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해년(辛亥年), 1971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1월 5일

• 서울시, 아파트 80동 건립 결정. 예산 58억 8천만 원, 시민아파트 46동, 공무원아파트 10동, 시범아파트 24동.

1월 7일

• 서울시지하철본부, 지하철 1호선 정류장 9개소 위치 확정. 서울역 지하도, 대한문과 시청 중간, 종로1가 네거리, 종로3가, 종로5가, 동대문 서쪽, 신설동로터리, 제기동 성동역 동쪽, 청량리 대왕코너 앞.

1월 8일

• 서울시, 2월부터 쓰레기 수거의 가구책임제 실시 결정. 쓰레기 : 청소원 1인당 200가구 전담, 오물 : 청소원 1인당 300가구 전담.

1월 9일

• 서울시, 보광수원지 30만톤 확장공사 완공. 총 공사비 31억 원, 62개 동 급수 혜택, 1961년 12월 착공.

1월 12일

• 서울시, 마장동 가스공장 인수, 마장동 · 홍익동 · 도선동 일대 166가구에 가스 공급.

1월 13일

• 학교시설 평준화 작업으로 경기중 · 경복중 · 서울중 · 경기여중 · 이화여중 마지막 졸업식.

1월 14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학교 시설 평준화 작업으로 성동여중 · 삼선고등학교 폐교.

1월 20일

• 광장전화국 개국. 성수동2가 · 화양동 · 구의동 등 관할.

1월 23일

• 속초발 서울행 대한항공 F27기 납북기도사건 발생.

1월 25일

• 서울시, 노동청에 지방근로감독관제 신설 등 지방노동행정 강화 건의.

2월 2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72개 중학교를 8개 학군(學群) 3개 학구(學區)로 구분 확정.

2월 9일

• 서울시, 청소개선계획 발표. 청소원 697명 증원, 차량 67대, 리어카 460대, 수하차 389대 증차.

2월 22일

• 청계천5가 동화상가에 근로자복지병원 개설.

이달

• 여의도비행장 폐쇄.

3월 1일

• 서울시내버스여객자동차운송사업조합, 서울시에 승차권 전면 실시 건의.

3월 2일

• 서울시, 판잣집 2만 동 철거하여 광주대단지에 이주시킬 계획 마련.

3월 4일

• 서울시, 도봉교 가설공사 완공.

3월 6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519개 초 · 중 · 고등학교 운동장을 일반에 개방하도록 지시.

3월 13일

• 서울시, 3만 채의 무허가건물을 현지 개량형식으로 양성화할 방침 마련.

3월 23일

• 서울시, 한강 오염방지 위해 5,367개 접객업소에 수세식 화장실 시설 지시.

3월 30일

• 서울시, 남대문 · 시청앞 · 성동역의 지하철 3개 구간 교통처리안 확정. 시청~남대문간 정류장 폐쇄, 시청앞 좌회전 금지.

• 도산선생기념사업추진회, 영동지구에 도산공원 건립 결정. 예산 1억 6,350만 원, 면적 6천여 평.

3월 31일

• 동대문구 신설동에 동대문도서관 개관. 대지 300평, 연건평 594평, 열람실 7개, 장서 6,869권.

• 서울~부산간 자동전화 개통.

4월 2일

• 신림동 서울대학교 종합캠퍼스 건설공사 기공.

4월 6일

• 서울시, 북한산대공원 개발기본계획 마련. 예산 60억 6,800만 원, 도봉 · 우이 · 수유 · 정릉 일대 대단위 공원화.

4월 8일

• 서울시, 성산유수지 건설공사 착공. 공사비 1억 원, 규모 4,900m2.

4월 15일

• 서울시, 영등포수원지 신설.

4월 17일

• 서울시, 노원교(도봉동~상계동) 가설공사 완공. 공사비 8,500만 원, 길이 115m, 폭 20m.

4월 20일

• 서울시, 어린이대공원(능동) 건설계획 확정. 서울컨트리클럽 부지 21만 3천 평, 공사비 24억 5,400만 원, 1973년말 완공 예정.

4월 21일

• 서울시, 청계산에 시립남부장재장(市立南部葬齋場) 건립계획 마련. 예산 2억 8,700만 원, 대지 3만 평.

4월 24일

• 서울시, 무주택공무원을 위한 공무원아파트 기공. 영동지구 제4공구 7천 평, 12동, 총 공사비 5억 1,800만 원.

5월 4일

• 서울시, 하수도준설반 발대식. 36개 반 편성, 1개 반에 준설기 1조와 작업요원 6명 배치.

5월 11일

• 서울시, 13개 미관지구의 건축물 제한 시행세칙 마련. 1종 지구 : 도로에 접한 길이 18m, 폭 9m, 높이 5층 이상, 2종 지구 : 길이 12m, 폭 6m, 높이 3층 이상, 3종 지구 : 길이 12m, 폭 6m, 높이 5층 이상 제한.

5월 13일

• 서울 시내 장티푸스 기승, 13일 현재 장티푸스 환자 162명.

5월 17일

• 서울시, 마포 · 영등포 · 동숭 · 금화상담소의 4개 시립가정상담소 개설.

