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시대법

삼시대법

[ 三時代法 , Three Age System ]

고고학에서 사용된 최초의 시대구분법으로, 덴마크를 중심으로 하는 스칸디나비아에서 시작되었다. 삼시대법에 대한 개념은 이미 18세기에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었으나 이를 처음으로 유물의 분류에 적용한 사람은 톰센(Thomsen)이다. 그는 덴마크의 초대박물관장으로 근무하면서 1836년에 간행된 덴마크 국립박물관 안내책자에 무기와 도구를 만드는데 사용된 도구에 따라 돌, 청동 및 철의 순서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여기에 따르면 각 시대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돌의 시대(The Age of Stone) : 무기와 도구가 돌·나무·뼈, 그밖에 다른 재료로 만들어졌고 금속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지지 않거나 전혀 알려지지 않았던 기간이다.

청동의 시대(The Age of Bronze) : 그 동안 무기와 자르는 도구들이 구리나 청동으로 만들어졌고 철이나 은에 대해서는 전혀 혹은 거의 알려지지 않은 기간이다.

철의 시대(The Age of Iron) : 야만기의 세번째이자 마지막 기간이며, 금속이 매우 잘 어울리는 무기와 도구들을 철로 만들었고, 이들을 제작하는 동안 점차 청동을 대체해 나가게 되는 기간이다.

그 뒤 그의 제자이며 뒤이어 국립박물관장에 취임한 월사에(Worsaae)는 층서적인 발굴을 통해 이를 보완하여 선사시대를 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 등으로 나누는 삼시대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삼시대법은 곧 바로 전 유럽과 다른 지역으로 파급되었다. 특히 덴마크를 중심으로 하는 스칸디나비아에서 크게 환영을 받았고, 이후의 고고학을 연구하는 편년설정과 문화단계를 구명하는데 결정적인 기준이 되었다. 이 삼시대법은 지역에 따라서 계속 유효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삼시대법은 후대 학자들에 의해 ‘선사학의 기초’, ‘근대고고학의 초석’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그 후 프랑스에서 구석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석기시대는 러복(Lubbock)에 의해 구석기와 신석기시대로 분리되었고, 웨스트롭(Westropp)에 의해 중석기시대의 개념이 제시된 연후에 5시대가 되었다. 이 삼시대법은 20세기 전반까지 고고학의 중요한 방법이었으나 점차 이에 대한 비판이 나오기 시작하였다. 즉 차일드(G.Childe)는 이와 같은 시대구분을 떠나 식량채집자들, 농업혁명, 도시혁명이라는 개념으로 선사문화를 설명하였고, 프류어(Fleure)나 피곳(Piggott) 등에 의해 삼시대법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참고문헌

  • 인물로 본 고고학사(최몽룡·최성락 편, 한울, 1997년)
  • In the Beginning(B.Fagan, HarperCollins, 1991년)
  • 시대구분에 대한 일견해(노혁진, 삼불김원용교수정년퇴임기념논총-고고학편, 1987년)
  • 한국고고학에 있어서 시대구분문제(김정배, 한국학보 14, 197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