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 櫛文土器(즐문토기) ]

요약 토기의 겉면에 빗같은 무늬새기개[施文具]를 이용해 만든 기하학적인 무늬를 배합하여 각종 무늬를 그린 토기이다.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대체로 나무·뼈연장 또는 그것으로 만든 여러 가닥이 난 빗살모양의 무늬새기개를 가지고 그릇 바깥면에 짤막한 줄을 배게 누르거나 그어서 새긴 것을 빗살무늬라고 부른다. 이러한 빗살무늬는 질그릇에 따라 여러 모습을 나타내는데, 한국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은 선 ·점선으로 된 짧은 줄을 한쪽 방향으로 또는 서로 방향을 엇바꾸어가면서 그려서 그 모습이 생선뼈처럼 생긴 것이다.

그릇 모양은 밑창이 달걀처럼 생긴 것과 밑이 납작하여 깊은 바리[鉢]처럼 생긴 것이 대표적인데, 그릇 종류에는 독모양이 큰 것을 비롯하여 항아리 ·단지 ·대접 ·보시기 등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가 있다. 바탕흙에는 진흙에 모래만 섞은 것과 석면 ·활석부스러기 같은 것을 섞은 것이 있으며, 그릇 색깔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갈색이 기본을 이룬다. 대체로 섭씨 600~700°C 의 열을 가하여 구운 것인데, 땅을 판 구덩이에서 별다른 특별한 시설없이 장작불을 피워 구운 것으로 생각된다.

토기의 용도는 그 크기에 따라 각각 달랐을 것으로 추측하는데, 현재의 독과 같이 대형은 저장용, 중형은 취사용, 소형은 식기와 음식준비 과정에 각각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빗살무늬그릇은 형태와 무늬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며, 크게 북동 ·북서 ·중서부 ·남북 지방의 4지역군으로 구분된다.

북동 지방의 빗살무늬토기는 납작바닥의 깊은바리모양[深鉢形] 토기가 대부분으로, 이른 시기에는 짧은 선과 점으로 구성된 무늬를 몸통 윗부분 또는 아가리 둘레에 새겼고, 중기 이후에는 아가리가 밖으로 벌어지면서 새로이 타래무늬[渦文]가 등장하며, 후기에는 돌림무늬[雷文]토기 ·붉은칠[朱漆]토기와 함께 민무늬토기의 비율이 크게 증가한다. 웅기 서포항과 송평동, 나진 초도, 청진 농포동, 무산 범의구석과 두루봉 유적 등이 대표적이다.

청천강 이북의 북서 지방에서는 아직 신석기시대 이른 시기의 유적이 조사되지 않아 토기의 양상이 뚜렷하지 않다. 그러나 후기 유적인 용천 신암리와 쌍학리 ·용연리에서는 북동 지방과 특징을 달리하는 목항아리[長頸壺]와 굽다리잔[高杯], 그리고 바리토기 등이 출토되어 지역적인 특징이 뚜렷하다. 특히 청천강 유역의 정주 당산과 영변 세죽리 유적, 강원도 지역의 양양 오산리 유적에서 납작바닥[平底]과 둥근바닥[圓底]의 토기가 함께 출토되어 이 지역이 두 문화의 접변지역이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둥근바닥의 빗살무늬토기는 중서부지방과 남부지방의 토기로 구분된다. 중서부지방의 빗살무늬토기는 뾰족바닥[尖底]을 기본으로 하면서 바닥 ·몸통 ·아가리에 각각 서로 다른 무늬를 새긴 초기 단계에서, 점차 바닥 ·몸통의 순서로 무늬가 생략되다가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無文土器]로 넘어간다. 남부지방의 토기는 바닥이 뾰족하지만 약간 둥근편이고, 처음에는 아가리 부분에만 무늬를 넣다가 전면무늬로 바뀌게 되며 차츰 중서부지방과 마찬가지로 무늬가 생략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또한 중서부지방의 토기에서는 볼 수 없는 눌러찍은무늬[押捺文] ·심선문(沈線文) 계통의 토기, 붉은칠토기, 귀때토기[注口土器], 겹아가리토기 등이 출토되며, 부산 ·김해 ·남해 도서지방 등의 토기가 대표적이다. 이러한 빗살무늬그릇은 신석기시대의 거의 전기간에 걸쳐 쓰였으며, 그 전통은 청동기시대의 일부 질그릇에까지 계승되었다. 특히 한국에 특징적인 빗살무늬그릇은 한국을 중심으로 하여 중국 둥베이[東北]지방과 옌하이저우[沿海州] 등 주변일대에 널리 퍼져 있다.

한국의 빗살무늬토기는 그 기형, 무늬 수법으로 보아 시베리아의 영향을 받아 발생한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즉 북유럽 일대에 번영한 캄케라믹(Kammkeramik:櫛文土器)이 동쪽으로 전파되어 시베리아를 지나 한국으로 들어왔다고 생각하는 견해인데, 그 전래경로는 먼저 옌하이저우지방에서 한반도 북동해안으로 유입되어 동해안을 따라 남해안을 거쳐 서해안으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빗살무늬토기와 시베리아의 빗살무늬토기는 제작방법, 문양의 구성방법 등 세부적인 면에서 차이가 크며, 방사성 탄소연대측정치가 옌하이저우보다 더 오래된 연대를 나타내는 점 등을 들어 한국의 빗살무늬토기의 자생설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대체로 토기의 기형과 무늬를 보면 중서부지방의 문화는 시베리아 계통의 주민이 내몽골 발해만을 통해 대동강 하구로 이동한 것으로 보이며, 이 문화가 다시 한강으로 내려가 남부지방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남부지방은 원래 살던 돋을무늬[細線隆起文]토기의 토착민이 중서부지방과 일본 규슈[九州]지방의 교류 속에 독자적인 문화를 발전시킨 것으로 보이며, 북동지방은 중국 둥베이지방, 두만강 이북의 산림지대, 옌하이저우지방의 주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초기 양상을 분명히 알 수 없는 북서지방은 신암리 등의 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서 볼 때 랴오닝[遼寧] 및 지린[吉林] 지방과 같은 계열의 문화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