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자년(戊子年), 1948년

무자년(戊子年), 1948년

1월 3일

• 국민대학관학생회, 서울시의 교사(校舍) 명도령에 대한 항의성명을 발표함.

• 수도경찰청, 시공관(市公館)이 입관료 5원을 징수하는 것에 대해 경고함.

1월 5일

• 서울중부경찰서, 교사(校舍) 명도령과 관련하여 항의 투쟁 중인 국민대학관 학생 50여 명을 호송함.

1월 6일

• 서울~전주간 직통전화 개통.

1월 15일

• 독립촉성국민회 · 대한독립노동연맹 등 7개 단체, ‘국민대학관 명도문제’를 반대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함.

1월 16일

• 불법연구회를 원불교로 개칭하는 건이 정식인가 됨.

1월 17일

• 서울시 학무국, 시내 각 중등학교 교장, 수도경찰청 관계자 등이 제2여자중학교에서 서울시학생교외지도연맹을 결성함.

• 각 구에서 동(洞) · 통(統) · 반(班) 단위로 서울시절전위원회(市節電委員會)를 구성함.

1월 19일

• 경성전기주식회사 직원들의 인사 이동 관련 파업으로 서울 시내 전차가 1시간 동안 정지됨.

1월 22일

• 경성전기주식회사 운수부 파업이 해결됨.

1월 24일

• 30년 만의 대설로 서울 · 용산역의 교통 한 때 두절됨.

이달

• 서울시립 교향악단 창설.

• 서울특별시육상연맹 결성.

2월 3일

• 서울 시내 나병환자가 150여 명으로 집계됨.

2월 9일

• 국립서울대학교, 건설학생회를 조직하여 좌익학생들의 맹휴(盟休)를 저지함.

2월 14일

• 국회, 을 가결함.

• 서울시, 공기(公妓) 560명을 전 유곽(遊廓)에 수용하여 직업 알선 및 성병 치료를 실시함.

2월 18일

• 창기(娼妓)들이 1인당 1만 8천 원 가량의 사채 해결, 취직 알선, 취직할 때까지의 생활 보장 등 3가지 조건을 서울시장과 수도청장에게 요구함.

2월 20일

• 서울시, 오전 0시 현재로 시내 인구조사를 실시함. 결과 총인구 160만 6,902명(남자 84만 1,904명, 여자 80만 4,998명), 29만 1,738세대.

2월 21일

• 수색에 보병학교(步兵學校) 창설.

• 서울시, 유곽(遊廓)에 남은 500여 창기를 강제 해산하기로 결정함.

2월 26일

• 교외교도연맹심의회, 명동극장을 학생영화관으로 선정함.

3월 1일

• 중앙관상대, 인천에서 서울로 이전함.

• 학생경기연맹주최로 서울시청 앞에서 제1회 3 · 1절기념 서울~수원간 왕복 역전 경기대회를 거행함.

3월 6일

• 서울 시내 전차요금 인상. 보통요금 1회 5원, 회수권 15회권 60원, 통근권 45회권 120원, 통근권 60회권 120원.

3월 10일

• 서울시 각 동(洞)마다 의용소방단 조직.

3월 13일

• 경성전기주식회사, 임금과 간부 문제로 파업하여 서울 시내 전차를 운휴함.

3월 15일

• 수도경찰청, 유곽촌(遊廓村) 건물들을 일체 검색하여 30여 명의 밀매음 행위자를 검거함.

3월 17일

• 서울시, 식량 수배(受配)를 위한 유령인구(幽靈人口) 조사를 실시함.

• 전차 파업 운휴로 무장경관을 각 전차에 1명씩 배치하여 마포선 등에서 전차 23대 운행을 개시함.

3월 18일

• 해방 후 처음으로 국민학교에 한글 습자교본을 배부함.

• 수도경찰청장, 파업 중인 경성전기주식회사 종업원에게 업무 복귀를 권고함.

3월 20일

• 경성전기주식회사, 파업 해제와 함께 취업투쟁을 실시하여 130대의 전차 운행을 개시함.

3월 25일

• 3월 29일까지 묵정동에 남아 있는 공창(公娼) 창기 290명을 강제 퇴각시키로 방침 수립.

