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양배지

배양배지

[ plant cell culture media ]

미생물 또는 동, 식물 조직 및 세포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배양체가 필요로 하는 영양물질을 주성분으로 하여 고안된 다양한 형태의 물질을 배지라 하며, 이중 식물이나 식물조직의 배양을 위한 배지를 식물 배지(식물 조직배양 배지)라 한다. 특히 식물 배지는 배양체 식물(세포) 종류와 부위에 따라 알맞은 배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배지의 사용은 식물병과 같은 유해한 요소로 인한 피해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킨 조건에서 사용하여야 한다. 식물세포가 완전체 식물로 재생할 수 있는 능력을 이용하여, 씨앗이 없는 상황에서도 배양체와 똑 같은 식물을 생산하기 위해 배양배지가 주로 사용된다.

토양(흙)이 아닌 고체배지에서 식물의 성장 (출처:GettyimagesKorea)

목차

식물조직(세포) 배양 배지의 역사

1902, Haberlandt, 시험관 조건에서 세포 배양 개념 제안1)

1904, Hannig, 여러 가지 십자화과 종의 배아 배양2)

1922, 콜트(Kolte)와 로빈스(Robbins), 뿌리 줄기와 줄기 생장점 배양성공3)4)

1926, 벤트(Went), 식물 성장 호르몬(인돌 아세트산, indole acetic acid) 발견5)

1934, 화이트(White), 토마토 뿌리 생장점 배양 배지에 비타민 B를 성장 보충제로 사용6)

1939, 가우세레트(Gautheret), 화이트(White), 노베콜트(Nobecourt), 캘러스 지속적인 번식 확립7)8)

1941, Overbeek, 식물세포 분열을 위해 코코넛 밀크 사용9)

1946, Ball, 루피너스(Lupinus) 줄기 생장점 배양을 통해 완전체 식물 생산10)

1954, 뮤어(Muir), 캘러스 조직으로부터 단일세포 분리11)

1955, 스쿠그(Skoog), 밀러(Miller), 세포 분할 호르몬 kinetin 발견12)

1957, 스쿠그(Skoog), 밀러(Miller), 기관형성을 위한 옥신(auxin)과 사이토키닌 (cytokinin) 조절 개념 발표13)

1959, 레이널트(Reinert) and 스테월드(Steward), 당근(Daucus carota) 캘러스와 세포 혼탁액에서 배아 재생14)

1960, 콕킹(Cocking), 효소 분해를 통해 세포벽이 제거된 프로토프라스트(protoplast) 분리,15) 버그만(Bergmann), 세포 현탁액을 걸러 내고 도금(plating)으로 단세포를 분리.16)

1962, 뮤라쉬그(Murashige)와 스쿠그(Skoog), 높은 염도를 가진 MS 배지를 개발,17) 켄타(Kanta), 마헤쉬와리(Maheshwari), 시험관 수정 기술을 개발18)

1966, Israel & Steward, 당근 단세포에서 당근 식물을 재생능력을 증명,19) Guha와 Maheshwari, 독물풀(Datura) 꽃가루에서 첫 번째 반수체 식물 생산20)

1972, Carlson,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Nicotiana의 최초의 종간 잡종을 생산21)

1974, Zaenen et al., 아그로박테륨 Ti 플라스미드의 종양 유도 원리 발견22)

1977, Chilton et al., 식물에서 Agrobacterium tumefaciens의 Ti plasmid DNA를 성공적으로 집적23)

1977, Sanger, Maxam-Gilbert, DNA 염기서열 해독 기술개발

1983, Kary Mullis, DNA 증폭을 위한 중합효소 복합반응(PCR) 개발24)

1984, Horsh et al., 아그로박테리윰 형질전환을 통해 형질전환 담배제작25)

1987, Klien et al., 식물 형질 전환을 위한 유전자 전달 방법 개발26)

2001, 인간 게놈 프로젝트 공동체와 Venter et al., 인간게놈 염기서열 해독 완성27)

2005, 벼 게놈 염기서열 해독 완성28)

배지 구성

무기 영양소

식물의 성장에는 생체 내 성장 조건과 유사한 무기 물질들이 필요하다. 이들 중 질소와 칼륨은 적어도 25 mM가 필요하며, 인, 칼슘, 마그네슘 및 황 요소는 1-3 mM의 농도 범위가 적절하다. 반면 철, 망간, 아연, 붕소, 구리 및 몰리브덴과 같은 미량 영양소는 0.05 mM 미만의 농도가 요구된다. 이들 무기 원소는 상대적으로 소량으로 필요하지만 식물 생장에 필수적이다.

