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무지무덤

돌무지무덤

[ 積石塚(적석총) ]

요약 돌로 묘역(墓域)을 덮거나, 돌을 쌓아 분구(墳丘)를 마련한 무덤.
춘천 중도 적석총

춘천 중도 적석총

돌로 묘역(墓域)을 덮거나, 돌을 쌓아 분구(墳丘)를 마련한 무덤을 말한다. 고구려, 백제 초기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으로 잘 알려져 있으나, 돌무지무덤은 일찍이 선사시대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인천 옹진 시도, 통영 욕지도, 부산 동삼동 등 신석기시대 패총 유적지에서 돌무지무덤이 함께 확인된 바 있다. 청동기시대 초기의 것으로는 랴오둥반도[遼東半島] 일대의 장군산(將軍山)·노철산(老鐵山)·우가촌 타두무덤 등을 들 수 있다. 돌무지 밑의 묘광 배치는 중심적인 주체가 없고, 시설 규모 또한 특별한 무덤이 없으며, 부장품에서도 서로 차이가 없다. 따라서 무덤의 피장자는 가족이거나 서로 밀접한 혈연관계가 있는 구성원으로 보인다. 이와 유사한 특징을 보이는 돌무지무덤은 남한지역에서도 확인되는데, 한강 상류의 춘천시 천전리(泉田里) 돌무지무덤과 제주시 용담동(龍潭洞) 돌무지무덤 등이 대표적이다. 이들 무덤에는 부장품으로 토기편과 석촉 등의 석기류 몇 점이 있을 뿐이다.

이러한 무덤은 다음 시기에 이르면 많은 사람이 묻히고, 중심과 주변 무덤구덩이 간에 부장품과 무덤시설에서 차이가 나는 무덤으로 변하는데, 랴오둥반도 다롄시[大連市]의 강상(崗上)과 누상(樓上)무덤이 대표적이다. 강상무덤은 동서 28m, 남북 20m의 직사각형 묘역 안에 23기의 무덤이 있는데, 판돌로 정성들여 만든 7호무덤 주변으로 자갈로 거칠게 만든 22개의 무덤구덩이가 배치되었다. 그리고 이들 주변의 무덤에서는 140여 명이 한꺼번에 화장(火葬)된 채로 묻혀 있고, 누상무덤(동서 30m, 남북24 m)에서도 1·2호 돌덧널무덤 주위에 있는 10개의 돌덧널에서 화장된 많은 뼈가 나왔다. 부장품으로 비파형동검을 비롯한 마구류·수레부속·방패·활촉·도끼·끌과 각종 장신구가 나옴에 따라 북한학계에서는 이들 무덤을 수십 명의 노예를 순장한 노예소유자무덤이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단계의 돌무지무덤은 이후 고구려와 백제 초기에 보이는 돌무지무덤으로 연결된다. 고구려는 건국 초부터 돌무지무덤을 조성하여 왔는데, 압록강의 지류인 훈강[渾江] 유역의 랴오닝성[遼寧省] 환런현[桓仁縣] 일대와 압록강 중류의 지린성[吉林省] 지안시[集安市], 그리고 그 남안인 독로강(禿魯江) 유역의 시중군(時中郡)·자성군(慈城郡)·위원군(渭原郡) 등에 군집되어 있다. 초기에는 강가 모래바닥에 냇돌을 네모지게 깔고 널[棺]을 놓은 뒤 다시 냇돌을 덮는 정도의 간단한 구조였으나, 점차 냇돌 대신에 모난 깬돌[割石]을 써서 기단 시설을 마련한 위에 돌무지로 봉분을 만드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돌무지의 외형은 대체로 방대형(方臺形)을 이룬다. 이후 기단(基壇) 시설이 2단, 3단의 층을 이루는 것으로 변화하다가, 최종적으로는 무덤의 형태가 피라미드와 같은 계단식(階段式) 돌무지무덤을 이룬다. 계단식 돌무지무덤에는 중국계 돌방무덤[石室墓]의 영향을 받아 널길[羨道]이 달린 돌방[石室]을 만들기도 한다. 지안의 장군총(將軍塚)이 대표적이다.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은 5세기 전반 평양천도(平壤遷都) 이후 점차 쇠퇴하여 자취를 감추었다.

돌무지무덤 본문 이미지 1

 

한편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도 돌무지무덤이 확인되는데 파주, 연천 등 임진강 유역과 한강 하류인 서울 지역부터 한강 상류인 양평군 문호리, 춘천시 중도, 제천시 교리·도화리 등의 남한강 유역에서도 발견된다. 강가에 방형(方形)으로 냇돌을 깔아 기단을 마련하고, 주검을 안치한 후에 다시 냇돌을 쌓아 분구(墳丘)를 조성한 형태가 주로 확인되고 있으며, 서울 석촌동고분군에서는 계단식의 대형 돌무지무덤도 확인된다. 외형상 고구려의 계단식 돌무지무덤과 비슷한 모습이지만, 일부는 내부를 흙으로 채우고 있어 다른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돌무지무덤들은 백제 초기 지배세력이 사용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돌무지무덤의 전통은 이주 집단에 의한 고구려 문화의 유입으로 보기도 하지만, 토착 사회의 문화 전통을 계승하는 가운데 출현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한강 유역의 돌무지무덤 가운데 비교적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무덤들은 2~3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가장 발전된 양식을 보이는 석촌동 3호분, 4호분 등은 모두 4~5세기 정도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러한 무덤들은 백제 초기인 한성(漢城) 도읍기 연구에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고구려, 백제의 사례 외에도 경주 지역에서 확인되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나 대구 구암동에서 확인되는 돌무지돌덧널무덤[積石石槨墳]과 같은 신라 고분에서도 매장시설 위에 돌무지를 조성한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무덤 역시 넓은 의미에서 본다면, 돌무지무덤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