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조왕

온조왕

분류 문학 > 인물 > 왕

기본정보

백제의 시조
생몰년: ?-기원후 28
재위년: 기원전 18-기원후 28

일반정보

백제의 시조로, 고구려의 시조 주몽(朱蒙)의 아들이다. 어머니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즉년조의 본문에는 졸본부여(卒本扶餘) 왕의 딸이라 하였고, 세주(細注)에는 월군녀(越郡女) 또는 졸본 사람 연타발(延陀勃)의 딸 소서노(召西奴)라고 하였다. 주몽의 맏아들이 북부여(北扶餘)에서 졸본부여로 내려와 태자가 되자, 형 비류(沸流)와 함께 남하하여 한강유역에 정착, 백제를 세웠다. 기원전 18년에 즉위하여 기원후 28년까지 재위하였다. 재위 45년 만에 죽자, 맏아들 다루(多婁)가 왕위를 이었다.

전문정보

온조는 현전하는 문헌에 백제의 시조로 전하는 인물 중 하나이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와 『삼국유사』, 『해동고승전』에는 백제의 시조로 온조 또는 비류를 들고 있으나, 『삼국사기』 지리지나 중국의 정사(正史), 『속일본기(續日本紀)』에서는 동명(東明), 우태(優台), 구태(仇台), 도모(都慕) 등을 백제의 시조로 언급하고 있다.

온조왕은 『삼국유사』 권2 기이2 남부여전백제(南扶餘前百濟)조에 따르면 “시조 온조는 동명의 셋째 아들로서 신체(身體)가 크고 심성이 효우(孝友)하였으며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하였다(始祖溫祚乃東明第三子 體洪大 性孝友 善騎射)”고 한다. 『해동고승전(海東高僧傳)』 권1 마라난타(摩羅難陀)조에는 “은조(恩祖)”로도 표기되었다.

온조의 출자와 건국과정에 대해서는 『삼국사기』 권23 백제본기1 온조왕 즉위년조와 『삼국유사』 권2 기이2 남부여전백제조에 전하고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온조의 아버지는 추모(鄒牟) 혹은 주몽(朱蒙)으로, 북부여(北扶餘)에서 졸본부여(卒本扶餘)로 와 부여왕의 둘째 딸과 결혼하였다. 얼마 후 부여왕이 죽고 주몽이 왕위를 이어 두 아들을 낳았는데, 첫째는 비류(沸流)이고 둘째는 온조(溫祚)였다. 그런데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았던 아들이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오간(烏干)·마려(馬黎) 등 십신(十臣)과 함께 남쪽으로 떠났고, 한산(漢山)에 이르러 하남위례성(河慰南禮城)에 도읍을 정하고 국호를 십제(十濟)라 하였다. 이때가 전한(前漢) 성제(成帝) 홍가(鴻嘉) 3년(기원전 18)이다. 비류는 십신의 의견을 따르지 않고 미추홀(彌鄒忽)에 가서 거주하였는데, 미추홀의 땅이 습하고 물이 짜서 살 수 없으므로 위례성으로 돌아와 죽었다. 이후 백성들이 날로 즐겁게 따르므로 국호를 백제(百濟)라고 하였다. 그 세계(世系)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부여에서 나왔기 때문에 부여(扶餘)로써 성씨를 삼았다.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의 기록을 거의 그대로 전재하였으나, 『삼국사기』에서 “부여(扶餘)로써 성씨를 삼았다”고 한 것을 “해(解)로써 성씨를 삼았다”라고 고쳐놓았다. 이에 따르면 백제의 왕성(王姓)은 부여씨가 아닌 해씨가 된다. 그러나 『삼국유사』 권2 기이2 남부여전백제조에 인용된 「소부리군전정주첩(所夫里郡田丁柱貼)」에는 백제왕의 성이 “扶(餘)氏”라고 하였으므로, 『삼국유사』에 의하면 부여의 왕성으로는 부여씨와 해씨가 있었던 셈이 된다.

