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오년(庚午年), 1990년

경오년(庚午年), 1990년

1월 1일

• 북한 김일성(金日成) 주석, 남 · 북한 최고위급 인사 참여하는 남북왕래협상 제의.

1월 3일

• 노태우 대통령, 제5공화국 비리청산 종결을 선언하는 특별담화 발표.

• 정부, 북한에 3통(통신 · 통행 · 통상) 협정 체결 제안 방침 마련.

• 정부, 지방자치제도 실시에 대비하여 중앙부처 관할 234개 업무를 지방 · 민간에 대폭 위임 결정.

1월 4일

• 정부, 신설된 문화부 · 환경처 · 공보처의 현판식 개최.

1월 7일

• 서울시, 강남 · 강북의 균형 발전을 위한 강남 · 북 균형개발계획 마련.

1월 10일

• 노태우 대통령, 기자회견에서 남북정상회담 개최 촉구, 금강산 공동개발 제의, 토지공개념 · 금융실명제 추진, 세제개혁 등 언급.

1월 13일

• 정부, 토지공개념 도입 관련 <택지소유상한에 관한 법률시행안> 등 3개 법률 시행안 마련 · 발표.

1월 15일

• 국세청, <조세감면규제법>을 개정하여 1월 1일부터 소급 적용. 농지(農地) 증여 · 양도세 면제신청 기한 폐지.

1월 18일

• 동대문구, 동답국민학교~답십리극장간 6차선 도로 개통. 공사비 54억 3천만 원.

1월 23일

• 서울시, 사당천복개공사(1차) 준공. 폭 16.5m~18m, 길이 840m, 사업비 7억 6,400만 원.

2월 9일

• 민주자유당(民主自由黨) 창당. 공동대표 노태우(盧泰愚) · 김영삼(金泳三) · 김종필(金鍾泌), 의석 216석.

2월 10일

• 서울시, 1980년 해직된 6급 이하 직원 86명 복직, 일선 부서 배치.

2월 20일

• 서울시, 서울시립체육시설관리사업소 신설 · 운영.

2월 28일

• 서울시, 서강대로 건설공사(1차) 준공. 사업비 71억 원, 1988년 12월 착공.

3월 1일

• 정부, 일본정부와 재일교포 3세에게 영주권 자동 부여 합의.

3월 3일

• 국방부, 북한의 남침용 제4땅굴(강원도 양구 동북방 26km 지점) 발견 발표.

3월 17일

• 노태우 대통령, 15개 부처 장관 경질하는 대폭 개각 단행. 부총리 이승윤(李承潤), 내무부장관 안응모(安應模) 등.

3월 21일

• 서울시도시개발공사, 정동에서 성수동1가(옛 뚝섬경마장 건물)로 이전.

3월 22일

• 정부, 체코슬로바키아와 대사급 외교관계 수립.

3월 23일

• 서울시, 제2대학로(연세대학교~이화여자대학교~신촌로터리) 조성계획 발표. 공사비 4억 7천만 원.

3월 25일

• 정부, 소련 정부와 대사급 공관장 교환과 대표부 설치 합의.

4월 1일

• 정부, 호적등초본 발급 등 4개 업무를 구청에서 동사무소로 이관 시행. 호적등초본 · 신원증명 · 건축물관리대장등본 · 토지대장등본 발급.

4월 11일

• 서울시, 지하철 5호선 노선에 양평 · 금호역 추가 건설 결정.

4월 12일

• 노태우 대통령, 대한항공(KAL) 858기 폭파범 김현희(金賢姬)에 대한 특별사면 단행.

4월 20일

• 정부, 남북교류협력 추진대책 발표. 서해 대륙붕 남북 공동개발, 직교역 확대.

4월 30일

• 외무부, 일본과 재일교포 3세 지문날인(指紋捺印) 폐지 등 6개 항 합의.

5월 4일

• 정부, <도시재개발법 시행령> 개정. 전면 철거식 재개발 지양, 건물주 자체 개량 허용.

5월 7일

• 서울시, 노원구 청사(상계동) 신축공사 기공식. 사업비 76억 2천만 원, 대지 1만 1,788m2, 지하 1층 · 지상 8층.

5월 9일

• 민주자유당, 첫 전당대회. 총재 노태우(盧泰愚), 대표 김영삼(金泳三), 최고위원 김종필(金鍾泌) · 박태준(朴泰俊) 선출.

5월 11일

• 정부, 청와대에 대통령특명사정반을 설치하고 공직자 · 지도층 비리 내사.

5월 14일

• 서울시, 논현로(역삼동~남부순환도로) 개통. 길이 686m, 폭 30m, 사업비 63억 원.

5월 16일

• 서울시, 시청 별관에서 서울시 의원 친목단체인 서울시의정회(서울市議政會) 현판식 거행. 회장 김재광(金在光).

5월 24일

•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도쿄에서 일본수상과 한일정상회담.

6월 5일

• 노태우 대통령,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고르바쵸프 소련 대통령과 한 · 소정상회담. 양국간 수교원칙 합의.

6월 6일

• 노태우 대통령, 워싱턴에서 부시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

6월 15일

• 정부, 경부고속전철 노선 확정. 서울~천안~대전~대구~경주~부산.

