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고분

신라고분

[ 新羅古墳 ]

요약 신라 영역 내에서 신라 때 조영된 무덤.
천마총

천마총

통일 이전의 신라 무덤은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원삼국시대널무덤[土壙木棺墓]과 덧널무덤[土壙木槨墓]을 축조한 시기, 4세기 전반~6세기 초 경주에서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이, 그 외 주변 영남지역에서는 구덩식돌덧널무덤[竪穴式石槨墳]이 축조된 시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지역에서 독자성을 보여주던 고총이 점차 소멸되고, 경주에서는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이 축조되는 시기이다. 이 중에서도 역시 신라 특유의 무덤 양식이라면, 돌무지덧널무덤을 꼽을 수 있다.

돌무지덧널무덤

돌무지덧널무덤의 기원에 대해서는 선행 묘제에 대한 이해를 비롯한 다소의 논란이 있다. 문화 전파를 통해 선행 묘제와 관계없는 새로운 무덤이 출현했다고 보는 전파론적 견해와 선행 묘제인 돌무지무덤과 덧널무덤이 결합했다고 보는 자체 발생설의 견해가 있다. 전자에서는 봉토 내부에 덧널과 돌무지 시설을 갖춘 무덤 구조가 시베리아의 대형 봉토 무덤인 쿠르간과 직접 연관된 것으로 보고, 북방 기마민족의 이동으로 완성된 형태의 돌무지덧널무덤이 수용되었다고 파악한다. 반면, 후자에서는 선행 묘제로서 돌무지무덤의 영향을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논자에 따라 널이나 덧널무덤과 고인돌의 돌무지가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하고, 고구려 돌무지무덤과 결합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최근에는 대체로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본다. 무덤이 언덕위무덤[丘上墓]에서 평지무덤으로 되고, 또 소형무덤에서 대형무덤으로, 나아가 덧널을 보존하고, 봉토를 거대화하기 위해 돌무지의 전통을 채용한 것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렇듯 돌무지덧널무덤은 완성된 형태로 갑자기 출현한 것이 아니라 몇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 대형화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울산 지역 중산리의 발굴조사 결과 덧널무덤에서 돌무지덧널무덤으로의 변화가 확인되었고, 4세기 후반~5세기 전반의 돌무지덧널무덤은 발생기의 모습을 지니고 있어 몇 단계의 발전과정을 거쳐 경주 황남대총과 같은 대형의 돌무지덧널무덤으로 발전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돌무지덧널무덤은 관의 위치에 따라 지하식 ·지상식 ·반지하식 등으로 나뉘는데, 대부분 지하식이다. 이는 지하에 광을 파고 상자형 나무관을 짠 다음, 냇돌로 둥글게 쌓고 다시 봉토를 덮고 둘레돌[護石]을 돌린 것으로 추가장(追加葬)이 되지 않는다. 초기에는 주곽(主槨) 외에 부곽(副槨)이 있었으나, 부곽이 사라지고 유물은 주곽 안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돌무지덧널무덤은 무덤 구조상 도굴이 어려워 많은 유물들이 출토된다. 특히 금관을 비롯한 화려한 금공위세품은 경주 일원의 돌무지덧널무덤이 신라 최고 지배층의 무덤으로 쓰였음을 보여준다. 

굴식돌방무덤

돌무지덧널무덤 이후에 등장한 묘제는 굴식돌방무덤으로, 평면이 장방형이면서 평천정(平天井)을 한 것과, 방형널방에 궁륭식 천정을 가진 것으로 나뉜다. 관대에는 대개 머리베게[頭枕]와 족좌(足座)가 있다. 출현시기는 경주 보문리 부부총이 돌무지덧널무덤과 굴식돌방무덤이 쌍분을 이루므로 가장 이른 시기의 양식으로 보이며, 그 토기의 양상으로 6세기 중기로 편년된다. 평면이 대체로 방형이고 ‘ㄱ’자형의 널길[羨道]이 있는 이러한 굴식돌방무덤은 김해 ·고령 ·합천 ·현풍 ·인산 ·경산 ·경주 등에서 발견된다. 물론 가야 멸망 이전에 이미 백제의 영향으로 돌방무덤이 만들어지기도 했지만, 대체로는 각 지역의 독자적인 고총이 쇠퇴하고, 신라 중앙의 문화가 확산되어 간 결과로 이해할 수 있다. 한편, 순흥 읍내리에서 확인된 고분벽화나 방형널방의 남벽 중앙에 ‘모’자형 널길이 나있는 쌍상총(雙床塚)은 고구려 문화의 영향을 보여주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