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자년(壬子年), 1972년

임자년(壬子年), 1972년

1월 4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972년도 초 · 중 · 고등학교 교실 · 학교 증설계획 수립. 시설비 42억 7,295만 원, 국민학교 15개 및 중학교 5개 신설, 국민학교 교실 790개 증설 등.

• 서울교통개혁추진위원회, 시민회관에서 운전사 등이 참여한 가운데 교통질서 궐기대회 개최.

1월 5일

• 서울시경찰국, 서울시청을 중심으로 반경 1km 안을 ‘비상통제구역’으로 설정하고, 이 구역 내 교통법규 위반차량에 대해 2~6배의 처벌 강화 결정.

1월 6일

• 서울시, 무허가 철거민 정착단지를 영동 1 · 2지구 등 구획정리지구에 조성할 계획 수립.

1월 7일

• 서울시, 무허가건물 16만 8천여 동 가운데 2천여 동 철거, 3만 6천여 동 현재개량계획 수립.

1월 10일

• 서울시, 이동치과진료반 편성, 변두리 75개 동에 대한 무료진료 개시.

1월 13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25억 원의 예산으로 16개 국민학교 신축 결정, 교지(校地) 확정.

1월 17일

• 서울시, 관광운수국 안에 교통민원신고센터 설치.

1월 20일

• 서울시, 좌석버스 2,385대를 입석화하기로 결정.

1월 23일

• 서울시경찰국, 각 경찰서별로 교통사고처리전담반 설치.

1월 25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서울시장기교육계획(1972~1986) 마련. 국민학교에 체육 전담교사 배치, 1976년까지 육성회비 전면 폐지, 중학교의 공립화 등.

1월 26일

• 서울시, 공해방지종합대책 마련. 4월까지 170개 업소 폐업 및 이전, 1,896개 공해업소 행정처분 조처.

1월 31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973년에 정신박약아 등을 위한 한국 최초의 공립특수중학교 설립 계획 발표.

2월 1일

• 체신부, 서울시내 전화요금 전산화 실시.

• 치안국, <어린이인권보호령> 공포. 어린이에 대한 구걸 · 흥행 · 사역 등 금지.

2월 5일

• 서울시, 매달 5일을 ‘시민결혼의 날’로 결정, 영세민 합동결혼식 시행.

2월 16일

• 서울시, 도심인구 분산대책 마련. 백화점 · 흥행장 등 인구집중 업소의 건축허가 억제.

• 방송통신대학 개교.

2월 18일

• 서울시, 시내 5개소에 가정상담소 설치.

2월 26일

• 서울시체육회, 예산 6,884만 원, 28건의 1972년도 사업계획 확정.

2월 28일

• 서울시, 한강의 수질 보호를 위해 서울시 전역을 수질보존지역으로 지정, 공포.

3월 1일

• 서울시, 한강수질 보호를 위해 목동 · 풍납동 · 망원동의 간이분뇨처리장 폐쇄하고, 성산동 · 장안동분뇨처리장 건설공사 착공 결정.

3월 2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520개 초 · 중 · 고등학교 주변 반경 300m 이내를 학교환경위생정화구역으로 설정, 4,517개의 교육 방해물 철거 지시.

3월 3일

• 서울시, 매월 첫 번째 금요일을 ‘시민대화의 날’로 정하고, 각 구청별로 첫 모임 개최.

• 서울시, 지하철1호선 공사 착공에 따라 시청 앞의 김유신 장군 동상을 남산 어린이놀이터로 이전.

• 서울시경찰국, 절도전담 특별수사반 ‘330 수사대’ 발대식 거행.

• 서울시교육위원회, 연희 · 연서 · 대림여중 · 대림 · 창동중학교 신설.

3월 9일

• 서울에서 오염측정차 처음으로 가동.

3월 10일

• 서울시, 시청 앞 광장에 아황산가스자동기록계 · 부유분진자동측정기 등 3개 공해측정기구 설치.

3월 11일

• 서울시, 새마을운동 실천계획 마련. 각 동마다 새마을위원회 설치, 시민정신 개발과 환경시설 개선사업으로 나누어 새마을운동 전개.

3월 15일

• 서울시내 유일한 분교인 개화국민학교 오곡분교 개교. 학생 324명, 교사 6명.

• 서울시, 출생 · 사망 · 성명 · 생년월일 등의 호적변경사항을 동사무소에서도 접수 · 처리 시행.

3월 25일

• 파레스호텔에 화재 발생. 4명 사망, 6명 중상.