5월 27일

• 청량리~성북간 철도 복선 개통.

6월 1일

• 서울시, 무허가건물의 신규 발생을 막기 위해 기존 무허가건물 17만 1,709동에 고유번호제 실시.

6월 4일

• 서울시, 16개 업체에 여름철 저탄(貯炭) 자금 15억 원 배정.

6월 8일

• 서울시, 주택단지와 임야개간 기준 강화. 주택단지 : 개발지역 내에 도로 · 하수도 · 공원 등 정비하여 서울시에 기부, 임야개간 : 하수도 축대 등 시설.

6월 10일

• 서울시, 연탄가스 중독사고 예방을 위해 미장공등록제 실시. 6월 30일까지 각 동 단위로 접수.

6월 16일

• 서울시, 광주대단지 무허가건물 790동 일제 철거.

6월 25일

• 서울시, 철거되는 무허가건물의 세입자대책 마련. 광주대단지의 땅 20평씩 배부하여 주택 건립토록 조처.

7월 1일

• 서울시, 매연 차량 행정처분. 5,988대 적발, 471대 3일 운행정지, 148대 사용정지, 488대 시정 지시, 4,881대 정비 지시.

7월 7일

• 국립대학 의대 부속병원 레지던트 · 인턴들, 처우 개선과 신분보장 요구하며 파업 시작.

7월 17일

• 서울에 집중 호우. 주요 간선도로 침수, 산사태로 7명 사망.

7월 27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4개 국민학교 신설, 1972년 개교 방침 마련.

7월 30일

• 서울시, 건물현황 조사결과 발표. 1 · 2층 주택총수 57만 7,767동, 3층 이상 건물 총수 6,591동.

8월 1일

• 서울시, 도심지 26개 공영주차장 폐지.

8월 6일

• 영등포구 본동에 도시가스 남부공장 기공. 예산 23억 7천만 원, 1973년 완공 예정.

8월 10일

• 광주대단지 주민 5만여 명, 대규모 시위 전개. 세금 면제 · 실업자 구제 등 주장.

8월 11일

• 양택식(梁鐸植) 시장, 광주대단지 주민 요구 수락.

8월 12일

• 최두선(崔斗善) 대한적십자사총재, 북한적십자사에 남 · 북한이산가족찾기 적십자회담 제의.

8월 23일

• 영등포구 대방동 유한양행 앞 길에서 실미도를 탈출한 북파공작원 20여 명 자폭. 공작원 14명 사망, 6명 부상, 경찰 · 민간인 6명 사망, 16명 부상.

8월 30일

• 동대문구 이문동 · 석관동 주민 300여 명, 저탄장 이전 요구 농성.

9월 1일

• 국민학교 6학년생의 서울 전 · 출입 금지.

9월 7일

• 서울시, 판잣집 철거계획 백지화 발표. 1972년 3월까지 철거민의 광주대단지 이주 중지.

9월 10일

• 남산식물원 개관. 공사비 3,800만 원, 규모 827평, 2,115종 1만 4,858그루 식수.

9월 15일

• 월남파견 기술자 가족 400여 명, 체불 노임 지급 요구하며 KAL빌딩 방화 등 격렬 시위.

9월 29일

• 서울시, 여의도광장 완공. 총 공사비 7억 6천만 원, 55만명 수용 가능, 총 12만 평, 길이 1,350m, 폭 280~315m.

10월 5일

• 철도청, 성동역 폐쇄.

10월 15일

• 문교부, 학생들의 시위 격화로 서울대 · 고려대 · 연세대 · 전남대 등 8개 대학 무기 휴교령.

10월 21일

• 서울시경찰국, 교통통제정보센터 가동.

10월 30일

• 문교부, 서울대 · 고려대 등 8개 대학 휴교령 해제.

• 여의도시범아파트 24동 준공. 공사비 60억 2,700만 원, 1,584가구 입주. 최초의 중앙공급식 난방 고층 아파트.

11월 1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서울시립농업대학을 서울산업대학으로 확장 개편 결정.

11월 2일

• 영등포구 양평동 주민들이 악취를 내는 태광화학공장 조처 진정.

11월 13일

• 서울시, 고양군에 분뇨처리장 설치방침 결정. 예산 5,800만 원, 1일 처리용량 23만㎘.

11월 25일

• 서울시, 1973년부터의 하수도사용료 징수계획 수립.

11월 26일

• 서울시, 택시업체에 택시운전사의 월급제 실시 강력 지시.

11월 27일

• 중구 저동1가에 국내 최초의 산업재해병원 개원.

11월 28일

• 북한산 인수봉 등반 조난사고 발생. 7명 사망, 16명 동상.

12월 13일

• 서울시, 55개 사설고아원에 대한 일제 검사 착수. 부실고아원 정리 방침.

12월 23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비상사태 장학지침 시달. 안보교육의 강화, 과학시술교육의 철저, 보건체육 진흥.

12월 25일

• 서울시내 대연각호텔에 대화재 발생. 사망 156명, 부상 69명, 피해액 8억여 원.

연관목차

1410/1457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