둔산 선사유적지

둔산 선사유적지

[ 屯山 先史遺蹟地 ]

요약 대전광역시 서구 월평동에 있는 선사시대의 유적지. 1992년 10월 28일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둔산 선사유적지

둔산 선사유적지

지정종목 대전광역시 기념물
지정일 1992년 10월 28일
관리단체 서구
소재지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317번길 9 (월평동, 둔산선사유적지)
시대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종류/분류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유적분포지
크기 면적 18,750㎡

1992년 10월 28일 대전광역시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991년 3월 한국토지개발공사에서 택지개발 공사를 하던 도중 우연히 발견되었기 때문에 원래 지형의 일부는 이미 훼손된 상태였다. 발견 즉시 공사를 중단하고 1991년 5월부터 충남대학교박물관과 한국선사문화연구소에 의해 발굴작업에 들어가 그해 9월 중순에 마무리되었다.

발굴 결과 둔산 정상부의 능선을 따라 동남쪽에서 청동기시대 유적, 그 동쪽에서 구석기시대 유적, 북쪽에서 신석기시대 유적이 발굴되었는데 그중 청동기시대의 집터 3기는 도로개설을 위해 원래 발견된 자리에서 북쪽으로 약 15m 지점으로 전사이전(轉寫移轉:원래의 모습대로 다른 장소로 옮김)하여 선사유적공원으로 조성되었다.

구석기시대 유적은 약 2백평에 이르는 홍적세 퇴적층에서 발견되었다. 그 성격을 분명하게 알 수는 없지만 이곳에서 출토된 뗀석기[打製石器]의 형태나 제작 방법으로 볼 때 늦은 중기구석기나 이른 후기구석기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로는 망치돌·몸돌·격지[剝片] 등의 석기 50여 점과 석기를 만들 때 나오는 작은 부스러기 등이 있다. 그 밖에 쌍날찍개·긁개·밀개 등도 출토되었는데, 공주 석장리 구석기유적의 중석기시대의 유물과 같은 특징을 띠고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은 집터로 추정되는 지름 2~3m, 깊이 0.8~1.3m 규모의 구덩이 13기이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바닥이 둥근 빗살무늬토기의 파편과 보습, 갈돌[石棒]·그물추·다수의 석기재료 등이 있다. 신석기시대 후기(BC 2000~BC1000년)에 속하는 유물로 추정되고, 문화계통은 서해안 빗살무늬토기문화 전통이 강하지만 일부는 동북지방(함경도 해안지역)의 요소도 보인다.

청동기시대 유적은 직사각형의 집터 3기이다. 이중에는 화덕과 돌기둥이 설치되었던 곳도 있다. 출토된 유물로는 팽이토기·민무늬토기 파편·그물추· 가락바퀴(방추차) 등의 토기류와 돌도끼·돌살촉·돌칼 등의 간석기[摩製石器]류가 있다. 특히 팽이토기는 서북지방(대동강 유역과 황해도 일대)을 중심으로 한 본격적인 농경문화인 팽이형토기문화가 중부지방(한강유역과 그 이남)까지 확산되었다는 것을 상징한다.

둔산선사유적지는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한곳에서 구석기·신석기·청동기시대의 유물이 한꺼번에 발견되었다는 역사적 의의를 지니며, 이곳 갑천(甲川) 유역이 얕은 구릉과 넓은 농토, 풍부한 물을 배경으로 선사시대부터 많은 인류가 생활했던 곳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부근의 괴정동 청동기유적, 석장리 구석기유적 등과 함께 이 지방의 선사문화의 갈래와 계통을 확인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