4월 6일

• 미곡 배급량이 2홉 32작으로 감소하자 서울 시내 각 동민들의 쌀 배급에 대한 진정이 쇄도함.

4월 12일

•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한국반공단(韓國反共團) 결성.

4월 15일

• 국립서울대학교, 국내 최초의 장학금 급여 규정을 제정함.

4월 18일

• 북악산 · 인왕산 등 5개소에서 봉화사건 발생.

4월 23일

• 용산공장 지역 종업원 5%가 결핵환자로 밝혀짐.

4월 28일

• 서울시, 서빙고나루터를 고양군으로부터 회수하고 서빙고국민학교에서 위임 경영하기로 결정함.

• 5월 10일 총선거를 앞두고 야간통금시간을 오후 10시로 단축.

5월 1일

• 서울 시내 극장 정원제 실시.

5월 3일

• 오후 8~9시 40분까지 북악산 · 남산 · 낙산 · 노고산 등에서 봉화(烽火)한 피의자 3명이 체포됨.

5월 5일

• 서울시, 덕수궁에서 서울시 우량아 표창식을 개최함.

• 조선소년운동자연맹, 덕수궁 광장에서 어린이 3천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제19회 어린이날 기념식을 개최함.

5월 8일

• 태평로 동아일보사 화재로 공장 및 편집실이 타 버림.

5월 14일

• 정오에 북한으로부터의 송전이 단절됨. 서울 시내 공장 및 전차운행 정지. 오후에는 남한도 북한 송전을 단절함.

5월 15일

• 수도경찰청, 시민들에게 절전(節電)을 호소함.

• 조선정치학관 설립.

• 경성전기주식회사, 서울역~영등포, 서대문~신촌, 영천~수색간에 전차와 병행한 버스운행을 개시함.

5월 20일

• 문교부, 초 · 중등학교 교사자격규정을 결정함.

• 단전(斷電)으로 인한 단수(斷水) 소동이 발생함.

5월 22일

• 숙명여자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

• 경성여자의학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

5월 24일

• 수색에 조선경비대 자동차학교 창설.

5월 26일

• <우리신문> · 폐간.

5월 29일

• 서울운동장에서 제1회 전국정구대회 개최.

이달

• 중앙여자대학, 남녀공학의 중앙대학으로 변경함.

6월 1일

• 방송사업 일체가 미군정청에서 조선방송협회로 이관됨.

• 서울 거주 월남 이북인사들이 북조선민주동우회를 결성함. 회장 김태현(金台鉉).

• 서울 시내 무대예술인과 각 흥행장이 과중 · 과세에 항의하여 일제히 극장 문을 닫는 등 동맹휴업함.

6월 2일

• 6월 2일부로 민보단(民保團) 명의로 각 통 · 반장에게 기부금을 갹출하라는 요지의 공문이 발송되는 사건이 발생함.

6월 4일

• 서울 시내 흥행계, 파업을 중지하고 각 극장을 개관함.

6월 8일

• 통행금지시간을 오후 11시~다음날 오전 5시로 단축.

6월 12일

• 북한의 단전으로 수돗물이 하루 평균 4시간만 송수됨.

• 서울시, 유령인구(幽靈人口) 대책으로 식량수배인구조사위원회(食糧受配人口調査委員會)를 설치함.

6월 13일

• 초등학교 1 · 2학년에 3부제 실시.

6월 15일

• 전국 각 가정에 윤번제 송전 실시.

6월 16일

• 서울 시내 전역에 천연두가 만연함. 6월 16일 현재 12명 사망. 30명 환자 중 15명은 용산구 이촌동 쓰레기 소각장 근처의 세궁민(細窮民).

6월 22일

• 서울시, 숭문중학교(崇文中學校)를 대상으로 종합중학제 실시 계획을 발표함.

6월 25일

• 서울시, 전염병 예방책으로 빙과 · 빙설 등 제빙업에 대한 허가를 중지함.