유기 영양소 비타민

효소 활성의 보조요소로 비타민은 대사 과정에 필요한 유기 물질이다. 식물은 스스로 생장과 발육에 필요한 비타민을 합성하지만, 배양된 식물조직(세포)은 합성능력이 충분하지 못해 첨가해야 한다. 줄기형성에 작용하는 티아민(thiamine), 캘러스의 갈변화를 방지하는 니코틴산(nicotinic acid), 세포 생장 촉진 및 노화 방지를 위한 피리독신(pyridoxine), 발아시기에 식물분화를 촉진하는 리보플라빈(riboflavin) 등이 사용된다. 

아미노산

아미노산의 첨가는 원형질체 배양에서 세포 성장을 촉진하며, 체세포 배 발생을 유도/유지하는 데에도 유용하다. 흔히 사용되는 아미노산류로는 myo-inositol 또는 meso-inostol, glycine, L-glutamine, L-asparagine, L-arginine, L-serine, L-tyrosin 등이 있다.

식물호르몬 옥신(auxin)

일반적으로 세포분열, 세포신장, 정단우성(apical dominance), 우발적인 뿌리 형성, 체세포 발생을 유도한다. 저농도에서는 뿌리를 유도하고, 고농도에서는 캘러스를 유도한다. 일반적으로 식물 배양에 사용되는 옥신으로는 2,4-D(2,4 dichlorophenoxyacetic acid), IAA(indole-3-acetic acid), IBA(indole-3-butyric Acid), NAA(1-naphthaleneacetic acid), picloram, 2,4,5-T 등이 있다. 

사이토키닌(cytokinin)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배양체의 싹 성장을 자극한다. 고농도 사용시 줄기 형성을 유도한다. 옥신과 함께 작용하여 식물의 형태형성을 결정하는데, 옥신이 많을 시에는 뿌리 발생을, 사이토키닌이 많을 시에는 줄기의 발달을 유도한다.  BA(BAP, 6-benzylaminopurine), kinetin, 2iP, zeatin 등이 주로 사용되는 사이토키닌이다.

에틸렌(ethylene)

고동도의 경우 세포분열을 저해하고 노화를 촉진한다. 개화와 과육의 성숙에 관여하며, 배지 내에 에틸렌이 함유될 시 뿌리의 생성을 저해한다. 저농도의 에틸린이 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경우도 있다.

지베렐린(gibberellins)

주로 마디의 길이 성장과 분열 조직의 성장에 작용하나 조직배양에 사용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앱시스산(abscisic acid)

체세포 배 발생과 목본류 배양을 위해 사용된다.

배지 형태 및 종류

형태별 종류
  1. 고체배지 : 배양액에 한천을 첨가하여 만든 반고체 상태의 배지.
  2. 액체배지 : 배지의 고체화를 위한 한천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
  3. 이중배지 : 용기 내에 고체와 액체의 두 가지 상이 존재하는 배지.
자주 사용되는 식물배지 종류
  1. MS배지 : 담배 조직배양을 위해 1962년 Murashige와 Skoog가 개발한 배지로 현재 대부분의 식물 및 식물의 조직(세포)배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지이다.
  2. N6배지 : 1975년 Chu에 의해 개발된 배지로 벼의 약배양, 원형질체 배양, 형질전환에 MS 배지와 함께 많이 사용된다.
  3. B5배지 : 콩의 세포현탁배양을 위해 1968년 Gamborg가 개발. 수정된 형태로 배추와 같은 식물에서 사용되고 있다.
  4. SH배지 :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의 캘러스 유도를 위해 1972년 Schenk와 Hildebrandt에 의해 개발되었다. 일반적인 식물 조직(세포)배양 배지보다 myo-inositol의 함량이 10배나 더 함유되어 있다.
  5. Anderson 배지: 1980 Anderson이 철쭉류 배양을 위해 개발 이후 다양한 조직배양에 사용되고 있다.

