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형과

산형과

[ Apiaceae ]

산형과는 속씨식물 중 두 개의 공식적인 학명을 갖는 여덟 개의 과 중 하나로서, 모든 과명이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어미인 ~aceae를 그대로 사용한 Apiaceae와 전통적으로 일반인들도 많이 써온 이름인 Umbelliferae를 모두 사용한다. Umbelliferae는 우산 모양의 꽃차례를 의미하며, 이는 산형과 식물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한글명 '산형과'는 '산형'이라는 식물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대표적인 하위 분류군이 그 분류군의 이름으로 사용되어야 한다는 개념으로 이 과에 속하는 전형적인 식물명을 도입하여 산형과 대신 '미나리과'라 불리기도 한다. 이 과는 속씨식물 중 국화목(Asterales)에 속하는데, 전 세계에 434속 약 3,800 종이 알려져 있고, 주로 온대 지방에 분포한다.1)  

목차

계통학적 위치

최근 DNA에 의한 분자계통학적 연구1)2)3)는 산형과가 산형목(미나리목) 내에서 가장 발달한 분류군들 중 하나임을 보여주고 있는데, 미오도카푸스과(Myodocarpaceae)와 자매군을 형성하고 있고, 이들 두 분류군이 이루는 분계조는 다시 두릅나무과(Araliaceae)와 자매군을 형성하고 있다.

그림 1. DNA 자료를 통한 꽃식물 계통수 상의 산형과의 위치. (출처:김상태)

형태적 특징

식물체는 대부분 방향성 초본이다. 잎은 어긋나며 우상 또는 장상복엽 또는 단엽으로 다양하고, 흔히 깊게 갈라진다. 잎자루와 초(sheath)가 있는 경우도 있고, 턱잎은 없다. 꽃차례는 산형화서(umbel)로서 복산형화서를 이루기도 하며, 때로는 두상의 형태로 축소되기도 한다. 꽃은 일반적으로 방사상칭의 양성화이다. 꽃받침은 5개로 매우 축소되어 있는 상태이고, 꽃잎은 5개로 융합하거나 하지 않는다. 수술은 5개이고 수술대는 뚜렷하다. 심피는 2개이고 합쳐진다. 씨방은 자방병(stylopodium)이 있고, 씨방하위이고 중축태좌를 갖는다. 열매는 분리과(shizocarp)인데 두 개의 분과는 중앙이 갈라진 분과자루(carpophore)에 붙어있다. 과실의 모양과 특징은 종을 동정하는 중요한 형질이 된다.4)

우리나라의 산형과 식물

국립수목원의 국가표준식물목록5)에서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산형과 식물은 84 분류군에 이른다. 많은 분류군들을 포함하는 대표적인 속은 Angelica (참당귀속; 14 분류군)이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산형과 식물들 중 특산분류군들은 흰바디나물(Angelica cartilaginomarginata var. distans), 삼수구릿대(Angelica jaluana), 개강활(Angelica polymorpha var. fallax),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등대시호(Bupleurum euphorbioides),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좀시호(Bupleurum longeradiatum f. leveillei), 부전바디(Coelopleurum nakaianum), 섬바디(Dystaenia takesimana), 두메기름나물(Peucedanum coreanum), 덕우기름나물(Peucedanum insolens), 그늘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var. uchiyamana), 한라참나물(Pimpinella hallaisanensis), 속리참나물(Tilingia nakaiana)이 있다.

독미나리(Cicuta virosa)와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Ⅱ급으로 지정되어 있는 산형과 식물이다.6)

그림 2. 대한민국 자생 산형과 식물들의 예. A. 미나리(Oenanthe javanica). B.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C.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D. 참반디(Sanicula chinensis). E.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 참당귀(Angelica gigas). (출처:김상태)

경제적 이용

많은 식물들이 식용, 향신료 및 의약품재료로 쓰이며, 맹독성 물질을 포함한 식물도 많다. 강활(Ostericum praeteritum), 참당귀(Angelica gigas), 고본(A. tenuissima) 등의 뿌리는 한방에서 약재로 쓰이고 있으며, 참나물(Pimpinella brachycarpa), 기름나물(Peucedanum terebinthaceum), 개발나물(Sium suave) 등은 식용으로 나물로 먹는다.

참고문헌

1. Stevens PF (2001)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14, July 2017.
2. Soltis PS, Soltis DE, Chase MW (1999) Angiosperm phylogeny inferred from multiple genes as a research tool for comparative biology. Nature, 402: 402-404
3. Zeng L, Zhang Q, Sun R 등 (2014) Resolution of deep angiosperm phylogeny using conserved nuclear genes and estimates of early divergence times. Nature Comm, 5: 4956
4. Judd WS, Campbell CS, Kellogg EA 등 (2016) Plant Systematics- A Phylogenetic Approach. Fourth ed. Sinauer Associates Inc., Sunderland,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