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사년(癸巳年), 1953년

계사년(癸巳年), 1953년

1월 7일

• 용산 교통부기술연구소 청사, 화재 발생. 건물 전소, 피해액 9억 8천만 원.

1월 9일

• 서울체신대학교 청사, 화재 발생. 건물 전소, 피해액 4억 6천만 원.

1월 10일

• 국민학교 후원회 총연합회 결성.

1월 24일

• 국제연합한국재건단(UNKRA) 문교사회원조계획에 의해 외국어학원 개설.

1월 27일

• 중학교 입시를 국가연합고시제로 결정.

2월 10일

• 서울시경찰국, 서울시 15만 2,495가구 중 27,259가구가 빈집이라고 함.

2월 14일

• 재동(齋洞)국민학교(36육군병원), 화재 발생. 교사(校舍) 전소, 피해액 4억 원.

이달

• 성균관대학을 종합대학으로 승격함.

3월 8일

• 서울시체육회, 서울운동장에서 발족행사로 3 · 1절경축 체육대회 거행.

3월 15일

• 서울시, 남산에 직업소년학교 설치.

3월 16일

• 문교부, 각 대학에 신입 대학생부터 제복(制服) · 제모(制帽) 착용 시달.

이달

• 서울시, 노량진 · 구의 · 뚝섬수원지의 복구공사로 총 생산량 15만톤의 시설 확보. 공사비 15억 원, 기간 1951. 3.18~1953. 3.

4월 1일

• 전시의 과도적 중등교육기관이었던 중학훈육소(中學訓育所) 해체하고 중 · 고등학교 원교(原校) 개교 지시.

4월 6일

• 서울지구에 CAC에서 마련한 이동의료차 등장.

4월 7일

• 서울시, 혼혈아 국민교(國民校) 의무교육 실시. 적령아동 6명 취학.

4월 9일

• 문교부, 중 · 고등학교 제복 · 제모의 통일 지시. 양식과 색상은 학교장이 지정.

4월 20일

•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음악부, 음악대학으로 승격됨.

4월 25일

• 0시부터 자동전화 개통.

4월 30일

• 6 · 25전쟁으로 파괴된 세종로 기념비전(紀念碑殿) 보수 완료, 상량식 거행.

이달

• 서울~수색~의정부~서울간의 교외선 철도 개통.

5월 1일

• 일반인의 군복착용 엄금.

5월 2일

•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학도간부후보생 입대식 및 장행회(壯行會) 거행.

5월 27일

• 흑석동 자유시장, 화재로 전소.

6월 1일

• 중앙방송국, 서울에 복귀하여 방송 개시.

• 야간통행금지시간을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5시 30분까지 30분 연장 시행.

6월 9일

• 휴전반대 데모에 참가한 진명여고 학생들, 해산시키던 미국헌병들에 의해 25명 부상.

6월 20일

• 서울시공관에서 서울극장협회 주최로 멸공통일촉진예술제 개막. 서울특별시 · 한국무대예술원 · 서울신문사 후원.

6월 24일

• 문교부, 학생을 통한 서울시공채 소화 금지 지시.

6월 25일

• 극단 창립.

6월 30일

• 서울시경찰국, 서울시 규정 24호에 의해 소방과를 방호과로 개정.

7월 1일

• 서울시, 호국영령탑 건립공사 착공.

7월 3일

• 도서관 연일 초만 원. 학생이 70% 차지함.

7월 5일

• 학생 위주로 국민학교의 서울 복귀 추진.

7월 20일

• 서울시경찰국, 익사 사건을 예방하기 위해 뚝섬 · 김포 · 원효로4가를 수영지구로 지정.

8월 9일

• 서울의 월동 연료로 무연탄 10만톤 도입 계약.

8월 12일

• 중앙기독교청년회, 난지도에 소년촌 개설하고 부랑아 150명 수용.

8월 13일

• 서울에 폭우로 가옥 4천여 호 침수, 이재민 1,200명 발생, 교통 일시 두절.

8월 15일

• 영자신문 <코리아 리퍼블릭> 창간.

• 남대문 · 보신각 등 보수공사 완료.

8월 24일

• 서울시내 가정용 전등에 대한 송전은 밤 12시까지만 허용.