관련 용어

원형질체, 호르몬, 옥신, 사이토키닌, 에틸렌, 지베렐린, 앱시스산, 비타민, 아미노산

참고문헌

1. Haberlandt G (1902) Kulturversuche mit isolierten Pflanzenzellen. Sitzungsber Akad Wiss Wien Math-Naturwiss Kl Abt J, 111: 69–92
2. Hannig E (1904) Zur Physiologie pflanzlicher Embryonen. I. Ueber die Cultur von Cruciferen-Embryonen ausserhalb des Embrysacks. Bot Ztg, 62: 45–80
3. Kotte W (1922) Kulturversuch isolierten Wurzelespitzen. Beitr Allg Bot, 2: 413–434
4. Robbins WJ (1922) Cultivation of excised root tips and stem tips under sterile conditions. Bot Gaz, 73: 376–390
5. Went FW (1926) On growth-accelerating substances in the coleoptile of Avena sativa. Proc Kon Ned Akad Wet, 30: 10-19
6. White PR (1934) Potentially unlimited growth of excised tomato root tips in a liquid medium. Plant Physiol, 9: 585–600
7. Gautheret R (1939) Sur la possibilité de réaliser la culture indéfinie des tissues de tubercules de carotte. C R Soc Biol Paris, 208: 118–120
8. Nobécourt P (1939) Sur la pérennité et l'augmentation de volume des cultures de tissues végétaux. Compt Rendus Soc Biol Lyon, 130: 1270–1271
9. VAN Overbeek, J, Conklin ME, Blakeslee AF (1941) Factors in coconut milk essential for growth and development of Datura embryos. Science, 94: 350-351
10. Ernest Ball (1946) DEVELOPMENT IN STERILE CULTURE OF STEM TIPS AND SUBJACENT REGIONS OF TROPAEOLUM MAJUS L. AND OF LUPINUS ALBUS L. American j of Botany, 33: 301-318
11. Muir WH, Hildebrandt AC, Riker AJ (1954) Plant tissue cultures produced for single isolated cells. Science, 119: 877-878
12. Miller CO, Skoog F, Von Saltza MH 등 (1955) KINETIN, A CELL DIVISION FACTOR FROM DEOXYRIBONUCLEIC ACID1. J Am Chem Soc, 77: 1392–1392
13. Skoog F, Miller CO (1957) Chemical regulation of growth and organ formation in plant tissue cultures in vitro. Symp Soc Exp Biol, 11: 118–131
14. Reinert J (1959) Über die Kontrolle der Morphogenese und die Induktion von Adventiveembryonen an Gewebekulturen aus Karotten. Planta, 53: 318–333
15. COCKING EC (1960) A Method for the Isolation of Plant Protoplasts and Vacuoles. Nature, 187: 962–963
16. Bergmann, L (1960) Growth and division of single cells of higher plants in vitro. J Gen Physiol, 43: 841–851
17. Murashige T, Skoog F (1962) A Revised Medium for Rapid Growth and Bio Assays with Tobacco Tissue Cultures. Physiologia Plantarum, 15: 473–497
18. Kanta K, Rangaswamy NS, Maheshwari P (1962) Test-tube fertilization in a flowering plant. Nature, 194: 1214-1217
19. ISRAEL HW, STEWARD FC (1966) The fine structure of quiescent and growing carrot cells: Its relation to growth induction. Ann Bot, 30: 63-79
20. GUHA S, MAHESHWARI SC (1966) Cell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of embryos in the pollen grains of Datura in vitro. Ibid, 212: 97-98
21. Carlson PS, Smith HH, Dearing RD (1972) Parasexual interspecific plant hybridization. Proc Nat Acad Sci, 69: 2292-2294
22. ZAENEN I, VAN LAREBEKE N, TEUCHY H 등 (1974) Supercoiled circular DNA in crown-gall inducing Agrobacterium strains. Journal of Molecular Biology, 86: 109-127
23. CHILTON MD, DRUMMOND MH, MERLO DJ 등 (1977) Stable incorporation of plasmid DNA into higher plant cells: the molecular basis of crown gall tumorigenesis. Cell, 11: 263-271
24. Mullis KF, Faloona F, Scharf S 등 (1986) Specific enzymatic amplification of DNA in vitro: The polymerase chain reaction. Cold Spring Harbor Symposium in Quantitative Biology, 51: 263–273
25. Horsch RB, Fraley RT, Rogers SG 등 (1984) Inheritance of functional foreign genes in plants. Science, 223: 496-8
26. Klein TM, Wolf ED, Wu R 등 (1987) High velocity microprojectiles for delivering nucleic acids into living cells. Nature, 327: 70-73
27. Venter JC, Adams MD, Myers EW 등 (2001) The sequence of the human genome. Science, 291: 1304-51
28. International Rice Genome Sequencing Project (2005) The map-based sequence of the rice genome. Nature, 436: 793-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