한편 『삼국사기』 백제본기에는 앞서 소개한 내용에 덧붙여, 비류를 시조로 보는 또 하나의 전승을 세주(細註)로 기록해 놓았다. 이에 따르면, 백제의 시조는 비류왕으로 그 아버지는 북부여왕 해부루(解扶婁)의 서손(庶孫) 우태(優台)이며, 어머니는 졸본사람 연타발(延?勃)의 딸 소서노(召西奴)이다. 소서노는 처음 우태와 결혼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나, 우태가 죽은 뒤 주몽이 고구려를 세우는 것을 돕고 그와 결혼하였다. 이후 주몽이 부여에 있을 때 예씨(禮氏)에게서 난 아들 유류(孺留)가 내려와 태자가 되자, 비류는 동생 온조와 함께 어머니를 모시고 남쪽으로 내려와 패수(浿水)와 대수(帶水)를 건너 미추홀에 이르러 거주하였다.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실린 온조 시조설과 비류 시조설을 비교해 보면, 우선 둘 사이가 형제지간이면서 비류가 형, 온조가 아우인 점은 공통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몽에게는 비류와 온조 외에 부여에서 먼저 낳은 아들이 있었기 때문에 『삼국유사』 왕력에서는 온조를 주몽의 “第三子”라 하였고, 그 뒤에 “第二子”라고도 한다는 내용을 덧붙여 놓았다. 또한 두 기록에서 형제가 주몽과 일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점, 그들의 생모와 주몽이 부부라는 점, 부여계 출자임을 명시하고 있는 점, 남쪽으로 내려와 새로운 나라를 세웠다는 점 등도 공통적이다.

그러나 비류?온조 형제의 아버지에 대해서는, 한쪽에서는 주몽이라 하고, 한쪽에서는 우태라 하여 서로 다르게 기록하였다. 또한 온조 시조설은 온조와 비류가 각각 한강 유역과 미추홀에 정착하였다가 나중에 하나로 병합되었다고 한 반면, 비류 시조설은 비류와 온조가 함께 미추홀에 거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렇듯 사료에 온조 시조설과 비류 시조설이 동시에 남아 전하는 것은 백제 초기의 지배세력이 여러 계통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대해서는, 백제 초기의 정치 세력이 온조계와 비류계로 나뉘어 오랫동안 왕위계승에서 경쟁적 위치에 있었던 것을 나타낸다고 본 견해가 있다.(천관우, 1989) 또는 처음에 비류는 미추홀에서, 온조는 한강 유역에서 각각 나라를 세운 후, 두 집단이 중심이 되어 연맹을 형성하고 연맹장을 배출했던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기도 한다. 이 견해에서는 비류가 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당시 그 세력이 온조보다 우월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이며, 비류 시조설이 후대까지 남아 전하게 된 것은 비류를 시조로 하는 집단이 백제 후기까지 존속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하였다.(노중국, 1988)

한편, 『삼국사기』에 전하는 온조왕의 건국 기록을 그대로 믿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이를 사실로 받아들이지 않는 견해도 있다. 이에 따르면 백제의 실질적인 건국은 제8대 고이왕대(이병도, 1976) 혹은 제13대 근초고왕대(今西龍, 1934)에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러나 온조의 건국 연대를 기원전 18년으로 단정할 수는 없지만, 대체로 기원전 1세기에는 『삼국지(三國志)』 권30 열전30 오환선비동이전(烏丸鮮卑東夷傳) 한(韓)조에 보이는 “백제국(伯濟國)”이 시발(始發)되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천관우, 1989) 나아가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조의 내용이 그 이전에 있었던 일들을 압축해 기록한 것이라 이해하면서 『삼국사기』의 온조왕 관련 기록을 사실로 받아들이고, 온조왕 대인 기원후 1세기 초에는 백제가 이미 주변의 여러 나라들을 복속시키는 과정에 있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이종욱, 1986)

온조왕대 기록에서 주목되는 내용은 말갈(靺鞨), 마한(馬韓)과의 관계이다. 이 중 말갈과는 빈번한 전투가 이루어졌다. 이때의 말갈이 구체적으로 어떤 세력을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으나, 당시 말갈의 침입지역은 대체로 오늘날의 개성, 연천, 포천을 중심으로 하는 백제의 북부와 동북부에 해당된다.