6월 21일

• 민중당(民衆黨), 명동 YMCA강당에서 창당 발기인대회 개최.

6월 27일

• 서울시, 지하철 5호선 강서구간(방화동~여의도) 건설공사 기공식. 사업비 8,260억 원.

6월 29일

• 서울시, 신정교(목동~문래동5가) 건설공사 준공. 사업비 65억 원.

7월 3일

• 정부,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남 · 북고위급회담 제7차 예비접촉. 8월에 서울에서 남 · 북총리회담 개최 합의.

7월 16일

• 서울시, 노들교(여의도~영등포동) 개통.

7월 18일

• 윤보선(尹潽善) 전 대통령 사망.

7월 19일

• 대법원, 인명용(人名用) 한자 제한 등 <호적법> 개정안 확정.

7월 26일

• 정부, 북한과 인터컨티넨탈호텔(삼성동)에서 범민족대회 예비회담 개최.

8월 4일

• 서울시, 석촌지하차도 개통. 길이 490m, 폭 17m, 공사비 83억 7천만 원.

• 서울시, 각 구별로 방북희망자 신청 접수.

8월 17일

• 서울시, <지방세법 시행규칙> 개정. 과납(過納) · 오납(誤納) 지방세를 본인 실명통장에 계좌이체로 환부.

8월 22일

• 성북구, 석계역~석관교간 연결도로 개설공사 완공 · 개통.

8월 23일

• 정부, 경부고속도로 서울~대전 구간을 6~8차선으로 확장 결정. 예산 5,500억 원.

8월 24일

• 서울시, 지하철 8호선 16개 역사의 위치 선정.

8월 30일

• 정부, <정부조직법> 개정안 확정. 문교부→교육부, 체육부→체육청소년부 등 명칭 개칭.

9월 1일

• 서울시, 등촌동~올림픽대로간 연결 도로공사 준공 · 개통. 사업비 56억 3천만 원.

• 서울시, 남산 제2호터널의 통행료 징수 폐지.

9월 17일

• 정부, 소련과 무역공동위원회 설치 합의.

9월 28일

• 서울시, 북한산 주변 재개발지구인 미아1동 · 미아5-2지구 17만 8천 평에 대해 고도제한 해제.

10월 1일

• 정부, 소련과 수교. 공동성명 발표.

10월 15일

• 서울시, 여의교(여의도~대방동) 확장공사 준공 · 개통. 사업비 51억 2천만 원.

10월 16일

• 평양에서 남북총리회담 개최.

10월 18일

• 강영훈(姜英勳) 국무총리, 북한의 김일성(金日成) 주석과 면담.

10월 19일

• 고건(高建) 시장, 시라크 파리시장과 서울~파리간 우호도시 관계 수립 합의.

10월 20일

• 정부, 중국 정부와 무역대표부 설치 합의.

10월 30일

• 정부, 주소(駐蘇) 대사관 개설. 초대 대사에 공노명(孔魯明) 임명.

11월 13일

• 정부, 특정기업의 독점 예방을 위해 ‘시장분할명령제’ 추진.

• 서울시, 시민예산위원회 발족. 변호사 · 교수 · 시민 등 36명으로 구성, 서울시 예산 심의.

11월 23일

• 국무회의, <정부조직법> 개정안 의결. 기상대→기상청 승격, 경찰청 신설, 통일원장관을 부총리로 격상 등.

• 서울시, 도시고속도로 내부순환선(성산대교~사천교~홍은동) 건설공사 착공. 사업비 905억 원, 1993년 10월 완공 예정.

11월 30일

• 서울시, 신림동~시흥동간 도로개설공사 준공. 길이 3,040m, 폭 20m, 사업비 124억 2천만 원.

12월 12일

• 서울 신라호텔에서 제3차 남북총리회담 개최.

12월 14일

•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소련 모스크바에서 고르바쵸프 소련대통령과 정상회담. 모스크바선언 공동 발표.

12월 17일

• 서울시, 탄천1교(대치동~삼전동) 개통. 길이 589m, 폭 15.7m, 사업비 84억 원.

12월 26일

• 대법원, <호적법 시행규칙> 확정 발표. 1991년 4월부터 2,731개 한자 내에서 출생 · 개명(改名) 신고.

12월 28일

• 서울시, 박세직(朴世直) 시장 취임.

12월 29일

• 서울시, 지하철 7호선 강북구간 건설공사 기공식 개최.

연관목차

1305/1457
신묘년(辛卯年), 1951년
병신년(丙申年), 1956년
신축년(辛丑年), 1961년
병오년(丙午年), 1966년
신해년(辛亥年), 1971년
병진년(丙辰年), 1976년
신유년(辛酉年), 1981년
병인년(丙寅年), 1986년
신미년(辛未年), 1991년
병자년(丙子年), 1996년
경진년(庚辰年), 2000년
서울육백년사 연표 현대 - 사회 문화
정유년(丁酉年), 1897년
신축년(辛丑年), 1901년
병오년(丙午年), 1906년
신해년(辛亥年), 1911년
병진년(丙辰年), 1916년
신유년(辛酉年), 1921년
병인년(丙寅年), 192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