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자년(丙子年), 1936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1월

• 전차 구역 철폐운동 전개.

3월

• 평동 164번지 서대문네거리에 일본 적십자사 조선본부병원 착공.

4월 28일

• 이숙종(李淑鍾)이 성신여학교(誠信女學校)를 설립함.

이달

• 소공동 7번지에 조선신탁주식회사 건물 착공.

5월 1일

• 서울의 택시요금제를 미터제로 바꿈.

5월 10일

• 약현성당 영등포 공소(公所) 경당(經堂)을 영등포 본당(영등포성당)으로 승격 분립함.

5월 23일

• 문묘(文廟)를 사적(史蹟)으로 지정.

이달

• 중구 저동에 성모병원 개원.

7월 2일

• 안국정(安國町, 안국동)의 안동별궁(安洞別宮)이 대창흥업회사(大昌興業會社)를 경영하는 최창학(崔昌學)에게 15만 2,901원 50전에 낙찰됨.

7월 22일

• 경성전기(주), 전차요금을 원칙적으로 5전(錢)으로 하고, 승차구간이 긴 경우에 한하여 6~8전까지 단계적으로 올리는 타협안을 발표함. 8월 1일부터 실시키로 함.

7월 26일

• 전차구역제 문제로 돈암정(敦岩町, 돈암동) 주민대회가 개최됨.

7월 30일

• 경성지방법원, 경인적색노동조합사건 공판을 개정함. 박영출(朴英出) · 이인행(李仁行) · 박용홍(朴龍洪) · 김순진(金舜鎭) · 심계월(沈桂月) · 허화정(許和正) · 김만기(金萬基) · 권오상(權五相) · 김연회(金淵會) · 공성덕(孔成德) 등에 징역 선고.

이달

• 시민들이 대회를 개최하여 경성전기주식회사의 전차구역제 철폐를 요구함.

• 용산에 철도(교통)회관을 준공함.

8월 28일

• 덕수궁미술관 착공. 당시는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으로 불림.

8월 29일

• <동아일보>,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 손기정(孫基禎) 선수 일장기(日章旗) 말소 게재사건으로 무기 정간됨. 1937년 6월 2일까지 발행되지 않음.

8월 31일

• 서대문~마포간 전차노선(복선) 준공함.

9월

• 신용욱(愼鏞頊), 조선비행학교를 조선항공사업사로 변경하고, 신길동에 글라이더 제작소를 시설함.

10월

• 명동1가 54번지에 연극 상연용 극장 명치좌(明治座) 준공.

11월

• 을지로4가 316번지에 극장 황금좌(黃金座) 준공.

이해

• 구의정수장(九宜淨水場)을 건설함.

• 경성여자상업학교, 한량호(韓亮豪)가 기부한 20만 원 등으로 재단을 조직하고 홍제정(弘濟町, 홍제동)에 교사를 착공함.

• 중앙학교(현 중앙중학교) 새 본관 착공.

• 용산에 철도박물관을 개관함.

연관목차

1368/1457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사회 문화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