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년(丁亥年), 1947년

정해년(丁亥年), 1947년

1월 4일

• 전재민수용소로 개방할 요정 13개소 중 8개소에 대한 명도(明渡) 결정.

1월 5일

• 과학자동맹 서울시지부 결성.

• 국립서울대학교 문리대학 예과 학생대회에서 3개 대학 휴학령 철폐를 주장함.

1월 7일

• 서울시내 적산요정 중 일부를 전재민수용소로 개방. 전재민 778명 수용.

• 속간.

1월 8일

• 1월 9일까지 중앙극장에서 열린 전국문화단체총연맹 주최 예술제에서 투탄사건이 일어남. 약간의 부상자 발생.

1월 15일

• 철도운임 대폭 인상.

• 장충단수용소전재민, 주택문제 해결을 요구하며 시청에 쇄도함.

1월 18일

• 반탁학생들이 인민당 · 인민보 · 서울인민위원회 등을 습격함.

1월 28일

• <대한독립신문> 속간.

이달

• 경성체신국을 서울체신국으로 개칭.

2월 1일

• 서울시내 전차노선을 구간 운행으로 변경.

2월 2일

• 국립서울대학교 이공학부 교수단, 국립서울대학안 철회를 요구함.

2월 3일

• 국립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국립서울대학안 반대 맹휴에 돌입함.

• 서울학생통일촉성회, 국립서울대학안 부당성 지적 담화를 발표함.

2월 4일

• 국립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립서울대학안 철회와 사범대학 독립을 요구하며 맹휴함.

2월 5일

• 국립서울대학교에서 동맹휴학을 하고, 동 대학교 약대 · 예대 · 치대에서 국립서울대학안 반대 결의문을 발표함.

• 휘문중학교, 경찰 간섭 반대와 국립서울대학안 반대 등을 요구하며 맹휴함.

• 서울시, 위생박물관 건립을 계획함.

2월 7일

• 영등포 조선피혁회사 조선노동조합전국평의회계 종업원들과 경찰이 충돌함.

2월 9일

• 국립서울대학교건설학생회, 국립서울대학안 관련 결의문과 성명서를 발표함.

• 건국학생연맹맹휴반대투쟁위원회, 맹휴 중지를 요구함.

2월 11일

• <세계일보> 속간.

2월 12일

• 종로 기독교청년회관에서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 결성대회 개최.

2월 13일

• 국립서울대학교건설학생회 주최로 서울시내 중앙예배당에서 맹휴진상폭로대회를 개최함.

2월 14일

• 국립서울대학안 반대로 휴교한 중학교에 대한 휴교를 해제함.

2월 15일

• 9개 대학 학장회의에서 러취장관이 건의한 국립서울대학안 해결책을 논의함.

2월 17일

• 국립서울대학교 교수들, 입법의원에 국립서울대학안에 대한 건의안을 제출함.

2월 28일

• 2월말 현재 서울 시내 주거 전재민은 2만 744세대, 10만 5,800명.

3월 4일

• 서울대학교건설학생회, 총 등교 권유 성명서를 발표함.

3월 5일

• 독립운동사 자료수집위원회 발족. 김의연(金毅演) · 조소앙(趙素昻) 등을 위원으로 하고, 본부를 낙원동 209번지에 둠.

•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 · 법과 · 의과대학 등 각 학생회에서 맹휴를 중지하고 등교하기로 결의함.

3월 14일

• 국회 입법의원, <국립서울대학안> 수정안을 가결함.

3월 16일

• 조선적십자사 창립총회 개최. 회장 김규식(金奎植).

3월 25일

• 서울 시내 대한관 · 동락관 · 서울관 등 적산요정과 여관 2개, 사찰 1개소가 시에 접수됨. 전재민 114세대 772명 수용.

3월 31일

• 3월말 현재의 서울 시내 의료기관 분포 상황은 공의(公醫) 16, 취직의 476, 개업의 616, 합계 1,108명임.

4월 1일

• 서울중앙전화국, 전화의 도수요금제를 폐지하고 균일요금제를 실시함.

