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서류

양서류

[ Amphibian , 兩棲類 ]

요약 척추동물의 한 강(綱)을 이루는 동물군. 어릴 때는 아가미로 수중호흡을 하면서 물에서 살고, 성장하면 폐와 피부를 통하여 호흡을 하면서 육상에서 살아서, 두 곳에서 산다는 의미로 양서류라고 한다.
황소개구리

황소개구리

다리가 네 개이며 알에 양막이 없고 변온동물이며 일생의 일부분을 육지에서 생활하는 동물이다. 개구리, 도롱뇽, 무족영원류 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양서류는 다른 사지동물들과는 다르게 완전히 육지에서만 생활하는 것이 제한되어 있다. 잘 발달하지는 않았으나 한쌍의 폐를 가지고 있어 폐호흡이 가능하나 폐호흡으로 부족한 호흡량을 보충하기 위하여 피부호흡이 함께 이루어진다. 피부호흡은 표면적과 부피의 비에 의하여 효율이 결정되므로 양서류의 신체의 크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석탄기와 페름기를 양서류 시대라고 부르는데 이는 최초의 사지동물(Tetrapods)이 3억 9천만년 전인 데본기에 나타났지만 진정한 양서류라고 부를 수 있는 동물이 석탄기 초기에 등장하여 석탄기 말에서부터 트라이아스기까지는 엄청난 다양성을 가지고 번성했기 때문이다. 석탄기에 엄청나게 번성했던 육상 식물들은 양서류와 같이 건조한 곳에서 살기 힘든 동물들에게 햇빛을 막아주는 그늘과 일정하게 유지되는 수분, 그리고 먹이 등을 공급해주어 몸길이 2미터 이상에 이르며 물고기를 잡아먹는 대형 양서류까지로도 번성할 수 있었으나 트라이아스기에서 쥐라기로 접어들면서 대형 양서류들은 멸종하고 파충류에게 생태학적 지위를 빼앗기며 그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다.

오늘날에는 개구리류나 두꺼비류(Anura목에 해당), 도롱뇽류이나 영원류 또는 사이렌류(모두 Caudata목), 무족영원류(Caecilian) 등이 여기에 해당하며 약 6000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최근 20여년 동안 일어난 양서류의 급감은 지구적인 생물다양성에 심각한 타격을 주고 있다. 이는 인간의 서식지 파괴와 함께 양서류가 지역적인 종인 경우가 많고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 등에 민감한 종이 많아서인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들의 감소에 대한 부분은 아직 많은 연구가 더 필요하다.

카테고리

  • > > >

관련이미지

참개구리

참개구리 개구리과의 양서류. 몸길이 6~9cm.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