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년(戊申年), 1968년

무신년(戊申年), 1968년

1월 9일

• 한강인도교 기점 변경.

1월 10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1개 국민학교 신설계획 수립.

1월 29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국민학교 교실 신 · 증축4개년계획안 마련. 예산 42억 9천만 원, 교실 4,740개 신 · 증축.

2월 1일

• 서울시, 구청에서 취급하던 사무 일부를 동에 이양. 이양사무 : 쓰레기 수거, 공중화장실 관리, 공공시설 유지 등.

• 서울시, 수도요금 납부 방법 개선. 계량검침과 요금고지를 겸함.

2월 7일

• 서울시, 시립서대문병원에 전염병동 세우기로 결정. 예산 1억 1천만 원, 연건평 2,500평, 4층 건물, 300명 수용.

2월 12일

• 서울시, 결핵퇴치사업계획 발표.

2월 15일

• 서울시, 효자동~세검동간 도로확장계획에 따라 칠궁(七宮) 일부 철거 시작.

2월 20일

• 김현옥(金玄玉) 시장, 시내버스 공영화계획 발표.

2월 26일

• 서울노량진전화국 준공.

2월 27일

• 한국일보 구관(舊館) 화재 발생. 사망 7명, 부상 5명, 목조 4층 건물 800여 평 전소, 피해액 약 2억 원.

2월 28일

• 밤섬 주민들 이주 완료.

3월 5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억 1,700만 원의 예산으로 국민학교 8개, 중학교 5개 신설계획 결정. 국민학교 : 동이촌 · 북가좌 · 금북 · 연희 · 전답 · 명륜 · 성내 · 마포국민학교, 중학교 : 성수 · 영천 · 농대병설 · 성산여중 · 면목여자중학교.

3월 6일

• 문화재위원회, 수령 700년의 창덕궁 향나무를 천연기념물 제194호로 지정.

3월 15일

• 광화문 복원 기공식. 총 공사비 1억 5천만 원, 높이 19m.

3월 22일

• 서울역 앞에 종합교통센터 기공. 총 공사비 27억 원, 지하 2층, 지상 21층.

3월 26일

• 서울시, 천호동~뚝섬 연안 한강을 수질보호구역으로 설정.

4월 1일

• 체신부, 2일에 한번 배달되던 우편 송달을 1일 한번 배달하는 ‘매일배달제’ 실시.

4월 16일

• 김현옥(金玄玉) 시장, 모든 전차노선 철거계획 발표. 예산 20억 원, 기간 1968년 8월~1970년 말.

4월 22일

• 서울시, 1967년 이후 발생한 무허가건물 1만 6,159동 가운데 9,680동 연내 철거방침 확정.

4월 25일

• 서울시, 여의도에 시립 초 · 중 · 고등학교 설립계획 수립.

4월 27일

• 세종로네거리에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 동상 제막. 제작 김세중(金世中), 동상 높이 7m, 좌대높이 12m, 무게 8t.

5월 1일

• 동대문도서관 설립.

5월 4일

• 덕수궁에서 세종대왕 동상 제막식 거행.

5월 11일

• 장충단공원에서 사명대사 동상 제막식 거행. 좌대높이 5.7m, 동상 높이 3.9m.

5월 27일

• 서울시, 재해대책위원회 설치. 구 단위로 9개 수방단(水防團) 편성, 운영 등.

6월 5일

• 서울시, 보광동수원지 통수식(通水式) 거행. 상수도 10만톤 생산으로 급수 인구 26만명 증가.

6월 10일

• 서울시, 3개 지하도 개통. 서울역 앞 지하보도 : 길이 42m, 폭 10m, 공사비 6,400만 원, 남대문지하보도 : 길이 32m, 폭 6m, 공사비 3,600만 원, 체신부 앞 지하보도 : 길이 34m, 폭 10m, 공사비 6천만 원.

• 서울시, 경기도 광주(廣州)에 판잣집 이주 대단지 조성 결정. 예산 6억 원, 4만 8천가구, 20만명 이주.

6월 14일

• 서울시경찰국, 폭력학생 명단 작성하여 동태 감시 강화.

6월 20일

• 연희동에 한성화교중학교(漢城華僑中學校) 신축공사 기공.

6월 21일

• 교통회관(한남동 683-73번지) 건설공사 기공. 예산 2억 3천만 원, 대지 650평, 연건평 2,270평, 지하 1층, 지상 10층 건물.

7월 2일

• 영등포구 도림2동 주민 200여 명, 신흥법낭공업사 공장 앞에서 매연 공해 항의 시위.

7월 3일

• 서울지역 집중 호우로 사망 12명, 실종 7명, 부상 17명, 이재민 600여 명 발생.

7월 4일

• 서울대교의 제3교각과 제4교각 사이 슬라브 붕괴로 24명 부상.

7월 5일

• 서울시재해대책본부, 수해방역대책 마련하고 9개 구에 26개 방역반 편성.

7월 10일

• 서울 도심 상공의 비행 운항 제한.

7월 15일

• 문교부, 1969년부터 서울 중학교 입시를 추첨제로 결정 발표.

7월 25일

• 대한항공공사, 서울~도쿄간 항공노선 개설.

7월 31일

• 서울시, 경기도 고양군 벽제면 대자리에 현대식 화장장(火葬場) 건설공사 착공. 예산 1억 2천만 원, 면적 3만 9천 평, 1969년 5월말 완공 예정.

