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광무 10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대한제국 광무 10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1월 1일

• 매동관립소학교(梅洞官立小學校)를 매동보통학교로 개칭함.

1월 6일

• 일진회(一進會), 기관지 를 발간함.

• 내부대신 이지용(李址鎔), 협판(協辦) 이하의 모든 관리에게 삭발할 것을 지시함.

이달

• 한성우편국 감독과를 발족함.

• 경부철도주식회사, 영등포~남대문간 철도 선로 건설공사를 준공함.

• 최동식(崔東植)이 한성부의 허가를 얻어 반송방(盤松坊) 근처에 목축장(牧畜場)을 설치하여 양 · 돼지 · 닭 3종류를 사육하기 시작함.

2월 17일

• 최초의 야구경기가 훈련원(訓鍊院) 마동산(馬東山)에서 황성기독청년회원과 덕어학교(德語學校) 간에 개최됨.

이달

• 중순경에 성내(城內)에서 걸인 등 동사자(凍死者)가 57~58명에 달함.

3월 11일

• 괴동(槐洞)의 김기정(金基正) 집에서 30여 명이 대한체육구락부 발기회를 개최함.

3월 19일

• 3월 16일자 검열에서 지적된 문장을 그대로 두었다는 이유로 이 3일간 정간됨.

이달

• 용산전환국(龍山典圜局)의 인쇄국 공장에 불이 나서 모두 타버림.

4월 2일

• 오규신(吳圭信) · 유광렬(柳光烈) · 김원배(金元培) 등이 한어과 · 산술과 야학을 설립함. 중동중학교 전신.

• 장지연(張志淵) · 윤효정(尹孝定) · 이종일(李鍾一) 등이 대한자강회(大韓自强會)를 조직함.

4월 3일

• 서울~신의주간 경의선(京義線) 철도 전체를 개통함.

4월 6일

• 지진이 발생함.

4월 7일

• 독립관 앞에서 일어학교(日語學校)와 영어학교(英語學校) 대항 야구경기를 개최함.

4월 20일

• 일본인 삽택영일(澁澤榮一) · 대창가팔랑(大倉嘉八郞) 등이 한성에 수력전기회사(水力電氣會社)를 설립하고자 한국정부에 청원함.

• 이화동에 설립된 공업강습소 개소식을 거행함.

4월 21일

• 진명여학교(進明女學校) 설립.

4월 22일

• 훈련원(訓鍊院)에서 전 육군참위 권원식(權元植)과 일본인 길천(吉川)이 최초로 자전거경기회를 개최함.

4월 24일

• 박동(礴洞)에 있는 육군법원장 엄주익(嚴柱益) 집에 귀족여학교(貴族女學校)를 설립하기로 함.

이달

• 광제원(廣濟院), 처음으로 창녀(娼女)를 검진함.

5월 1일

• 휘문의숙(徽文義塾) 설립.

5월 8일

• 원흥사(元興寺), 승려 교육을 위한 명진학교(明進學校)를 설립함.

5월 11일

• 이인직(李人稙)의 신문 발간 인가.

5월 22일

• 명신여학교(明新女學校) 설립. 초대 교장 : 이정숙(李貞淑).

6월 7일

• 회동(會洞)에서 만세보사(萬歲報社) 개업식을 거행함. 사장 : 오세창(吳世昌).

6월 10일

• 신문(新門) 밖 냉정동(冷井洞)에서 양규의숙(養閨義塾)을 개교함. 학생 : 20여 명.

• 동대문 밖 개운사(開運寺)에서 대한체육구락부를 발족함.

6월 14일

• 명동(明洞)의 전 경성학당(京城學堂)을 관립 한성제2일어학교(漢城第2日語學校)로 개칭함.

6월 17일

• 천도교, 일간지 를 창간함.

6월 18일

• 정부, 한성~평양간 수력전기사업(水力電氣事業)을 일본인 시부사와(澁澤榮一)에게 허가하기로 결정함.

6월 26일

• 협률사(協律社), 단오 행사를 개최함.

이달

• 영국인 성공회 주교 터너(A.B.Turner, 端雅德), 자기 집에 학교를 설립하고 한국인 학생들에게 한문을 가르침.

• 새문안교회에서 한강교회를 개척함.

7월 1일

• 광화문우편국을 설치함.

7월 22일

• 사립 보성학교 한문야학과(漢文夜學科) 제1회 졸업식을 거행함.

이달

• 통감부, 국가재정으로 경부선 철도를 매수, 직속시킴.

• 학부(學部)에서 한성 내 각 관립 소학교에 일본인 교사 1명씩을 배치하는 계획에 따라 예정 인원 10여 명 중 4명이 서울에 도착함.