• 미군정청, 사직공원에서 안재홍(安在鴻) 등과 군정 고관들 참석 아래 제1회 식목일 기념식을 거행함.

4월 2일

• 조선축구협회 서울지부 주최로 서울운동장에서 상하이원정축구대표단과 학생일반 혼성간의 환송 경기를 개최함.

4월 6일

• 중앙여자중학교에서 남방잔류동포구출촉진회(南方殘留同胞救出促進會) 결성대회 개최.

4월 10일

• 서울시, 새로운 식량배급 통장을 새 배급표로 갱신함.

4월 12일

• 서울시, 의무교육 실시를 위해 국민학교의 월사금(月謝金)을 전폐하기로 결정함.

4월 19일

• 서울시, 성인문맹퇴치 사업을 전개함.

4월 20일

• 서윤복(徐潤福), 미국 보스톤의 세계마라톤대회에서 2시간 25분 39초로 우승함.

4월 26일

• 서울운동장에서 서윤복(徐潤福)의 보스톤 마라톤대회 우승 축하행사 거행.

• 서울 시내 거주 전재민은 2만 824세대, 10만 5,626명. 본적은 북한 58%, 다음이 서울 · 경기 · 경북 등의 순서임.

4월 27일

• 서울 시내 거주 전재민관리처에서 전재민 중 612세대에 적산가옥을 명도함.

4월 30일

• 4월 현재 서울시 인구는 136만 1,444명(외국인 5,316명).

이달

• 중앙여자전문학교를 중앙여자대학으로 개편.

• 서울의 천주공교신학교(天主公敎神學校)를 성신대학으로 승격.

5월 1일

• 월남자 증가로 식량 배급을 변경하여 쌀 1홉 4작, 잡곡 1홉 1작씩을 배급함.

5월 2일

• 배화여자중학교, 메이데이 남산공원행사 참석 학생 150명에 대하여 학부형 동반 등교를 명하고, 이를 실행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수업을 거절하고 교실에서 축출함.

5월 6일

• 배화여자중학교, 메이데이 남산공원행사 참석 150명 중 주모자 7명을 퇴학처분한다고 발표함.

5월 7일

• 서울시내 중학교에서 메이데이 식장에 참가한 학생들에게 정 · 퇴학을 처분함.

• 서울 시내 통행금지시간을 오후 11시~오후 5시까지로 2시간 단축하고 통행금지 사이렌을 중지함.

5월 8일

• 덕성여자중학교, 메이데이 행사 참가 학생 24명에 대하여 무기정학을 처분함.

5월 10일

• 서울시 학무국 마틴고문, 메이데이 행사 관련 배화여자중학교 퇴학 학생 등에게 복교를 지시함.

5월 13일

• 서울시, 보스턴 마라톤 제패기념체육관을 건립키로 결정함.

5월 15일

• 현재 서울시수용소에 월남이재민이 매일 150명 이상 입소함.

5월 20일

• 서울시, 6월말까지 각 동회(洞會) 혹은 1통(統)에 1개소 이상씩의 한글 강습회를 운영함.

5월 21일

• 서울시 참사회(參事會), 9월 1일부터 시내 국민학교 수업료를 폐지하기로 결정함.

5월 23일

• 5월 27일까지 창경원에서 전국 농악제 거행.

5월 25일

• 서울시 주최 우유아(牛乳兒) 건강심사 표창식을 거행함.

5월 26일

• 서울시, 한강 · 청량리~영천간 간선도로 수리를 실시함.

5월 28일

• 김형민(金炯敏) 시장, 전재민 수용을 위해 사찰과 빈집을 개방하겠다고 언명함.

• 서울시, 아현동 300여 토막민에 철거령을 내림.

• 전재동포원호회 서울지사 결성.

5월 29일

• 배화여자중학생들, 6월 2일까지 메이데이 기념행사 참석과 관련한 퇴학생들의 복교를 요구하며 농성함. 일부는 단식 투쟁.

5월 30일

• 서울보건부인회 결성.

5월 31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구성.

