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진년(甲辰年), 1964년

갑진년(甲辰年), 1964년

1월 1일

• 교육자치제 실시에 따라 서울특별시교육위원회 발족.

• 정부, 도량형을 미터제로 통일 시행.

1월 6일

• 서울시, 초대 교육감에 김원규(金元圭) 선출.

1월 10일

• 동대문 실내스케이트장 개장. 대지 1,500평, 건평 1,023평, 경기장 면적 500평, 수용 인원 2,500명, 총 공사비 8천만 원.

1월 16일

• 서울시내에 인덕 · 장훈 · 숭인고등학교와 대신 · 송천 · 해방국민학교 신설.

1월 20일

• 사직동의 시립영아원 낙성식. 공사비 1천여 만 원, 200여 명 수용 가능, 1962년 12월 착공.

2월 1일

• 철도 · 체신 · 전매 3개 노동조합, 노임(勞賃)인상 등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해 공동투쟁위원회 구성.

2월 14일

• 서울시내 학부형들, 전기중학교 입학시험문제 출제 잘못과 관련하여 경기중학교장과 서울시교육감을 상대로 출제 일부 무효확정 청구소송 제기.

2월 15일

• 서울시경찰국, 광고물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변경.

2월 19일

• 김원규(金元圭) 서울시교육감, 1965년부터 공동출제 폐지하고 각 학교장에 일임 발표.

• 기독교세계봉사회, 수족절단자센터(연세대학교병원 뒤뜰) 개관. 면적 300여 평, 42명 수용 가능.

2월 27일

• 서울시, 계량기의 미터법 단위 일제 검사.

2월 28일

• 세브란스 소아재활원 발족. 사립국민학교로 인가, 미국인선교사 아담스부인 설립.

2월 29일

• 중앙암연구소(와룡동) 낙성식.

3월 5일

• 한국탄약분해공업사(안양교도소 뒤) 작업장 폭발사고 발생. 93명 사상(死傷).

3월 15일

• 철도청, 망우저탄장 건설 기초공사 착수. 이문동에 7만 8,500평 확보, 1965년 준공 예정.

4월 1일

• 서울 등 대도시 교통난 해소를 위해 시차제(時差制) 실시. 학생은 오전 8시까지 등교, 공무원은 오전 9시까지 출근.

4월 2일

• 정부, 각 시 · 도의 문화재 보존하는 민속문화재박물관(경복궁 안) 건립 결정.

4월 3일

• 국립서울맹아학교 학생들, 횡령 혐의 교장 재취임 반대하는 동맹 휴교.

4월 11일

• 문교부, 학제(學制) 공청회 개최. 대부분 현행 6 · 3 · 3 · 4제 유지, 중 · 고등학교 분리, 복선형 학제 실시 주장.

4월 12일

• 마포아파트 2차분 192가구 건설공사 착공. 11월 20일 준공 예정.

4월 19일

• 대한항공사, 여의도공항 내 각 부서를 김포공항으로 이동.

4월 20일

• 대한항공사, 김포공항에서 국내 · 국제선 이착륙 개시.

4월 22일

• 문교부교육제도심의회, 1965년도 입시결정사항 발표. 전과목 시험, 학교장 재량 출제 인정, 동일 계열 진학의 우선권 보장 등.

4월 23일

• 서울시시청각교육원, 교육연구소에서 분리, 신설됨.

4월 24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공동학구제(公同學區制) 결정. 덕수 · 서대문 · 수송 · 종로국민학교의 학구(學區)를 공동학구제로 결정, 중간 편입은 재적학생 수가 적은 학교에 편입.

5월 2일

• 중구 도동 4층 빌딩 붕괴사고 발생. 14명 사망, 9명 중상, 19명 경상자 발생.

5월 5일

• 서울운동장 수영장 개장.

5월 9일

• RSB 라디오서울 개국. 위치 : 태평로1가 동양화재보험 건물, 호출부호 : HLKC, 출력 20KW.

5월 16일

• 서울시내 중 · 고등학교, 기성회비 부활. 매달 100원씩 연간 1천 원.

• 남대문~중앙청 녹지대에 세운 애국선현 37위 조상(彫像) 제막식.

6월 4일

• 망우리 건널목에서 열차와 버스 충돌사고 발생. 1명 사망, 59명 중경상.

6월 5일

• 전국 대학 학생들의 시위 확산으로 방학 조치.

6월 7일

• 계엄사령부, 통행금지 시간을 오후 11시에서 다음날 오전 4시까지로 단축.

6월 8일

• 계엄령으로 휴교했던 서울시내 국민학교 개교.

6월 15일

• 서울시내 중학교 계엄령으로 휴교 12일만에 개교.

6월 22일

• 계엄령으로 휴교했던 서울시내 고등학교 개교.

• 서울시, 사직공원 · 장충단공원 · 파고다공원 · 묵정공원 등 8월 말까지 개장계획 마련.

6월 25일

• 제2한강교(현 양화대교) 인도변에 국제연합자유수호참전기념탑 제막식. V자형, 높이 53m.

• 조선일보사, 납북인사 송환을 위한 100만인 서명운동 전개.

6월 27일

• 김원규(金元圭) 서울시교육감, 학구제 위반한 국민학교 6학년 학생의 전 · 입학 철저 단속 지시.