8월 1일

• 삼각산 · 목멱산 · 한강에 첫 번째 기우제를 지냄.

• 콜브란 · 보스윅회사, 뚝도수원지 제1정수장 건축 착공. 총 생산능력 1만 2,500m3. 1908년 8월 준공.

8월 4일

• 월식(月食)이 있었음.

• 용산강과 저자도(楮子島)에서 두 번째 기우제를 지냄.

8월 7일

• 우사단(雩祀壇)과 산천단(山川壇)에서 세 번째 기우제를 지냄.

8월 10일

• 사직단과 북쪽 교외에서 네 번째 기우제를 지냄.

8월 13일

• 종묘에서 다섯 번째 기우제를 지냄.

8월 16일

• 사직단에서 특별 기우제를 지냄.

이달

• 일본 승려 보도(寶道)가 동대문 밖에 원흥사(元興寺)를 짓고 13도(道)의 절을 관할함.

9월 1일

• 학부(學部), 직할 보통학교를 9개로 정함.

• 관립 한성사범학교 부속 소학교를 관립 교동소학교(校洞小學校)로 개칭함.

• 관립 한성중학교를 관립 한성고등학교로 개칭함.

• 통감부, 기관지 창간호를 발간함. 한글판과 일본어판으로 구성.

• 용산부인회양잠소(龍山婦人會養蠶所)에서 졸업식을 거행함. 졸업생 : 김영환(金瑛煥) 등 18명.

9월 3일

• 서대문 밖 광흥학교(光興學校)의 교장 정교(鄭喬)와 교감 이택응(李澤應)이 한성공립소학교(漢城公立小學校)에 영어야학교(英語夜學校)를 설립함.

9월 18일

• 한성부 및 각 관찰부(觀察府)에 있는 공립 보통학교 명칭을 공포함. 한성부 소재 공립 보통학교 명칭 : 공립 한성보통학교.

9월 21일

• 동서(東署)에 거주하는 목수 정태진(鄭泰鎭) 등에게 대한대공흥업장(大韓大工興業場) 설치를 인가함.

9월 28일

• 광제원(廣濟院), 원 내에 시험장과 수술장 설립공사를 착수함.

9월 30일

• 서서(西署) 만리현(萬里峴) 등에서 주인식(朱寅植) 등이 균명의숙(均明義塾)을 설치, 야학으로 국어 · 영어 · 일어를 가르침.

이달

• 서울에 교동(校洞) · 재동(齋洞) · 매동(梅洞) 등 8개 공립 보통학교를 설립함.

• 용산전환국(龍山典圜局) 인쇄공장을 복구함.

10월 1일

• 철도공장 용산공장반(龍山工場班)을 용산공장으로 개칭함.

10월 4일

• 원동(苑洞) 소재 여자교육회에서 오서(五署) 내에 교육연구를 위한 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함.

10월 19일

• 프랑스인 안세화(安世華, F.Demange) 신부가 주간 <경향신문>을 창간함.

이달

• 관립 농상공학교의 상과를 선린상업학교로 변경함.

• 이기홍(李起弘) 등이 예선회사(曳船會社)를 설립하고, 용산강을 중심으로 상 · 하류에 기선(汽船)을 만들어 화물운반 및 여객수송을 담당함.

11월 18일

• 창덕궁 영화당(暎花堂) 연못에서 효정왕후(孝定王后) 옥보(玉寶) 2개가 발견되어 종묘에 봉안하도록 함.

이달

• 용산역사(龍山驛舍) 개축을 준공함. 목조 2층, 887평.

12월 1일

• 경성이사청, 통행자 우측 통행 원칙을 실시함.

12월 2일

• 한성 각 서(署)에서 각 동(洞)의 통(統)마다에 장명등(長明燈) 1개씩을, 비용을 지불하고 설치하도록 지시함.

12월 14일

• 고종, 명주전(明紬廛)의 화재로 입은 피해를 구휼하도록 함.

12월 28일

• 전동(典洞) 관립 한성한어학교(漢城漢語學校)에서 사립 중동학교(中東學校) 개교식을 거행함.

이해

• 하란사(河蘭史), 한국여성 최초로 미국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귀국함.

• 약현성당 내에 약명남학교(藥明男學校) 교사를 신축하고, 여학교를 다시 개교함.

• 연동소학교(蓮洞小學校)를 연동남 · 여소학교로 분리함.

• 조선 말기에 전환국(典圜局) 기계시험소가 있던 자리에 공업전습소(工業傳習所)를 발족함.

• 서울~목포간 직통전화 회선을 개설함.

연관목차

1332/1457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사회 문화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
신미년(辛未年), 1931년
병자년(丙子年), 1936년
신사년(辛巳年), 1941년
병술년(丙戌年), 194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