물]에서 생긴다

기는 곡식[음식물]에서 생긴다

[ 氣生於穀 ]

靈樞曰, 人受氣於穀, 穀入於胃, 以傳與肺, 五臟六腑皆以受氣. 其淸者爲榮, 其濁者爲衛1). 榮在脈中, 衛在脈外. 榮周不休, 五十度2)而復大會. 陰陽相貫, 如環無端3). ○ 又曰, 上焦開發4), 宣5)五穀味, 熏膚充身澤毛, 若霧露之漑, 是謂氣6).

○ 正理曰, 日啖7)飮食之精熟者益氣, 此氣生於穀, 故從气8)從米. 人身之中, 全具天地陰陽造化之氣, 得勤而用之. 人年二9)十而氣壯, 節慾少勞, 則氣長而緩. 多慾勞倦, 則氣少而短. 氣少則身弱, 身弱則病生, 病生則命危矣.

『영추』에서는 "사람은 곡식에서 기를 받는다. 곡식이 위에 들어오면 [곡식을 소화시켜] 그 기를 폐에 전함으로써 오장육부 모두가 [이런 식으로] 기를 받아서 그 가운데 맑은 것[淸]은 영기(榮氣)가 되고, 그 가운데 탁한 것은 위기(衛氣)가 된다. 영기는 맥(脈) 속에 있고 위기는 맥 바깥에 있어서, 영기는 쉬지 않고 돌아 50번을 돌고 [영기와 위기가] 다시 만나니 음양이 서로 연결됨이 고리와 같이 끝이 없다"고 하였다. ○ 또한 "상초(上焦)는 오곡의 미(味)를 전신에 펼쳐 보내 피부를 따뜻하게 하고 몸을 채우며 털을 윤기나게 함이 마치 안개나 이슬이 [만물을] 촉촉이 적셔주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바로 기(氣)이다"라고 하였다.

○ 『정리』에서는 "매일 먹는 음식 가운데 정미롭고 잘 익은 것은 기(氣)를 더해준다. 이 기는 곡식에서 생기므로 운기 '기(气)' 자와 쌀 '미(米)' 자를 합하여 '기(氣)' 자를 만들었다. 사람의 몸에는 천지 음양의 조화로운 기가 온전히 갖추어져 있어 그것을 삼가서 사용할 수 있다면 20세에 기가 굳건해지는데, 욕심을 절제하고 수고로움을 적게 하면 숨이 길면서 느긋해지고, 욕심이 많고 너무 힘을 써서 피로하게 되면 기가 적어지고, 숨이 차게 되니, 기가 적으면 몸이 약해지고 몸이 약해지면 병이 생기며 병이 생기면 생명이 위태로워진다"고 하였다.

연관목차

166/2043
기(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