6월 1일

• 서울시에 현재 허가 등록된 출판물은 일간 38종, 주간 62종, 반(半) 월간 8종, 월간 119종.

• 독립신보사(獨立新報社) 주필 고경흠(高景欽), 신당동에서 피습당함.

• 전차 요금을 구간당 1원에서 2원으로 인상.

6월 3일

• 서울중학교에서 서울시 성인교육대회 개최.

6월 4일

• 합동통신사(合同通信社), 국내 최초로 무선발신을 개통함.

6월 6일

• 국립박물관, 다시 개관함.

6월 7일

• 서울시, 남하 전재민으로 인한 인구 포화 상태와 관련하여 임시수용소 설치를 계획함.

6월 10일

• 체신부, 국제우편물 사무 취급을 개시함.

6월 13일

• 국립서울대학안 맹휴 문제가 일단락됨. 국립대학이사회에서 <국립서울대학안> 관련 제적학생에 대한 무조건 복교를 결정함.

• 미군정청, 서울시에 빈민구호용 물자 아홉 화차분(貨車分)을 배급함.

6월 18일

• 서울특별시교육회 창립.

6월 19일

• 남한 내 아편중독 환자 1만 4천 명 중 1만여 명이 서울 시내에 거주함.

6월 23일

• 중앙청광장에서 미국의 보스톤 마라톤대회에 참가했던 서윤복(대회 우승)과 손기정(孫基禎) · 남승룡(南昇龍) 세 선수 개선환영회를 개최함.

6월 25일

• 서울 시내 71개 국민학교에서 1만 3,665명 졸업.

6월 29일

• 서울운동장에서 보스톤 마라톤 제패 경축 경기대회 개최.

6월 30일

• 국립대학교 의과대학에 편입된 경성의학전문학교 계열 학생들이 국립서울대학안을 반대하고 총퇴학을 결의함.

• 서울 시내 57개소 신사(神社) 입구에 세워진 문[도리이, 鳥居] 파괴공사 시작.

이달

• 서울 시내 문맹자가 약 40만 명으로 추산됨.

• 1946년 2월 경희궁터에 신설된 중학교 이름을 서울중학교로 확정.

7월 1일

• <서울신문>을 <조선중앙일보>로 개칭 속간.

• 중앙전재민대책위원회, 남하 동포의 서울 거주를 금지키로 결정함.

7월 2일

• <국립서울대학안> 실시에 따른 의대 2부제 차별로 경성의학전문학교 계열 학생들이 총퇴학을 결정함.

7월 3일

• 남산에 설치되었던 일제 신사(神社) 입구 문[도리이, 鳥居] 철거.

7월 4일

• 서울 시내에서 미국 제171주년 독립기념일을 맞아 각종 행사를 개최함. 시청 앞 광장에서의 관병식, 남산에서는 미군이 48발의 축포 발사, 창덕궁 후원에서는 미군장병을 초대한 조선상공회의소의 원유회 개최, 밤에는 남산 위에서 미군부대의 불꽃놀이 개최 등.

7월 8일

• 서울 시내 부랑아가 3,700여 명으로 추산됨.

7월 9일

• 아침에 동대문 일부가 붕괴됨.

7월 10일

• 신당동 적산가옥 600여 호에 대하여 명도령이 내려짐.

7월 16일

• 신당동주택대책위원회, 적산가옥을 미군 숙소로 사용하기 위한 주택명도령에 대하여 하지 (John R. Hodge)중장에게 탄원서를 제출함.

• 김형민(金炯敏) 시장, 중등학교 기부금 강요 적발시 엄중 처단한다고 발표함.

• 현재 교실부족이 심한 동대문 · 성동 · 영등포에서 3부제 수업 실시.

7월 23일

• 서울 시내 쓰레기 수거 부진으로 사설 청소차가 출현함.

• 24일까지 전국적으로 장맛비가 내림. 수도관구 가옥 561호 피해.

7월 24일

• 서울 시내 각 국제사업기관, 시내 부랑아 300여 명을 감화원(感化院) · 소년원 · 수용소에 수용함.