6월 26일

• 서울시, 7개 중학교의 교명을 변경함. 내용 : 경성공립사범→서울공립사범, 경기공립사범→장안공립중학, 경기공립여중→영성공립여중, 제2공립여중→남산공립여중, 경기공립공중→성서공립공중, 경기공립상중→창의공립상중, 제3공립여중→청구공립여중.

6월 27일

• 여자체육연맹 주최로 서울운동장에서 제1회 직업여성배구대회를 개최함.

7월 1일

• 재단법인 한양학원을 인가하고, 건국기술학교를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7월 2일

• 서울시, 각 구에 부녀회를 조직하는 첫 실행으로, 상명여자중학교에서 용산구부녀회 창립총회를 개최함.

7월 5일

• <서울통신> 창간.

• 수도경찰청 출입기자단, 영화 <밤의 태양> 내용 중에서 기자 등장 장면이 기자의 위신을 손상한다는 이유로 삭제를 요구함.

7월 8일

• 서울시청 회의실에서 교육계 등 각계 인사 참여 아래 사육신묘보존회를 결성함.

7월 15일

• 서울 시내 미용요금 일률화 실시. 주요 요금 : 화장 100원, 특별 미안술(美顔術) 150원, 셋트 100원, 염색 120원, 면도 50원, 세발(洗髮) 40원, 신부화장 600원, 맛사지 80원.

7월 16일

• 경기중학교 교장과 교원간에 신입생 모집 문제로 오전 조회시간 직후 전교 학생들간에 난투가 벌어짐.

7월 17일

• 서울시 주최로 7월 17일 예정이던 <대한민국 헌법> 제정 축하 시민대회가 미군정청의 지시에 의하여 중지됨.

7월 25일

• 서대문구 만리동 조일조합창고(朝日組合倉庫)가 화재로 모두 타 버림. 피해 규모는 미군제약원료 등 약 1억 원.

7월 26일

• 문화인 330명이 조국의 위기를 선명(宣明)하는 성명을 발표함.

7월 29일

• 한 달 동안 계속된 장마로 인하여 호남선 등 철도운행이 중단되기 시작함.

7월 31일

• 재단법인 중동학원 설립.

8월 3일

• 초대 문교부장관에 안호상(安浩相) 임명.

8월 6일

• 경기도 양주군 구리면 일패리 봉두천 철교를 통과하던 기차가 전복됨. 즉사 8명과 중경상자 216명 발생.

8월 10일

• 재단법인 홍익학원과 홍익대학관 설립 인가.

8월 13일

• 중앙청에서 식량 배급이 없는 것과 식비 인상 등을 이유로, 국회의원 숙소로 사용 중인 서울호텔에서 국회의원에게 식사 제공을 중단하기 시작함.

8월 15일

• 경성부립 도서관을 서울특별시립 남대문도서관으로, 경성부립 종로도서관을 서울특별시립 종로도서관으로 개칭.

• 경성전기주식회사, 8월 17일까지 정부수립기념축하 꽃전차를 운행함.

• 서울시내에서 7건의 산발적인 전단 살포 사건이 발생함.

8월 18일

• <우편물 검열제> 폐지.

• 서울시식량배급조정위원회, 을지로2가 825세대 4,438명에 대한 조사 결과 유령인구(幽靈人口) 138세대 729명을 적발함.

8월 19일

• 서울시, 탑골공원에서 독립정부수립 축하기념 시민위안 연주대회를 개최함.

8월 20일

• 서울중학교 운동장에서 김구(金九)의 어머니 곽낙원(郭樂園) 및 부인 최준례(崔尊禮)와 아들의 장례식 거행.

8월 22일

• 서울운동장에서 제1회 정부수립 경축 전국 선발 국민학교 야구대회 개최.

8월 24일

• 서울시내 일부 국민학교에 3부제 수업 강행. 총 503학급 중 388학급은 2부제, 115학급은 3부제 수업.

이달

• 사단법인 대한 보이스카우트를 대한소년단으로 개칭.

9월 3일

•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올림픽대회 파견 선수단 환영대회 개최.

• 조선체육회, 9월 4일까지 종로 기독교청년회관 내 영창중학교(英彰中學校) 교실에서 전국 임시평의원회를 개최함. 새 임원 선정 과정에 폭력사태가 발생하였으며, 회장도 안재홍(安在鴻)에서 신익희(申翼熙)로 바뀜.

