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동물지리구

대한민국 동물지리구

한국의 동물상(動物相)은 위도와 해발고도 및 해황(海況)에 따른 변이성이 비교적 크다. 육상동물에서는 동물지리구(動物地理區)상 주로 포유류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면 한국 북동소구(北東小區)와 한국 남서소구(南西小區)로 나뉜다. 한국 북동소구는 함남·함북의 고지대를 포함하며 구북구(舊北區)의 시베리아아구(亞區)에 속하고 여기에 서식하는 대표적인 동물은 모두 북방형(北方型)이며, 이 지구의 특산종 또는 중국 북동부와 시베리아 동쪽에 서식하는 종·아종 또는 근연종은 같은 시베리아아구에 속하는 일본 홋카이도, 러시아의 사할린과 관계가 깊다.

대표적인 종은 식충목(食蟲目)의 희시무르고슴도치·우수리땃쥐·야마시나땃쥐·만포땃쥐·뒤쥐·쇠뒤쥐, 토끼목의 우는토끼, 박쥐목의 아무르박쥐·긴꼬리수염박쥐·북방애기박쥐·검은토끼박쥐·북방뿔박쥐·쇠뿔박쥐, 식육목(食肉目)의 대륙목도리담비·검은담비·무산쇠족제비(흰족제비), 소목의 대륙멧돼지·백두산사슴·우수리사슴이다.

한국 남서소구는 북동소구를 제외한 한국 전역이며 구북구의 중국아구(中國亞區)에 속한다. 남서소구에 서식하는 대표종은 모두 남방형(南方型)이며 특산종 또는 아종도 중국의 둥베이[東北] 남부, 중국 화북(華北)·중부와 일본에 서식하는 것과 같은 종, 같은 아종이거나 매우 비슷한 종류들이다.

한국 남서소구의 대표종은 식충목의 고슴도치·토마스땃쥐·제주땃쥐·울도땃쥐·두더지, 토끼목의 멧토끼, 쥐목의 쇠갈밭쥐·날다람쥐, 박쥐목의 붉은박쥐·고바야시박쥐·문둥이박쥐·멧박쥐·긴가락박쥐·제주관박쥐, 식육목의 너구리·산달·노란목도리담비, 소목의 멧돼지, 대륙사슴·노루·고라니 등이다. 포유류뿐만 아니라 다른 무리의 동물도 북동소구와 남서소구로 나뉘며, 조류도 북방형인 북꿩·들꿩·멧닭·세가락딱따구리·백두산오색딱따구리·개미잡이 등이 있고, 파충류의 북살모사·까치살모사, 양서류의 북방산개구리 등이 북동소구에 분포한다. 이 중 까치살모사는 설악산·오대산·덕유산·지리산의 비교적 높은 지대에도 서식한다.

한국 남서소구에 분포하는 특색 있는 육상 척추동물로는 북동소구에 없는 파충류인 남생이·도마뱀붙이·살모사, 양서류인 맹꽁이·조선산개구리·금개구리 등이다. 담수어류(淡水魚類)의 분포는 압록강 상류인 개마고원 지역에는 아무르계(系) 어류가 많고 북동부(함남·북, 강원 북부)의 해안지역의 어류는 우수리 지방과 관련이 깊다. 그래서 개마고원 지역을 시베리아아구의 아무르소구(小區)에 넣고, 북동부 해안 지역은 같은 시베리아아구의 마리팀소구에 넣는다.

한국 남서부는 중국 둥베이 남부와 공통성이 커서 중국아구의 한국소구로 구분하기도 한다. 전체적으로는 한국의 육상동물 및 담수어류는 아시아 대륙과 공통인 종류가 많고 한국 특산종은 비교적 적다. 남서소구(한국 저지소구)의 조류상(鳥類相)은 중국과 공통된 종이 약 90%나 되고 울도방울새·뿔종다리·붉은배동고비·울도오색딱따구리·제주오색딱따구리·긴부리쇠딱따구리·크낙새·참수리·들꿩 등 소수의 아종만이 한국 특산종이다. 해양동물상(海洋動物相)에서는 리만한류(寒流)의 영향을 받는 동해 북부 해역에서는 한류성인 북방형 동물, 쿠로시오난류의 영향을 받는 동해 남부·남해 및 서해 남부 해역에는 남방형 동물이 비교적 많으나 전체적으로는 한국 연해에는 온대형 종들이 가장 많다.

절지동물문(節肢動物門) 갑각강(甲殼綱) 십각목(十脚目)의 게류는 185종(아종 포함)이 있는데, 7종(3.8%)이 북방형이고 온대형과 남방형은 각각 88종(47.6%), 90종(49.6%)이다. 같은 십각목에 속하는 새우류는 해산종 63종 중 북방형 10종, 온대형 34종, 남방형이 19종으로 북방형이 비교적 많고, 집게류는 57종 중 북방형 9종, 온대형 40종, 남방형 8종으로 북방형이 남방형보다 많다. 십각목을 기준으로 하면 한국 연해 해역은 동물지리상 동해·남해·황해·제주의 4구역으로 나뉘며 동해와 남해의 경계는 영일만(迎日灣), 남해와 황해의 경계는 목포(木浦) 근해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