덧널무덤

덧널무덤

[ 木槨墓(목곽묘) ]

요약 구덩이를 파고 널이나 껴묻거리를 함께 넣을 수 있는 덧널을 나무로 만든 무덤이다.

널무덤의 범주에서 논의하기도 하지만, 덧널무덤은 널과 널의 외부를 덧씌운 덧널로 이루어진 이중 구조를 갖추었다는 점에서 널무덤과 구분된다. 물론 덧널 안에 별도의 널을 갖추지 않은 경우도 많지만, 덧널은 주검만을 안치하기 위한 널과 비교하여 규모가 크고 껴묻거리도 훨씬 풍부하다.

일반적으로 이 고분 양식은 초기 철기시대위만조선과 관련되어 대동강유역으로 들어온 묘제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한(漢)나라가 군현을 설치하면서 평양을 중심으로 평안남도, 황해도 일대에서 성행한 것으로 파악된다. 평양시 낙랑구역, 남포시 강서구역, 황해남도 은율군 운성리(雲城里) 등에서 다수의 덧널무덤이 확인되었다. 서북한 지역에서는 낙랑군 설치를 전후해 이루어진 문화의 변화단계가 덧널무덤의 부장품에서 동검·동모·동촉·거마구·철모·철검·철도·철도끼·철제마구 등 청동기·철기 유물의 결합상을 통해 나타난다.

한편 낙동강 유역에도 덧널무덤이 널리 분포한다. 이 지역에서는 초기 철기시대인 기원전 2세기 무렵 널무덤이 조영되기 시작하여 기원후 2세기 중반까지 유행하다가, 이후 덧널무덤으로 발전되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대구 팔달동, 경산 임당동, 경주 조양동과 사라리, 창원 다호리 유적과 도계동, 김해 대성동, 함안 도항리 유적 등이 있다.

서북한 지역의 낙랑시대 덧널무덤은 지하 구덩이에 나무 각재(角材)로 네모난 방 모양의 덧널을 짜고, 그 안에 널과 부장품을 안치하고, 흙으로 봉분을 쌓았다. 봉분은 피라미드의 위를 잘라낸 것과 같은 방대형(方臺形)의 모습이다. 단독의 무덤도 있지만, 부부 또는 가족의 합장묘도 발견된다. 봉토의 일부를 깎아내고 추가장을 한 사례도 확인된다. 덧널이 한 칸이 아니라 앞뒤로 두 칸인 것도 있는데, 사실상 방과 같은 규모와 구조를 갖추고 있어 나무방[木室]으로 부르기도 한다. 평양에 있는 채협총(彩篋塚)은 묘도(墓道)와 앞뒤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한(後漢)말인 2세기 후반 구덩식[竪穴式] 무덤에서 굴식[橫穴式] 무덤으로 변화되어가는 과도기적 특징으로 파악된다. 채협총의 앞방에는 벽화가 남겨져 있기도 하다.

낙동강유역에서 덧널무덤으로서 특징이 잘 남아있는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다호리 1호 무덤을 들 수 있다. 다호리 무덤의 경우 부장품 중에 세형동검과 함께 전한대(前漢代)의 청동거울과 오수전(五銖錢)을 비롯하여 다량의 철기가 나와 한대(漢代) 철기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경주식의 돌무지덧널무덤이 아니면서 조양동 무덤과 연결되는 덧널무덤 계통의 무덤이 부산 복천동 학소대(鶴巢臺)와 경산 임당동에서 발견되었는데, 이는 덧널무덤과 돌무지덧널무덤의 계통성을 조사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