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지왕

좌지왕

분류 문학 > 인물 > 왕

기본정보

가락국(금관가야) 제6대 왕
생몰년 : ?~421
재위기간 : 407~421

일반정보

가락국(금관가야)의 제6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407∼421이다. 왕비는 도령대아간(道寧大阿干)의 딸 복수(福壽)이며, 제7대 취희왕(吹希王)을 낳았다.

전문정보

가락국(금관가야)의 제6대 왕으로, 재위기간은 407∼421이다. 왕비는 도령대아간(道寧大阿干)의 딸 복수(福壽)이며, 제7대 취희왕(吹希王)을 낳았다.

『삼국유사』권2 기이2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좌지왕(坐知王)은 김질(金叱)이라고도 하며, 의희(義熙) 3년(407)에 즉위하였다.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여자의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국내가 시끄러웠다. 계림(鷄林)이 꾀를 써서 치려 하므로, 박원도(朴元道)라는 신하가 간했다. 유초(遺草)를 보고 또 보아도 역시 털이 나는 법인데 하물며 사람에 있어서이겠습니까. 하늘이 망하고 땅이 꺼지면 사람이 어느 곳에서 보전하오리까. 또 점쟁이가 점을 쳐서 해괘(解卦)를 얻었는데 그 괘사(卦辭)에 ‘소인(小人)을 없애면 군자(君子)가 와서 도울 것이다’고 했으니 왕께선 역(易)의 괘를 살피시옵소서. 이에 왕은 사과하여 옳다고 하고 용녀를 내쳐서 하산도(荷山島)로 귀양보내고, 정치를 고쳐 행하여 길이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렸다. 치세는 15년으로, 영초(永初) 2년 신유(辛酉 421) 4월 12일에 죽었다. 왕비는 도령대아간(道寧大阿干)의 딸 복수(福壽)로, 아들 취희(吹希)를 낳았다.”고 기록되었다.

좌지왕(坐知王) 때에는 왕이 용녀(傭女)를 취하고 그 일족만을 임용하는 등 권력을 전횡하였다는 전승이 보여, 가락국의 정치권력상 중대한 변화가 있었음을 시사한다. 이는 기존의 왕비를 내는 집단이 반독립적인 성격에서 완전히 종속적인 것으로 변하였던 사실을 반영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이영식, 1994)

또한, 이름 모를 용녀(傭女) 집단의 등장과 추방 등의 사실에서 허황후 계열의 영향력 퇴조 속에 왕비 간택 혹은 이를 둘러싼 세력 다툼과 관련하여 가락국 내부에 어떤 분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기에 신라가 꾀를 써서 치려 했다는 것도 이러한 사정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백승충, 2001)

용녀(傭女) 집단의 성격에 대해서는,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가진 허황후 계열과 대비되는 존재로 상정하여, 이 지역 전통신앙을 배경으로 한 토착세력(9간의 후손?)으로 보기도 한다.(백승충, 2001)

용녀(傭女)에게 장가들어 그 무리로 벼슬을 시킨 이후 나라가 요란하자 박원도(朴元道) 등 신하들의 요구로 제거되고 있는데, 이후 좌지왕은 도령대아간(道寧大阿干)의 딸 복수(福壽)를 정식 왕비로 받아들이고 있다.

참고문헌

이영식, 1994, 「九干社會와 駕洛國의 成立」『伽倻文化』7.
백승충, 2001, 「가야 건국신화의 재조명」『한국 고대사 속의 가야』, 혜안.

관련원문 및 해석

(『삼국유사』 권1 왕력)
第六 坐知王 [一云金吐王 父伊品 母<貞>信 丁未立 治十四年]
제6 좌지왕 [혹은 김토왕(金吐王)이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이품이고, 어머니는 정신(貞信)이다. 정미년에 즉위하여, 14년 다스렸다.]

第七 吹希王 [一云金喜 父坐知王 母福(壽) 辛酉立 治三十年]
제7 취희왕 [혹은 김희(金喜)라고도 한다. 아버지는 좌지왕이고, 어머니는 복수(福壽)이다. 신유년에 즉위하여, 30년 다스렸다.]

(『삼국유사』 권2 기이2 가락국기)
駕洛國記[文廟朝大康年間 金官知州事文人所撰也 今略而載之]
… 伊尸品王 金氏 永和二年卽位 治六十二年 義熙三年丁未四月十日崩 王妃司農卿克忠女貞信 生王子坐知 坐知王 一云金叱 義熙三年卽位 娶傭女以女黨爲官 國內擾亂 ?林國以謀欲伐 有一臣名朴元道 諫曰 遺草閱閱 亦含羽 況乃人乎 天亡地陷 人保何基 又卜士筮得解卦 其辭曰 解而<拇> 朋至斯孚 君鑑易卦乎 王謝曰 可 ?傭女 貶於荷山島 改行其政 長御安民也 治十五年 永初二年辛酉五月十二日崩 王妃道寧大阿干女福壽 生子吹希
… 이시품왕(伊尸品王). 김씨이다. 영화(永和) 2년(346)에 즉위하여, 치세는 62년이며, 의희(義熙) 3년 정미(丁未, 407) 4월 10월에 죽었다. 왕비는 사농경(司農卿) 극충(克忠)의 딸인 정신(貞信)으로, 왕자인 좌지(坐知)를 낳았다. 좌지왕(坐知王). 김질(金叱)이라고도 한다. 의희 3년(407)에 즉위하였다. 용녀(傭女)를 부인으로 맞이하고, 그 무리를 관리로 등용하니 나라 안이 소란스러워졌다. 계림국(?林國)이 그 틈을 이용하여 치고자 하였다. 이때에 박원도(朴元道)라고 하는 신하가 간언하기를, “시든 풀도 많이 모이면 비를 머금는데, 하물며 사람의 경우야 더 말할 것이 있겠습니까?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꺼진다면, 사람이 어느 터전인들 보존할 수 있겠습니까? 이번에 복사(卜士)가 점을 쳐서 해괘(解卦)를 얻었는데, 그 말에 ‘엄지손가락을 풀면 벗들이 와서 성의껏 돕는다.’고 하였으니, 왕께서는 주역의 괘를 살피옵소서.”라고 하였다. 이에 왕이 사례하며 “옳다.”하고, 용녀를 내쳐서 하산도(荷山島)로 귀양을 보내었다. 그리고 정치를 고쳐서 행하여 길이 백성을 편안하게 다스렸다. 치세는 15년이며, 영초(永初) 2년 신유(辛酉, 421) 5월 12일에 죽었다. 왕비는 도령(道寧) 대아간(大阿干)의 딸인 복수(福壽)인데, 아들 취희(吹希)를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