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기

소기1)

[ 少氣 ]

綱目曰, 少氣者, 氣少不足以言也2). ○ 靈樞曰, 肺臧氣, 氣不足則息微少氣3). 又曰, 肺虛則少氣, 不能報息4). 又曰, 腎生氣, 腎虛則少氣力, 言吸吸, 骨痠5)懈惰6)不能動7). 又曰, 膻中爲氣之海, 不足則少氣不足以言8).

○ 內經曰, 怯然少氣者, 是水道不行, 形氣消索也9). 言而微, 終日乃復言者, 奪氣也10). 宜生脈散 方見暑門, 人蔘膏, 獨蔘湯, 黃芪湯. ○ 易老曰, 眞氣虛弱, 脈弱懶語. 宜四君子湯, 人蔘黃芪湯, 益氣丸. ○ 東垣曰, 內傷脾胃, 致中氣虛少. 宜補中益氣湯, 益胃升陽湯 並見內傷.

『의학강목』에서는 "소기(少氣)는 기가 적어서 말하기가 힘든 것이다"라고 하였다. ○ 『영추』에서는 "폐는 기를 저장하는데 기가 부족하면 호흡이 약하고 소기한다"고 하였으며, 또 "폐가 허하면 소기하고 숨을 이어서 쉴 수 없다"고 하였다. 또 "신(腎)은 기를 생기게 하는데 신이 허하면 기력이 적고 말을 하면서도 계속 숨을 들이쉬며 뼈가 시리고[骨痠] 몸이 늘어져[懈惰] 움직일 수가 없다"고 하였으며, "전중(膻中)은 기가 모이는 곳[氣海]으로, 기가 부족하면 소기하고 말하기가 힘들다"고 하였다.

○ 『내경』에서는 "겁이 많고 소기한 것은 수도(水道)가 잘 돌지 못하여 형(形)과 기(氣)가 모두 없어진 것이다. 말소리에 힘이 없고 하루 종일 하였던 말을 되풀이하는 것은 기가 다 빠져나간 것이다"라고 하였는데, 생맥산(처방은 「서문(暑門)」에 있다), , , 을 쓴다. ○ 『역로』에서는 "진기(眞氣)가 허약하고 맥이 약하며 말하기를 싫어한다"고 하였는데, , , 을 쓴다. ○ 이고(李杲)는 "안으로 비위를 상하여 중기(中氣)가 허(虛)하고 적어지게 된 데는 보중익기탕, (두 처방은 모두 「내상문」에 있다)을 쓴다"고 하였다.

연관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