7월 26일

• 6월 17일부터 실시한 서울 시내 음식점 정비로 면허업자의 70%를 정비함.

이달

• 정신여자학교, 정신여학교로 재인가어 개교.

8월 1일

• 중지되었던 광화문우체국 전신전화 사무 개시.

• 이날까지 서울 시내 돈사(豚舍)를 시외로 추방함.

8월 3일

• 서울운동장에서 여운형(呂運亨) 장례식을 해방 직후 최초의 인민장(사회장)으로 거행.

8월 6일

• 국립서울대학교이사회, 국립서울대학교 초대 총장에 이춘호(李春昊)로 결정함.

8월 8일

• 한국에서 미국으로의 첫 항공우편 발송.

8월 9일

• 서울시, 가솔린 배급을 재개함.

8월 11일

• 서울대건설학생회, 학원 내 악질분자 제거 요청 성명서를 발표함.

8월 13일

• 휴간.

8월 14일

• 국립서울대학안 반대 학생 복적(復籍) 허가.

• 해안경비대학을 해사대학으로 개칭.

8월 17일

• 미국에서 온 구호물자 122화차(貨車) 중 24화차가 서울에 배정됨.

8월 18일

• 김포에 미국으로부터 온 최초의 항공우편물 23통 도착.

8월 21일

• 제1회 전국중학지구별 초청 야구대회 개최. 이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로 발전.

8월 22일

• 수도경찰청, 서울 시내 부랑아 일소에 강권 발동 개시함. 매일 심야~새벽에 가두에서 방황하는 걸인을 강제로 모아 25일까지 1,903명을 강원도 · 충청도 등에 분산 이주시킴.

8월 25일

• 재경지방신문기자협회 결성.

8월 28일

• , 8월 13일부터 12일간 휴간한 것으로 인하여 무기정간 처분됨.

8월 29일

• 서울시, 제2차 전재민 지방 이주를 실시하여 대전과 충주에 500명씩 이주시킴.

이달

• 서울시에 신탄 공급을 담당하는 서울연료주식회사 발족.

9월 1일

• 서울시, 곡물용 말과 되를 리터(ℓ)제로 바꿈.

9월 14일

• 서울역~서대문간 전차운행 복구.

9월 17일

• 9월초부터 서울 시내 무허가 토막집 1천여 호를 철거하여, 현재 3천호 남아 있음.

• 시천교당에서 한국학생단(韓國學生團)과 건국학생연맹(建國學生聯盟) 통합체인 대한학생총연맹(大韓學生總聯盟) 결성식 거행.

9월 18일

• 교동공립보통학교를 교동국민학교로 개칭.

9월 20일

• 용산 · 서울 · 경복중학교에 야간부 개설.

9월 22일

• 서울 시내 전차 100대 운행.

9월 29일

• 원남동~세종로간 전차선 신설을 계획함.

이달

• 진명여자고등보통학교를 진명여자중학교로 변경.

• 동국대학교, 명륜동에서 중구 필동 3가 26번지로 본부를 이전함.

10월 1일

• 서울중앙방송국, 호출 부호를 <여기는 서울방송국입니다>에서 로 변경함.

10월 9일

• 조선어학회 주최로 경운동 천도교강당에서 한글 반포 502주년기념 겸《조선말 큰사전》발간식을 개최함.

• 번 · 방(方) 신부가 초대 교황사절로 임명되어 서울에 옴.

10월 10일

• 경기도 신탄 도외 반출에 대한 허가제가 철폐되어, 서울시민이 경기도 내의 신탄을 자유롭게 구입할 수 있게 됨.

10월 13일

• 10월 19일까지 서울운동장에서 제27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10월 16일

• 문교부, 정식 인가된 학교를 발표함. 서울지역 인가 정규 대학 : 국립서울 · 연희 · 고려 · 이화여자 · 동국 · 성균관 · 성신(聖神) · 중앙여자대학교, 세브란스의과대학원.

10월 18일

• 행정명령 7호로 <해방통신폐쇄> 공포.

