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무늬토기

민무늬토기

[ 無文土器(무문토기) ]

요약 무늬없는 토기.
구멍무늬 토기

구멍무늬 토기

청동기시대의 특징적인 토기로 알려져 있다. 신석기시대에 유행하던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가 청동기시대에 들어오면서 점차 소멸하고 대신 각지에서 다양한 모습의 무늬없는 토기가 널리 사용되었다. 민무늬토기는 빗살무늬토기에 비해 대체로 태토가 정선되지 못하고 기벽이 두터우며, 노천에서 낮은 온도로 구워졌기 때문에 흔히 적갈색을 띠고 있다. 기형(器形)의 측면에서 볼 때, 빗살무늬토기는 뾰쪽바닥과 둥근바닥이 많았지만 민무늬토기는 대부분이 납작바닥이라는 점이 큰 특색이고, 아울러 그릇에 목이 달린 토기가 많아진 것도 특색의 하나이다.

사발 ·보시기 ·접시 ·잔 ·항아리 등 다양한 기종(器種)의 민무늬토기는 각 지역별로 상당한 형태상의 특색을 나타내고 있어, 압록강 하류 유역의 미송리(美松里)식 토기, 압록강 중류 유역의 공귀리(公貴里)식 토기, 두만강 유역의 공렬토기(孔列土器), 청천강 이남의 평안도 및 황해도 지역의 팽이형 토기, 한강 유역의 가락(可樂)식 토기, 충남 일원의 송국리(松菊里)식 토기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초기 철기시대에 유행한 검은간토기[黑色磨硏土器]와 덧띠토기[粘土帶土器] 등도 민무늬토기의 범주에 포함된다. 민무늬토기는 BC 300년경부터 파급되기 시작한 철기(鐵器)문화와 함께 새로운 토기로서 두드림무늬토기[打捺文土器]가 등장하자 점차 소멸의 길을 걷기 시작하여, 기원 전후한 시기부터는 거의 사라졌다. 대신 종래의 민무늬토기와는 질적으로 다른 경질(硬質)민무늬토기가 두드림무늬토기와 함께 유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