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류왕

침류왕

분류 문학 > 인물 > 왕

기본정보

백제 제15대 왕
생몰년: ?-385
재위기간: 384-385

일반정보

백제의 제15대 왕으로 제14대 근구수왕(近仇首王)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아이부인(阿?夫人)이다. 근구수왕의 뒤를 이어 384년부터 385년까지 재위하였다. 재위 2년에 죽자 진사왕(辰斯王)이 왕위에 올랐다. 즉위년(384)에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전문정보

백제의 제15대 왕으로 제14대 근구수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아이부인이다. 침류왕의 단명의 원인이 무엇인지 분명하지 않으나, 그의 사후 태자 아신(阿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동생인 진사(辰斯)가 왕위에 오르고 있는 사실을 불교의 공인과정에서 빚어진 찬반 양 세력의 갈등 때문이라고 보기도 한다.(노중국, 1988)

『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침류왕 즉위년조에 “호승(胡僧) 마라난타(摩羅難?)가 진나라에서 왔다. 왕이 그를 맞이하여 궁궐 안으로 모셔 예우하고 공경하니, 불교가 이로부터 시작되었다(胡僧摩羅難?自晉至 王迎之 致宮內禮敬焉 佛法始於比)”고 하였다. 『삼국유사』권3 흥법(興法)3 난타벽제조(難?闢濟條)에 “백제본기에 이르기를, 제15대 침류왕 즉위년에 호승 마라난타가 진나라에서 오자 궁중에 맞아들여 예경하고 이듬해(385)에 새 도읍 한산주(漢山州)에 절을 짓고 10인을 도승하였으니 이것이 백제 불법의 처음이며, 또 아신왕 즉위년에 교서를 내려 불법을 믿어 복을 구하라고 하였다.(百濟本記云 第十五 沈流王卽位甲申 胡僧摩羅難?至晉 迎置宮中禮敬 明年乙酉 創佛寺於新都漢山州 度僧十人 此百濟佛法之始 又阿莘王卽位 大元十七年二月 下敎崇信佛法求福)”고 하여 침류왕 즉위년(384)에 불교가 전래되었다고 한다.

백제의 불교전래시기와 관련하여, 『일본서기(日本書紀)』추고기(推古紀) 32년조를 토대로 백제에 불교가 처음 전해진 시기를 452년설 또는 524년설을 주장하기도 하나(末松保和, 1954; 田村圓澄, 1977; 이홍직, 1968; 鎌田茂雄, 1980) 백제와 동진 사이의 교류를 참작하고, 384년설을 부정할 만한 적극적인 자료가 없는 가운데 침류왕대 전래설은 여전히 타당하게 받아들여지고 있다.(平野邦雄, 1961; 中井眞孝, 1979; 鎌田茂雄, 1987, 신종원, 1991; 이기백, 1996) 한편, 중국 강남(江南)이나 동남아시아 또는 인도에서 직접 바닷길을 따라 3세기경에는 불교가 전해졌을 것으로 추청하여, 더욱 이른 시기에 불교가 백제에 전해졌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신동하, 1989; 목정배, 1989)

1980년대에는 마라난타가 백제에 와서 세운 절이 전라남도 영암군 불갑사(佛甲寺)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불갑사, 1988; 사찰문화연구원, 1992; 동국대학교, 1998) 그러나 그 근거가 불갑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이 아니며, 법당을 수리할 때 “정원원년(신라 원성왕 원년 785)개조(貞元元年改造)”라는 묵서명(墨書銘)과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에 따르면 불갑사의 창건을 신라시대라고 하고 있어 마라난타의 불갑사 창건설은 성립하기 어렵다.(김복순, 2002; 조경철, 2005)

한편,『삼국사기』권24 백제본기2 침류왕 즉위년조에는 침류왕의 어머니가 아이부인(阿?夫人)으로 나온다. 이에 대하여, 신라본기와 달리 모계(母系)의 표시가 없는 백제본기에서 침류왕의 어머니가 기록되어 있는 것은 예외적인 사례이다. 아이(阿?)는 여성을 표시하는 고어(古語)로 범어(梵語)에서 여승(女僧)을 아니(阿尼)라고 부른다. 이 범어의 차용(借用)으로 볼 경우 침류왕대의 불교전래와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이병도, 1977)

참고문헌

末松保和, 1954, 『新羅史の諸問題』,東洋文庫.
平野邦雄, 1961, 「古新羅の對外交涉に關する覺書」『九州大學硏究報告』9.
이홍직, 1968, 「일본에 傳授된 백제문화」『한국사상』9 .
田村圓澄, 1977, 「百濟佛敎傳來考」『白初洪淳昶博士還曆紀念史學論叢』, 대구사학회.
中井眞孝, 1979, 「佛敎の傳來と朝鮮三國」『東洋學硏究』18-2.
鎌田茂雄, 1980, 「朝鮮三國の佛敎」『日本古代史講座』4.
鎌田茂雄, 1987, 『朝鮮佛敎史』, 東京大學.
노중국, 1988, 『百濟史硏究』, 일조각.
신동하, 1989, 「삼국시대 불교사 연구의 현황과 반성」『同大論叢』19, 동덕여자대학교.
불갑사, 1988, 「백제불교의 초전법륜성지 영광 불갑사」『불갑사의 연혁』.
목정배, 1989, 『三國時代의 佛敎』, 동국대학교출판부.
신종원, 1991, 「백제 불교미술의 사상적 배경」『백제의 조각과 미술』, 공주대학교.
사찰문화연구원, 1992,『전통사찰총서7-광주 ? 전남의 전통사찰Ⅱ』.
이기백, 1996, 『韓國古代政治社會史硏究』, 일조각.
동국대학교, 1998, 『사찰조경연구』
김복순, 2002, 『한국고대불교사연구』,민족사.
조경철, 2005, 「백제 한성시기 영광불법초전설의 비판적 검토」『향토서울』

관련원문 및 해석

第十五 枕流王 [近仇首子 甲申立]
제15 침류왕 [근구수의 아들이다. 갑신년에 즉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