8월 7일

• 노동청, 서울 등 23개 도시에 국립직업안정소 설치하여 상용구직자와 일용구직자 직업알선 계획 마련.

• 철도청, 수색역 주변에 차량기지 건설공사 기공. 공사비 18억 3,400만 원, 1970년 완공 예정.

8월 12일

• 서울시, 남부종합터미널(용산시외버스주차장 자리) 건설공사 기공. 공사비 1억 2천만 원, 대지 697평.

8월 13일

• 전국광산 노조원과 대한석공(大韓石公) 노조원 1만 3천여 명이 임금 인상 요구하며 48시간 총 파업.

• 서울시, 주요 간선도로에 택시정류장 72개소 설치 확정.

8월 16일

• 종로도서관 개관. 장서 5만 6,700권, 정기간행물실 등 구비.

8월 30일

• 2학기부터 고등학교 학생의 군사훈련 실시 결정.

9월 3일

• 서울시, 20만 평 규모의 뚝섬유원지 개발계획 수립, 발표. 풀장 · 도서관 · 운동장 · 주차장 · 고속보트장 건설.

• 서울시, 사직공원 안의 단군성전 · 사직기념관 단장, 낙성봉축제전 거행.

9월 4일

• 서울시, 시립병원 독립채산제 운영방침 결정.

9월 10일

• 서울시, 남산식물원 건설공사 착공.

9월 14일

• 문화재위원회, 대한문(大漢門)을 현재 위치에서 뒤로 물리기로 결의.

9월 24일

• 동대문근로복지관(전농동 103-250번지) 개관. 공사비 700만 원, 대지 57평, 건평 150평, 3층 건물.

9월 26일

• 서울시, 종로3가 윤락가 정비 개시.

9월 30일

• 응봉동 산28번지 일대 주민들, 판자촌 철거반원과 충돌. 중상 18명, 경상 80여 명 발생.

10월 4일

• 서울시, 문화공보부로부터 서울시내 중요문화재에 대한 관리권 인수.

• 서울시, 남대문 · 동대문 · 보신각 수리 착수.

• 처음으로 실형 확정된 난행치상범(亂行致傷犯) 미군(美軍) 2명을 우리나라 교도소에 수감.

10월 5일

• 서울시, 종로3가 윤락가 완전 철폐.

10월 8일

• 서울시내 중학교 입학 추첨 실시. 지원자 10만 1,409명, 남자 5만 6,063명, 여자 4만 5,346명.

10월 10일

• 전국 주민등록 마감. 총대상 2,979만 8,482명, 94.6%인 2,817만 9,810명 등록.

10월 12일

• 문교부, 1969년부터 대학 입학에 예비고사제 실시 방침 발표.

10월 16일

• 김현옥(金玄玉) 시장, 종로3가 · 창신동 · 삼각지 · 청량리 · 양동 · 도동의 사창가 일소 방침 발표. 예산 2억 원, 윤락여성 수용재활원 설치 등.

10월 31일

• 서울시, 보신각 단청공사 준공.

11월 5일

• 정부, <한글전용연구위원회 규정> 공포.

11월 6일

• 서울시, 전차 철거로 실직한 종업원 구제 위해 공영택시제 채택 결정. 실직 전차종업원 100명을 운전사로 채용할 계획.

11월 11일

• 서울시, 남산공원 종합건설계획 확정. 예산 : 시비 16억 7,550만 원, 민자 15억 5,579만 원.

• 서울시, 노숙자합숙소 9개소 설치.

• 경기중학교 · 경기여자중학교 · 서울중학교 · 이화여자중학교 · 경복중학교 폐교.

11월 15일

• 정부, 관혼상제의 간소화를 위한 <가정의례준칙안>을 확정.

11월 21일

• 주민등록증 발급 시작.

11월 23일

• 남대문시장에 화재 발생. 775개 점포 소실, 피해액 3억 2천만 원.

11월 27일

• 서울시, 시립학교건강관리소(신문로2가) 건설공사 기공. 예산 2억 5,300만 원, 대지 1,520평, 연건평 2,242평, 지하 1층 · 지상 5층 건물.

11월 29일

• 서울시내 노면 전차 운행 중지.

12월 3일

• 서울시, 서민아파트 2천동 건립계획 발표. 위치 : 경기상고 뒷산, 회현시민아파트 뒤, 창신 · 숭인지구 등.

12월 5일

• 정부, <국민교육헌장> 선포.

• 북한산성 일대 16만 8,989평을 사적 제162호로 지정. 남양주군에서 관할.

12월 10일

• 서울시, 소공동지하도 개통.

12월 11일

• 서울시, 광화문 복원공사 준공. 공사비 1억 4,889만 원, 착공 1968년 3월 15일.

12월 17일

• 서울시, 서울시문화상을 학술 · 예술 · 언론 · 교육 · 건설의 5개 부문으로 개정.

• 고속도로순찰대 발족.

12월 23일

• 서울시, 남산식물원 개원. 온실 169평, 열대작물 15종, 선인장 463종 등 989그루 식수.

• 서울시교육위원회, 도봉여중 · 성수여중 · 행당여중 · 도림여중 · 강남여중 · 강서중 · 당산중학교 낙성식.

12월 28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서소문동 새 청사로 이전.

연관목차

1406/1457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