9월 2일

• 서울시내 여객자동차운송사업조합 창립. 조합원 23명, 보유 차량 80여대.

9월 5일

• 신길동~영등포역 사이의 영로선(永鷺線) 연장 기공식. 공사비 6,500만 환.

• 서울 시내에 뇌염환자 발생.

9월 9일

• 서울~대구간 전화선 복구, 일반통화 취급 사무 개시.

9월 10일

• 서울시경찰국, 미8군사령부와 절충하여 시내 교통난 완화책 발표. 합법적인 수속 하에 운행되는 차량의 국도통행증(MSK) 폐지, 여객차량의 운수 및 운송사업면허에 대한 미군의 승인 폐지, 교통정리사무에 대한 간섭 폐지.

9월 11일

• 미군당국, 민간차량 사무를 서울시경찰국에 이관. 택시는 서울시장, 버스는 교통부장관의 승인만으로 운행 가능.

9월 12일

• 서울시내버스운송사업조합 창립. 조합원 22명, 보유차량 90대.

9월 13일

• 발간.

9월 20일

• 서울시내 노동조합 집계. 노동조합 21개, 노동조합원 3,728명(남자 2,477명, 여자 1,251명).

9월 30일

• 국도극장 종업원 50여 명, 미8군에 대해 국도극장 반환 요구.

10월 1일

• 여성단체의 주선으로 남대문로에 휴가장병휴게소 설치.

• 정기화물열차 운행 시작.

10월 10일

• 문교부, 국립도서관에서 고등학교 교원검정고시위원회 개최하고, 11월 5일 검정고시 실시 결정.

• 결식학생에 대한 빵 배급 부활.

10월 15일

• 서울시, 노동위원회 위원 9명 임명.

10월 17일

• 서울에서 제34회 전국체육대회 개최. 참가인원 4,980명, 종목 20개.

10월 18일

• 상공부, 서울시에 월동용 무연탄 7천톤 배정.

10월 24일

• 서울의 밀창(密娼) 실태조사 결과, 조사대상자 5,103명 가운데 유부녀 19%, 대학출신자 10% 차지한 것으로 나타남.

10월 25일

• 한강어린이공원(용산동5가 11-42) 개원. 면적 5,197m2.

10월 28일

• 서울시, 주식회사 경성궤도(京城軌道)의 운영권 인수. 동대문~뚝섬 · 광장간 운영권을 서울시로 이관.

• 대한국민항공사, 서울~부산 노선에 DC-4발기 투입, 1일 1회 왕복 운행.

10월 29일

• 서울시립진료소 4개소 신설.

10월 30일

• 정부, 11월 3일을 ‘학생의 날’로 결정.

11월 7일

• 서울시경찰국, 범죄예방을 위해 기동대 편성과 가로등 500개 설치.

11월 9일

• 여의도비행장을 국제공항으로 사용 시작.

11월 17일

• 미8군, 전재민(戰災民)을 위한 후생주택 16동 건축.

11월 23일

• 상공부, 서울시에 월동용 무연탄 1만 2천톤 배정.

11월 27일

• 김태선(金泰善) 시장, 택시 관허료(官許料) 공문서화 지시.

11월 28일

• 서울시내 화물자동차운수사업조합 창립. 1953년도 화물자동차 266대.

12월 1일

• 서울시내 전차 승차요금 인상. 4환→7환.

12월 3일

• 일반주택가에 있는 급유소 19개소 폐쇄.

12월 7일

• 중구 양동(陽洞)의 무허가 판잣집 철거. 철거민 800명.

12월 7일

• 서울~동경간 전신 개통.

12월 12일

• 보신각 재건.

12월 23일

• 연예단체, 국도극장 반환 진정.

12월 28일

• 한강인도교 보행 개통식.

이달

• 서울시, 청소사무를 보건위생국 위생과에서 경찰국 보안과로 이관.

• 서울시, 인구동태 조사 발표. 주거 13만 5,832호, 세대 19만 5,829, 인구 101만 416명(남자 47만 9,798명, 여자 53만 618명).

이해

• 서울시 학교 분포 상황. 국민학교 85, 중학교 81, 고등학교 74, 대학교 35개교.

• 덕수궁 석조전을 국립박물관으로 사용함.

연관목차

1388/1457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