6월 30일

• 서울지방검찰청, 하루 17시간씩 여차장 혹사한 혐의로 서울시내 21개 버스회사 차주 입건.

7월 14일

• 서대문구 갈현동 국민주택단지 착공. 11월 25일 준공 예정.

7월 25일

• 서울시, 시립국악관현악단 창립.

7월 30일

• 한국노동총연합회, 신문회관에서 <노동법> 개정 반대 궐기대회.

7월 31일

• 익사사고 방지를 위해 광장 · 뚝섬 · 한강 · 마포지구에 민경수상순찰대(民警水上巡察隊) 조직.

8월 3일

• 서울시, 서울시립어린이합창단 발족. 9~14세 어린이 73명으로 구성.

8월 9일

• 폭우로 서울시내 1,842가구 5,486명의 이재민 발생, 가옥 9동 붕괴.

8월 14일

• 문교부, 정치활동 학생에 대한 벌칙 강화. 전국 대학 학칙 개정.

8월 17일

• 전국 대학 75일만에 개교.

• 동대문구 답십리동 시내버스 여차장합숙소에서 장티푸스환자 7명 발생.

8월 22일

• 문교부, 1966년부터 대학입시자격 국가고사제 부활 결정.

8월 27일

• 보건사회부, 일본에 콜레라 발생함에 따라 전국을 콜레라 경계지구로 선포.

9월 1일

• 전기요금 평균 50% 인상.

9월 4일

• 서울시내 150개 국민학교장, 서울시교육위원회에 중학입시 공동출제 건의.

9월 14일

• 서울 일원 집중 폭우로 피해 속출. 14일 현재 사망 187명, 실종 225명, 부상 269명, 이재민 2만 8,219명 발생, 피해액 5,293만 4천 원.

• 서울시, 긴급수해복구대책본부 설치하고 피해복구비 2,700만 원 긴급 방출. 성동구 신양동 · 한남동 등에 천막 35개 설치, 수재민 임시 수용.

9월 16일

• 교육제도심의회, 중 · 고등학교 통합원칙 아래 6-5-5제를 기간으로 하는 복선형학제(複線型學制) 개편안 채택.

9월 25일

• 남창동 여성회관에서 전국여성대회 개최.

9월 28일

• 동대문구 숭인동 철거주민들, 강제 철거에 대항하여 경찰과 투석전. 5~6명 부상.

9월 30일

• 선명회 아동병원(등촌동) 개원. 공사비 40만 달러, 3층 건물, 침대 100개 완비.

이달

• 정부, 대도시의 관공서 · 공장 · 교육시설 억제를 위한 <대도시 인구집중 방지책> 발표.

10월 2일

• 수유리에서 서독 파견 광부 제1진 441명의 환송식 거행.

10월 6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1965년도 중 · 고등학교 입시에서 동점자의 당락 결정은 해당 학교장에 일임 결정.

10월 8일

• 서울시경찰국, 남대문지하도 · 남산어린이놀이터 등지의 노숙자 일제조사 결과 발표. 전체 786명 적발, 20세 미만 210명 차지.

10월 9일

• 일본 도쿄(東京)에서 북한선수 신금단(辛金丹)과 한국의 아버지 신문준(辛文濬)이 14년만에 상봉.

10월 10일

• 문교부, 중 · 고등학교 검인정교과서 개편, 1966년부터 실시 결정.

10월 16일

• 서울시, 시내 무허가건물정리 5개년계획 수립. 무허가건물의 등록제 실시, 무허가건물에 대한 전기 · 수도시설 일체 불허, 구역책임제 단속 실시 등.

10월 19일

• 시청 앞 광장에서 독립투사 이강(李剛)의 사회장 거행.

11월 1일

• 서울시, 쓰레기청소 민간기업에 대행.

11월 5일

• 서울시경찰국, 무허가건물 발생할 경우 관할 동 · 구청 · 파출소 직원과 동장 · 파출소장 등에 대한 행정책임 조처.

11월 23일

• 서독파견 광부 제2진 132명, 서독 향해 출발.

12월 4일

• 교통부 · 서울시, 교통난 해소 위한 대책 합의. 전세차량 70대의 중간 배치, 증차된 500대 운행, 1일 평균 30대의 행정처분차량 해제 운행.

12월 7일

• 정부, 중요무형문화재 지정. 제1호 종묘제례악, 제3호 꼭두각시놀음.

• 동양텔레비전방송국, 신세계백화점 사옥에서 개국. 호출부호 HLCX, 채널 7, 출력 10kw.

12월 11일

• 서울시교육위원회, 이의 제기된 전기중학교 입학시험 출제 문제를 검토하기 위하여 전문가로 검토위원 위촉.

12월 17일

• 건설부, 성동구 장안동에 청계천하수처리장 건설계획 수립. 공사비 : 미국 국제개발처(AID)차관 350만 달러 내자 8억 2천만 원, 공사기간 : 5년 예정.

• 서울가정법원, 고백하지 않은 결혼 전의 부정도 이혼사유로 판시(判示).

12월 21일

• 서울시, 영세근로 여성들의 위한 실비 합숙소인 양지회관 기공식.

12월 25일

• 최초의 FM방송인 ‘서울FM방송’ 개국.

12월 28일

• 서울시내 58개 고등학교 교장들, 연합출제 결정.

연관목차

1401/1457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