3월 29일

• 서울시, 처음으로 여성 동장(洞長) 5명 임명 · 발령.

3월 30일

• 서울시, 무허가건물 철거민 정착지 1차지구 확정. 영등포구 신월동 산33-1, 산34, 산35 일대의 5만 4천 평.

4월 12일

• 최고(最古) 인쇄물인 고려 목종 7년(1007)의 목판 다라니경 발견.

4월 14일

• 서울시, 워커힐을 중심으로 구의리 · 광장리 · 군자동 일대를 관광자유지역으로 설정. 통금 철폐, 철야 영업 가능.

4월 24일

• 서울 시내에 4 · 19혁명 이후 사라진 여자교통경찰관 재등장.

4월 28일

• 시민회관에서 제1회 관광사업진흥촉진대회 개최.

5월 2일

• 서울시, 5월 15일까지 특수아동의 실태 파악을 위해 각 구청에 특수아동상담소 설치, 운영.

5월 10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9개 공 · 사립고등학교 신설계획 수립. 여의도고 · 서문고 · 신림고 · 영파여상 · 대성고 · 명지여고 · 동일고 · 송곡여고 · 경일고등학교.

5월 17일

• 남산 야외음악당에서 고 이범석(李範奭) 장군 국민장 영결식.

5월 18일

• 창덕궁에서 한국문화재보호협회 발족.

5월 20일

• 서울시, 암사동 등 3개 지역을 상수도 용지로 결정. 암사동 6만 3,300평, 종암동 1만 3,500평, 전농동 4,950평.

5월 23일

• 서울시, 국기에 대한 존엄성을 높이기 위해 본청과 구청 · 사업소에서 매일 국기 게양 · 하기식 시행하기로 결정.

5월 25일

• 서울시지방문화재위원회, 6개 사적을 서울시지방문화재로 지정. 서울지방문화재 제4호 사육신묘, 제5호 용양봉저정, 제6호 정업원구기, 제7호 낙성대, 제8호 종친부, 제9호 성제묘.

5월 26일

• 건설부, 상수도 수질 개선을 위해 광나루 · 뚝섬 · 노량진 · 염창동의 취수구(取水口)를 팔당으로 이전할 방침 발표.

6월 1일

• 서울시, 운수업체의 서비스자세 확립과 정비를 위해 운수업체 평점제 시행.

6월 2일

• 서울시, 서울특별시 환경순찰반 신설.

6월 14일

• 서울시, 윤락여성 286명 적발, 대방동 부녀보호소와 행복원에 수용.

6월 22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여의도고등학교 등 12개 신설고등학교(공립 1, 사립 11) 예비 인가.

7월 1일

• 서울시, 결핵환자 수와 치료 경과를 파악하기 위해 결핵환자등록제 실시.

7월 4일

• 서울시립아동상담소, 12~15세 문제아동을 대상으로 한 문제아동전문치료센터 설치.

7월 5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학생 수 감소로 을지 · 서대문국민학교 폐교.

7월 11일

• 서울시, 각 구청에 항공촬영 결과 집계된 무허가건축물 17만 3,904동의 특별색출 명령 시달.

7월 25일

• 서울시, 소방발전10개년계획 발표. 특수소방차 35대 및 각종 소방차 167대 등 도입, 사이카순찰대 발족 등.

• 서울시경찰국 합창단 발족.

7월 28일

• 서울시, 초가집일소계획 마련. 초가집 7,856채 가운데 개량 가능한 5,208채를 9,300만 원의 주민부담과 1,200만 원의 시비(市費) 지원으로 개량.

8월 1일

• 서울시, 토지 중심의 주거표지를 건물 중심으로 바꾸는 주거표지제 개혁 10개년계획 마련.

8월 5일

• 전농동 대왕코너에 화재 발생. 6명 사망, 80여 명 부상, 70개 점포 전소, 피해액 3억 원.

8월 9일

• 서울시, 고가(古家) · 한옥보존지구 선정 방침 마련. 대상지역 : 경복궁 주변 가회동 · 계동 · 화동 · 안국동 · 팔판동 · 소격동 · 관훈동 · 견지동 · 옥인동 · 통인동 · 사직동.

8월 16일

• 문교부, 중 ·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1,800자 확정.

• 문화재관리국, 국보 제3호 신라 진흥왕순수비(新羅眞興王巡狩碑)를 북한산 비봉에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이전.

• 서울시, 9개 수도사업소에 상수도민원봉사실 개관.