10월 19일

• 실업 · 빈곤 · 질병환자에게 무료 구료제도(救療制度) 실시.

10월 21일

• 서울시, 광복 후 2천 개의 가로등을 점등함. 주요 거리에 영란등(鈴蘭燈)을 설치하기로 함.

10월 24일

• 영등포역 내에서 두 열차가 충돌 · 전복됨. 사상자 26명.

11월 1일

• 경성역을 서울역으로 명칭 변경.

• 석탄 부족으로 호남선과 경경선(京慶線) 일부 열차 운행이 중지됨.

• 재단법인 단국대학교 설립 인가.

11월 3일

• 단국대학교, 종로구 낙원동 282번지에서 2학부 5학과로 개교함.

11월 9일

• 서울시, 성동구와 영등포구 세궁민(細窮民) 3만 세대에 장작 반 평씩을 지급함. 지급 가격 : 한 평당 2,500원.

• 서울시, 1세대당 분탄 60㎏씩을 배급함.

11월 13일

• 동대문경찰서, 관하 각 서점에서 좌익 관계 서적을 압수함.

• 서울시, 실업자 상태를 발표함. 8월 31일 현재 서울시 인구 160만 명 가운데 직업인은 3%에 불과.

11월 15일

• 가솔린 배급 부족으로 경성전기주식회사 버스 운행이 정지됨. 장작 · 채소운반 차량은 절반 정도가 운휴함.

11월 16일

• 서울시 주최로 독립문 앞에서 독립문 건립 52주년 기념대회를 개최함.

11월 17일

• 순국선열기념절준비위원회, 서울운동장에서 순국선열 추모기념식을 거행함.

11월 19일

• 서울시, 인구 160만 명, 28만 1천 세대를 돌파함.

11월 20일

• 마장동에 전재민주택 20개 동이 완성되어 청량리 전재민 800세대가 이주함.

11월 22일

• 시민극장을 시민관으로 개칭.

11월 25일

• 서울시내 국민학교 교장회의에서 연료난으로 인하여 겨울방학을 종래 12월 21일부터 1월 20일까지인 것을 2월 14일까지로 2주일 연장키로 결정함.

11월 28일

• 국학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

12월 13일

• 종로구청이 화재로 전소되어, 수송국민학교에 임시 사무소를 설치함.

12월 15일

• 문교부, 남한 정규 고등교육기관 현황을 발표함. 국립서울 · 연희 · 고려 · 이화여자 · 성균관 · 동국 · 세브란스 의과 · 중앙여자 · 경성성신 · 국학 · 단국대학.

12월 19일

• 서울지구 전력난으로 전력공급시간을 오전 · 오후 8시간씩 제한하여 송전함.

• 서울시, 올림픽후원회를 결성함.

12월 22일

• 석탄 부족으로 24개 왕복열차가 운휴됨.

12월 24일

• 오후 4시경 종로 탑골공원에서 26세 청년이 조국의 비운을 개탄하며 할복자살 미수한 사건이 발생함.

12월 27일

• 국민대학관(國民大學館) 교사로 사용하고 있는 남산동 동본원사(東本願寺) 명도(明渡)를 서울시로 이전함.

12월 30일

• 서울시, 남산동 동본원사(東本願寺)를 교사로 쓰고 있는 국민대학관(國民大學館)에 축출을 명령함.

• 장서각 소장《조선왕조실록》원본 850여 권 중 700여 권 등이 도난된 사실이 발견됨.

12월 31일

• 일제강점기 때의 창씨 개명령을 완전 말소함.

• 서울시공관(市公館) 개관. 입관료 105원.

• 창덕궁경찰서, 장서각 소장《조선왕조실록》 원본 도난 범인 3명 중 2명을 체포함.

이해

• 신흥전문관(新興專門館) 설립.

• 홍문대학관, 흥국사(興國寺)에서 중구 저동 2가의 덕우사로 이전 및 홍익대학으로 개편함.

• 건국기술학교(建國技術學校)를 한양야간공업학교로 승격.

• 난지도를 서울기독교청년회 캠프장으로 확보.

연관목차

1381/1457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