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식법

태식법

[ 胎息法 ]

眞詮曰, 人在胎中, 不以口鼻呼吸, 惟臍帶繫于母之任脈, 任脈通于肺, 肺通于鼻, 故母呼亦呼, 母吸亦吸, 其氣皆于臍上往來. 天台1)謂識神托生2)之始, 與精血合根在於臍, 是以人生時, 惟臍相連. 初學調息, 須想其氣出, 從臍出入 從臍滅. 調得極細, 然後不用口鼻, 但以臍呼吸, 如在胞胎中. 故曰胎息. 初閉氣一口, 以臍呼吸, 數之至八十一, 或一百二十, 乃以口吐氣, 出之當令極細, 以鴻毛着于口鼻之上, 吐氣而鴻毛不動爲度. 漸習漸增, 數之久可至千, 則老者更少, 日還一日矣. 葛仙翁每盛暑, 輒入深淵之底, 十日許乃出, 以其能閉氣胎息耳. 但知閉氣, 不知胎息, 無益也3).

『진전』에서는 "사람이 태중에 있을 때는 입과 코로 호흡하지 않고, 탯줄이 어머니의 임맥(任脈)에 연결되어 있어 그 임맥이 폐와 통하고 폐는 코와 통하므로 어머니가 숨을 내쉬면[呼] 태아도 내쉬며, 어머니가 들이마시면[吸] 태아도 따라서 들이마시게 되는데, 그 기는 모두 배꼽으로 드나드는 것이다. 코는 식신(識神)과 탁생(托生)의 시초로, 정과 혈과 함께 합해지는데 그 근본은 배꼽에 있다. 그러므로 사람이 처음 생명을 받을 때는 오직 [어머니와] 탯줄로만 서로 연결되어 있다. 조식(調息)을 처음 배울 때는 모름지기 그 기가 배꼽에서 나오고 배꼽으로 들어가 없어진다는 것을 생각하여 극히 세밀히 조정하여야 한다. 그 후 입과 코를 사용하지 않고 뱃속의 태아처럼 배꼽으로만 호흡하기 때문에 이것을 태식이라 한다. 처음에 태식은 숨을 한 모금 마시고 배꼽으로 호흡을 하면서 81 혹은 120까지 숫자를 센 다음 입으로 숨을 토하는데, 극히 가늘게 하여 기러기 털을 입과 코 위에 붙이고 숨을 내쉬어도 털이 움직이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이것을 더욱더 연습하고 헤아리는 숫자를 늘려서 천(千)이 되면, 노인이 다시 젊어지고 하루가 지나면 하루만큼 더 젊어진다. 갈홍은 매년 한여름철에 깊은 물 밑에 들어가 열흘이 되면 다시 나왔다 하니 이는 [코로 쉬는] 숨을 막아 태식을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숨을 막는 것만 알고 태식을 모른다면 아무런 이득이 없다"고 하였다.

○ 養性曰, 胎息者, 如嬰兒在母胎中, 氣息自在, 上至氣關4), 下至氣海, 不假口鼻之氣, 故能閉氣不息, 能入深泉, 旬日不出也. ○ 又曰, 內觀5)之要, 靜神定心, 亂想不起, 邪妄不侵. 氣歸臍爲息, 神入氣爲胎, 胎息相合, 混而爲一, 名曰太乙6).

○ 『손진인양성서』에서는 "태식이란 영아가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처럼 호흡[氣]이 자유로워서 위로는 기관(氣關)에, 아래로는 기해(氣海)에 이르지만 코와 입의 기를 빌리지 않기 때문에 숨을 막아 호흡하지 않고도 깊은 물속에 들어가 열흘이 되어도 나오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또 "내관(內關)의 요점은 신(神)을 고요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서 어지러운 생각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이니 [이렇게 하면] 사기가 제멋대로 침범하지 못한다. 기는 배꼽으로 돌아가 호흡[息]이 되고, 신은 기에 들어가 태(胎)가 되므로 태와 식이 서로 합하고 섞여 하나가 된 것을 태을(太乙)이라 한다"고 하였다.

연관목차

172/2043
기(氣)
태식법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