• 서울시, 각 구청에 부랑아관리실 신설.

8월 19일

• 서울과 중부지방에 집중 호우. 한강인도교 최고 수위 11.24m 기록, 서울시내 사망 202명, 실종 22명, 부상 158명, 재산 피해 15억 원.

8월 21일

• 중앙재해대책본부, 전국 홍수피해 집계. 사망 398명, 실종 130명, 부상 405명, 이재민 36만 1,120명, 재산피해 132억 6,600만 원.

8월 25일

• 경복궁 내 국립중앙박물관 새 청사 개관. 공사비 12억 7,600만 원, 지하 1층, 지상 3층, 연건평 4,250평.

8월 30일

• 서울시, 지방문화재 6점 지정. 지방문화재 제10호 한우물(시흥동), 제11호 지덕사와 이에 딸린 묘소, 제12호 청권사와 그에 딸린 묘소, 제13호 동십자각, 제14호 인조별서유기비(仁祖別墅遺基碑), 제15호 관성묘.

9월 1일

• 서울시, 시립병원 운영개선방안 마련. 시립동부병원에 야간응급진료센터 강화, 시립남부병원을 무료진료병원으로 지정.

9월 4일

• 서울시, 노동청으로부터 직업안정업무 인수.

• 서울시, 중랑천변 무허가건물 680동 철거. 철거민은 영등포구 · 서대문구 관내 정착지로 이주.

9월 6일

• 문교부, 중학교 무시험 추첨 실시.

9월 8일

• 국립과학관 개관. 12개 분야 223개 종목 전시, 예산 1억 원.

9월 20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973년도 고등학교 입시 체력검사 실시계획 확정 발표.

9월 23일

• 서울시, 버스 · 택시시설 개선하고, 종업원은 제복 · 제모 착용하도록 지시.

9월 27일

• 서울시, 국내 최초의 나프타가스(도시가스)공장 완공. 총공사비 5억 8,400만 원, 1971년 8월 착공.

• 서울시교육위원회, 중학교 학군 세분화 방침 마련. 8학군 6개 공동지역 18개 소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던 것을 30여 개의 소지역으로 세분화.

10월 1일

• 서울 · 부산의 시내 공중전화 3분 단절제 실시.

10월 9일

• 서울시, 홍은동배수지 건설공사 착공.

10월 14일

• 서울시, 미국 스미소니안연구소의 보고서 중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오염된 도시’라는 내용에 대한 항의문 보내기로 결정.

10월 21일

• 서울시, 가로명제정위원회 발족.

11월 1일

• 전국에서 첫 ‘자유학습의 날’ 일제 실시.

11월 14일

• 서울시, 목동에 남부도시가스공장 준공. 총공사비 10억 원, 생산능력 5만m3/일, 1971년 8월 착공.

11월 25일

• 서울시, 59개 가로에 대해 새 이름 명명.

11월 30일

• 서울시, 시내 34개소에 산재한 화물트럭정류장을 4개소(당산동 · 청량리 · 불광동 · 서초동)로 통합. 주차능력 1,700대.

12월 2일

• 서울 시민회관이 대형 화재로 전소(全燒). 사망 51명, 부상 76명, 재산피해 2억 5천만 원.

12월 3일

• 서울시, 시내 16개소에 노숙자 임시구호소 설치 개방.

12월 4일

• 종로구 견지동 옛 우정총국 건물에 체신기념관 개관.

12월 7일

• 서울시, 철거민 정착단지로 신정동 · 개포동 결정. 신정동 경인토지구획정리지구 3만 평, 개포동 산 70번지 일대 2천 평.

12월 11일

• 서울시, 표준식단제를 마련, 1973년부터 실시 결정. A급 반찬 34가지→14가지, 설렁탕 등 대중식사 반찬 2가지 등.

12월 12일

• 서울시, 영동시영주택 준공식. 예산 32억 원, 단독주택 753동, 1971년 6월 착공.

12월 16일

• 문교부, 서울 · 부산에 교육구청 신설.

12월 25일

• 서울시내 대연각호텔에 화재 발생. 사망 163명, 부상 66명, 재산피해 8억 3,820만 원.

12월 27일

• 서울시, 6억 원의 예산으로 남산타워 · 신설동 · 당산동 · 광화문의 4곳에 자동공해측정기 설치.

12월 29일

• 서울시, 서부위생처리장(성산동 350번지) 준공. 처리능력 600㎘/일

연관목차

1411/1457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