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온동물

변온동물

[ poikilotherm , 變溫動物 ]

요약 외계의 온도에 의하여 체온이 변하는 동물로 정온동물(定溫動物)에 대응되는 용어이다. 무척추동물 및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 포함되는데, 변온동물은 체온과 외계와의 온열교환이 신속하며, 한때 외계의 환경온도보다 몇 도 높아졌다가도 근육운동이 끝나면 금방 잃어버리고 환경온도와 같아진다. 이들의 체온조절 능력은 한계가 있어 겨울에는 동면을, 여름에는 하면을 하기도 한다.
다이온쥐잡이뱀

다이온쥐잡이뱀

냉혈동물이라고도 한다. 무척추동물 및 어류 ·양서류 ·파충류 등이 포함된다. 외계온도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정온동물(定溫動物)에 대응되는 용어이다. 변온동물은 체온과 외계와의 온열교환이 신속하며, 한때 외계의 환경온도보다 몇 도 높아졌다가도 근육운동이 끝나면 금방 잃어버리고 대략 환경온도와 같아진다.

변온동물에서도 체온조절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꿀벌은 저온에서는 집단이 되어 열의 발산을 방지함과 동시에 근육운동에 의하여 발열한다. 이 때문에 꿀벌은 동면하지 않고 월동할 수 있다. 많은 도마뱀류는 체온이 내려가면 피부에 있는 색소세포(色素細胞)를 확산하고 복사열을 흡수하여 체온을 높이며, 반대로 체온이 너무 올라가면 호흡수를 늘려서 입에서 열을 발산시키거나 색소세포를 응집하여 열의 흡수를 방지한다. 이러한 체온조절은 불완전하므로 어느 정도 이하로 내려가면 체내의 신진대사가 낮아져서 활발하게 활동할 수 없게 된다. 그 때문에 개구리 ·뱀 ·도마뱀 등은 한랭한 때에는 땅속에 들어가 동면을 하고 열대지방에서는 덥고 건조한 시기가 되면 하면(夏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