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포

총포

[ involucre ]

속씨식물꽃차례 기부 혹은 열매의 기부에 다수의 포엽(bract) 들이 원을 그리며 둘러나는 의 변형체를 말하며, 집단을 이루는 총포의 각각을 총포편(phyllary)이라 한다.1) 흔히 국화과(Asteraceae/Compositae) 식물에서 밀집된 두상꽃차례의 꽃받기 아래에 둘려나는 녹색의 총포를 꽃받침으로 오해하기도 한다. 총포편 사이(총포편의 액)에서는 또는 싹이 생기지 않는다. 발생 초기 어린 꽃을 보호하는 기능을 하며 일부는 광합성을 통한 영양공급 기능을 한다.2)

A.해바라기(Helianthus annuus) 꽃의 총포엽 B.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꽃의 외종포엽과 내총포엽 C.서양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꽃의 절단면에서 총포엽과 설상화 확대도. (출처:김형섭)

목차

총포의 변이

전형적인 총포는 두상꽃차례를 이루는 국화과 식물의 에서 관찰된다. 일부 국화과 식물의 경우 총포엽의 색깔 및 형태가 내,외 2층으로 명확히 구별되는 경우 녹색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을 외총포엽(outer phyllaries), 녹색을 띠지 않고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내총포엽(inner phyllaries)라고 한다.

총포의 용어 사용

식물을 기재하는 용어로 총포를 사용하는 경우는 산형과(미나리과, Apiaceae/Umbelliferae)의 산형꽃차례 기부에 돌려나는 변형잎, 대극과(Euphobiaceae)의 배상꽃차례에 발달하는 포엽의 융합체, 자작나무(Betulaceae), 개암나무 열매나 너도밤나무과(Fagaceae: 참나무과) 열매의 각정(cupule)을 이루는 변형잎 등을 모두 총포라고 칭한다.

또한 이끼류와 우산이끼류장정기장란기의 무리를 에워싸는 모양체, 홍조류의 과포자낭을 감싸는 가지 등을 총포라 부르며, 동물에서는 메뚜기류에서 뒷가슴의 등판, 어떤 병든 상태에서 죽은 뼈의 주위에 형성되는 뼈의 층을 말하기도 한다.3)

A.산형화서를 이룬 당근(Daucus carota )의 총포엽; B.참나무속(Quercus spp.) 열매의 각정에 발달한 총포엽. (출처:wikimedia commons)

관련용어

포엽, 두상꽃차례, 외꽃받침

참고문헌

1. 김영동, 신현철 역 (2011) 식물계통학. 월드사이언스, 607
2. Weberling F (1989) Morphology of flowers and inflorescences. Cambridge Univ. Press, 44 
3. 김영환 역 (2013) 헨더슨 생물학 사전. 바이오사이언스, 4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