9월 4일

• 서울운동장에서 제29회 전국체육하계대회 개최.

9월 7일

• 서울시, 9월말까지 시내 전역에 있는 소방전 1,831개소, 저수조 329개소, 풀 38개소에 대한 개수공사를 실시함.

9월 8일

• 수도경찰청, 기부금 징수를 위한 청년단체의 옥외 흥행을 금지함.

9월 10일

• 국청무료치료소(國靑無料治療所) 발대식 개최. 9월 16일까지 각 동에서 전재민에 대한 무료진료를 실시함.

9월 11일

• 수도경찰청, 제일신문사(第一新聞社)에서 부사장 김성수(金成秀) 등 수십 명을 체포함.

9월 12일

• 수도경찰청, 제일신문사의 신문을 압수하는 동시에 신문 제작을 중지시킴.

9월 14일

• 서울시, 돈암동에 집결되어 있던 나병환자 250명 중 제1차로 150명을 망우리 천막촌에 수용함.

• 경부선 내판역(內板驛)에서 열차가 충돌하여 191명의 사상자를 낸 사고가 발생함.

9월 15일

• 수도경찰청, 조선중앙일보사(朝鮮中央日報社) 직원 8명을 검거함.

• 한국인이 조종하는 L-4 비행기 10대의 편성대가 서울 상공에서 역사적인 첫 비행을 실시함.

9월 18일

• 수도경찰청, 직원 8명을 검거함.

9월 19일

• 국회, <한글전용법>을 의결함.

9월 20일

• 문교부, 서울약학대학 세화재단(世和財團)에 설립 취소를 명령함.

9월 22일

• 휘문중학교에서 이동녕(李東寧)과 차이석(車利錫) 두 사람의 사회장 영결식 거행. 효창공원에 유해 안장.

9월 30일

• 서울시, 국민학교에 1개 교당 양호교사 1명씩을 배치함.

• 용산동2가 일대 속칭 해방촌에 거주하는 약 3,500세대 2만 5천여 명의 전재민을 위하여 국유림 42정보를 대지로 대부함.

• 인보관(隣保館) 5개소에 고아문고 설치.

10월 1일

• 영등포 전화중계소 개통.

• 대한국제항공사를 대한국민항공사(KNA)로 개칭.

• 서울특별시 · 대한미술협회 주최로 국립미술관에서 제1회 대한미술협회전 개최.

10월 2일

• 수도경찰청, 10월부터 매달 1일 · 11일 · 21일을 교통안전일로 변경 결정함.

• 서울시탁구협회 결성.

10월 4일

• 수도경찰청, 조선통신사를 기습하여 부사장 이중조(李重朝) 등 7명을 검거함.

• 명월관(明月館) · 국일관(國一館) 등 서울 시내 16개 갑종 요정을 일체 폐업함.

10월 6일

• 안호상(安浩相) · 양우정(梁又正) 등을 중심으로 대한문화협회(大韓文化協會)를 발족함.

10월 8일

• 동대문경찰서, 서울대학 의과대학 제1병리학 교실 조교수와 학생 수십 명을 검거함.

10월 11일

• 오전 10시 30분을 기하여 경인지방을 비롯한 남한 전역에 정전 사태가 발생함.

10월 13일

• 중부경찰서, 대규모 위조지폐 조직을 검거함.

10월 16일

• 종로구청사 낙성식 개최.

10월 18일

• 종로구, 신청사에서 업무를 개시함.

10월 19일

• 종로 · 동대문 · 성동구를 제외한 각 구민에게 1세대에 연탄 1가마니(72㎏)씩 배급.

10월 20일

• 10월 25일까지 성동(城東) 들판에서 정부수립 경축 경기대회 겸 제29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10월 28일

• 조선어학회, 중등 국어교사 양성소를 설치함.

10월 29일

• <국민신문> 발간 허가 취소.

10월 30일

• 대한국민항공사, 서울~부산, 서울~광주, 서울~강릉, 서울~옹진간 국내선 노선 면허를 취득, 서울~부산선을 취항함. 광복 후 최초의 민항공기(民航空機) 취항.