마한과의 관계에서는, 처음에는 온조왕이 신록(神鹿)을 잡아 마한(馬韓)에 보내고 천도(遷都)할 때도 마한에 고하며, 온조가 처음 옮겨왔을 때 마한왕이 동북(東北)의 땅을 떼어주어 살게 했다는 것으로 보아 백제가 마한에 신속(臣屬)한 듯이 보인다. 그러나 그 후 온조는 마한을 침범하여 국읍(國邑)을 병탄하고, 이에 저항하던 잔여세력도 멸망시켰다. 온조왕대 마한의 멸망에 대해서는, 이때의 마한을 『삼국지』 동이전 한(韓)조에 보이는 “목지국(目支國)”으로 보면서 3세기 중엽 고이왕대의 일로 이해하기도 한다.(이병도, 1976; 노중국, 1988) 또는 이때 멸망시킨 마한세력을 아산만 유역에 있던 일부 집단으로 한정하여 어느 정도 사실로 인정할 수 있다고 이해하는 견해도 있다.(박찬규, 1995)

온조왕 14년에는 백제의 강역(疆域)을 확정하는 기사가 보이는데 이에 따르면 북쪽으로는 패하(浿河), 남쪽으로는 웅천(熊川), 서쪽으로는 큰 바다, 동쪽으로는 주양(走壤)에 이르렀다고 하였다. 이 기록에서 패하는 예성강(禮成江), 주양은 춘천 지방을 가리키는 것이며, 웅천은 금강(錦江)으로 보는 설(천관우, 1989)과 안성천(安城川)으로 보는 설(이병도, 1976)이 있다. 그러나 이 기록 역시 백제의 발전과정에 비추어 보아 고이왕대의 일로 이해해야 하며 이것이 후대에 온조왕조에 부회된 것이라 보는 견해가 있다.(이병도, 1976; 노중국, 1978)

온조왕은 재위 45년만인 28년에 죽었다. 그 뒤를 이어 온조왕 28년 태자로 책봉되었던 다루(多婁)가 왕위에 올랐다.

참고문헌

今西龍, 1934, 『百濟史硏究』, 近澤書店.
이병도, 1976, 『韓國古代史硏究』, 박영사.
노중국, 1978, 「百濟王室의 南遷과 支配勢力의 變遷」 『韓國史論』4, 서울대 국사학과.
이종욱, 1986, 「百濟 初期史 硏究史料의 性格」 『百濟硏究』17.
노중국, 1988, 『百濟政治史硏究』, 일조각.
천관우, 1989, 『古朝鮮史?三韓史硏究』, 일조각.
박찬규, 1995, 『百濟의 馬韓征服過程 硏究』,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관련원문 및 해석

第一 溫祚王 [東明第三子 <一云> 第二 <癸>卯(立) 在位四十五 都(慰)禮城 一云 ?川 今<稷>山 丙辰 移都漢山 今廣州]
제1 온조왕 [동명의 셋째아들이다. 혹은 둘째 아들이라고도 한다. 계묘년에 즉위하여 45년간 재위하였다. 위례성에 도읍하였는데 또는 사천이라고 하며 지금의 직산이다. 병진년에 한산으로 도읍을 옮겼는데 지금의 광주이다.]

第二 多婁王 [溫祚第二子 戊子立 理四十九年]
제2 다루왕 [온조의 둘째 아들이다. 무자년에 즉위하여 49년간 다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