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릉동

공릉동

[ Gongneung-dong , 孔陵洞 ]

요약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법정동.
서울테크노파크

서울테크노파크

위치 서울특별시 노원구
면적(㎢) 8.24㎢
행정구분 법정동
문화재 서울 태릉과 강릉(사적), 삼군부 청헌당(서울시 유형문화재), 연령군 이훤 신도비(서울시 유형문화재),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현 서울산업대학교,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구 화랑대역(국가등록문화재),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광산학과 교사(현 서울산업대학교, 국가등록문화재)
인구(명) 77,375명 (2023년)
가구수(세대) 36,118세대 (2023년)

목차

  1. 역사
  2. 현황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있는 법정동으로, 행정동인 공릉제1동과 공릉제2동이 관할한다. 북쪽으로는 중계동·하계동·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동쪽으로는 경기도구리시 갈매동, 서쪽으로는 월계동, 남쪽으로는 중랑구 묵동·신내동과 접한다. 전체 면적은 8.24㎢로 노원구 전체 면적의 23.1%를 차지하며, 2023년 기준 전체 인구는 77,375명이고, 36,118세대가 거주한다.

 

역사

조선시대에는 경기도 양주목 노원면에 속한 지역이었다. 갑오개혁 이후 한성부 양주군 노원면이 되었다가, 다시 경기도 양주군 노원면이 되었다. 1914년 4월 1일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으로 노원면의 공덕리, 무수동, 묘동리와 망우리면의 묵동리 일부가 병합되어 경기도 양주군 노해면 공덕리로 개편되었다. 1963년 1월 1일 서울시 성북구에 편입되면서 공릉동으로 개칭되었다. 1973년 7월 1일 도봉구의 신설로 그 관할이 되었다가, 1988년 1월 1일 도봉구에서 분리·신설된 노원구에 편입되어 오늘날의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이 되었다.

공릉(孔陵)이라는 지명은 공덕리(孔德里)의 ‘공’자와 태릉(泰陵)의 ‘릉’자를 합한 데에서 유래하였다.

현황

남쪽으로 묵동천이 흐르고, 서쪽으로는 중랑천이 흐르며 동의 경계를 이룬다. 동쪽 일대에는 불암산(508m)에서 이어진 산지가 분포하며, 태릉과 강릉이 위치한다. 태릉(泰陵)은 조선 중종의 왕비인 문정왕후 윤씨(文定王后 尹氏, 1501~1565)의 능이고, 강릉(康陵)은 문정왕후의 아들이자 제13대 왕인 명종(明宗, 1534~1567)과 부인 인순왕후 심씨(仁順王后 沈氏, 1532~1575)의 능이다. 태릉과 강릉을 포함한 조선왕릉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태릉 조선왕릉전시관이 조성되어 있다. 인근에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합숙훈련장인 태릉선수촌육군사관학교를 비롯한 여러 학교들이 들어서 있다. 한편, 2010년 운행이 중단된 옛 경춘선 철로구간은 경춘선숲길로 조성되어 주민들의 산책로로 이용되고 있으며, 경춘선숲길의 마지막 구간으로 서울의 마지막 간이역이던 옛 화랑대역은 화랑대철도공원으로 탈바꿈되었다. 주거 지역은 대체로 동의 서쪽 지역에 분포하고, 태릉입구역 일대에 상권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근에는 국수 가게들이 밀집한 공릉동국수거리가 위치한다.

중랑천을 따라 동부간선도로(성수장암간)가 지나고, 북부간선도로, 공릉로, 노원로, 동일로, 섬밭로, 화랑로 등이 공릉동을 지난다. 철도 시설로는 서울 지하철 6호선이 태릉입구역과 화랑대역을, 7호선이 공릉역과 태릉입구역을 경유한다.

교육기관은 2023년 기준 대학교 4개교(삼육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여자대학교 서울캠퍼스, 육군사관학교), 고등학교 2개교(서울동산고등학교, 한국삼육고등학교), 중학교 4개교(공릉중학교, 태랑중학교, 한국삼육중학교, 한천중학교), 초등학교 7개교(서울공릉초등학교, 서울공연초등학교, 서울용원초등학교, 서울태랑초등학교, 서울태릉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등이 있다.

주요 상업시설에는 공릉동 도깨비시장 등이 있다. 공공기관 및 공공시설로는 공릉1동주민센터, 공릉2동주민센터, 서울공릉동우체국, 공릉행복발전소 공릉도서관, 화랑도서관, 불암산스포츠타운, 공릉동 다목적구장, 공릉종합사회복지관, 노원구가족센터, 서울생활사박물관, 원자력병원 등이 있다.

문화재로는 서울 태릉과 강릉(사적), 삼군부 청헌당(서울시 유형문화재), 연령군 이훤 신도비(서울시 유형문화재),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본관과 교사(현 서울산업대학교, 국가등록문화재), 서울 구 화랑대역(국가등록문화재), 서울대학교 구 공과대학 광산학과 교사(현 서울산업대학교, 국가등록문화재) 등이 있으며, 육군사관학교 내의 육군박물관은 군사전문 박물관으로서 부산진순절도(보물), 동래부순절도(보물), 세총통(보물) 등 다수의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경춘선 폐철도 노선, 태릉선수촌, 1971년 개업하여 운영중인 소라분식 등이 서울미래유산으로 지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