10월 31일

• 국립서울대학교, 제1회 종합체육대회를 개최함.

11월 3일

• 동대문경찰서가 온돌 과열로 다 타 버림.

11월 4일

• 고아원 성심원 낙성식 개최.

11월 9일

• 1948년 6월 이후 휴간 중이던 <독립신문> 속간.

11월 10일

• 현재 서울 시내 전재민 6만 세대 중 1만 명이 수용 중임.

11월 11일

• 서북청년단(西北靑年團)에서는 남조선노동당(南朝鮮勞動黨)의 본부를, 대한학생의용대(大韓學生義勇隊)에서는 근로인민당(勤勞人民黨)의 본부를 접수함.

11월 12일

• 서울시, 1세대에 등유(燈油) 5합(合)씩을 배급하기로 결정함.

• 서울시, 희망 학교에 따라 공 · 사립 국민학교 3학년 이하와 유치원 아동들에게 국산 캔디를 배급함. 배급 가격 : 100문(匁)에 70원.

11월 14일

• 서울시, 시공관(市公館)에서 제1회 교직원 시국 강연회를 개최함.

11월 15일

• 서울시, 이재(罹災) 세궁민에게 장작을 배급함. 배급 가격 : 1단에 50원.

11월 16일

• 서울시, 식량 인구를 제한하여 특정 해당자 이외에는 전입을 불허함.

• 11월 17일까지 시공관(市公館)에서 서울합창단이 제1회 정기공연을 개최함. 경찰 당국에서 프로그램에 있던 <볼가의 뱃노래> 공연은 금지함.

11월 17일

• 서울운동장에서 순국선열 추념식 거행.

11월 18일

• 서울시, 군의(軍醫)에 새 면허장을 발급함.

• 15일부터 3일간 서울 시내에 천연두환자 9명이 발생함.

11월 22일

• 국방부 · 문교부 · 사회부 · 내무부 · 공보처와 문화인 현지 조사반 공동 주최로 화신화랑에서 여수 · 순천사건 관련 현지 보도 사진전을 개막함.

11월 26일

• 수도경찰청, 사장과 편집국장을 검거함.

11월 30일

• 서울시, 시내 6개소에 노숙자를 위한 공동숙박소를 건설함.

12월 1일

• 서울 시내 의과대학생들이 천연두 예방을 위해 각 가정을 방문하며 검진함.

12월 3일

• 서울시, 교육장학회를 설치함.

12월 5일

• 12월 1일~5일까지의 서울 시내 유령인구 자진취소 기간 중 20만 9,197명의 유령인구를 적발함. 가장 많은 곳은 중구 4만 5천 명, 종로구 3만 4,900명.

12월 11일

• 서울시, 악사의 밤거리 연주를 금지함.

• 서울운동장에서 대한민국정부 승인 경축 서울시중학생호국총궐기대회 개최.

12월 15일

• 관 · 민간 · 청년 · 학생 · 각 동회 등의 단체와 시민 등 10만 군중이 서울운동장에서 대한민국 유엔 승인 경축대회 개최.

12월 17일

• 서울시, 무료숙박소 7곳을 개설함.

12월 19일

• 시공관(市公館)에서 이충무공기념사업회 발회식 개최.

12월 20일

• 홍익대학관, 용산구 문배동 24-8번지로 교사를 이전함.

12월 23일

• 대한청년단(大韓靑年團) 최고지도위원 유진산(柳珍山) 석방.

12월 24일

• 수도경찰청, 연말연시 치안 확보를 위해 야간통행금지 시간을 오후 10시로 단축함.

12월 27일

• 12월 27일~28일까지 시공관(市公館)에서 전국 문화인 궐기대회 개최.

이달

• 서울시, 경기도로부터 노량진수원지 관리 운영권을 인수함.

• 1948년도 제1회 서울특별시 문화상 수상자를 발표함. 수상자 : 문학상 변영로(卞榮魯), 공예상 김진갑(金鎭甲), 음악상 오라토리오협회, 연극상 극예술협회.

• 서울시립보건소 용산분소 발족.

이해

• 국영방송 발족.

연관목차

1382/1457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