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

베이징

다른 표기 언어 Beijing , 北京
요약 테이블
위치 중국 허베이 성 중앙부
인구 21,766,000명 (2023년 추계)
면적 16,410.54㎢
언어 중국어
대륙 아시아
국가 중국

요약 중국의 수도. 삼각꼴로 생긴 화베이 평원의 꼭대기에 해당하며, 해발 30~40m에 놓여 있다. 유구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고전적인 아름다움과 현대적인 모습이 공존한다. 중국혁명박물관과 베이징 도서관 등에서는 중국의 전통을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전통 가극으로 경극이 유명하다.

목차

펼치기
  1. 특성
  2. 자연환경
    1. 시의 위치
    2. 기후 및 식물
    3. 도시구획
    4. 주택
  3. 주민
  4. 경제
    1. 농업
    2. 산업
    3. 상업·금융
    4. 교통
  5. 행정과 사회
    1. 시 행정
    2. 공공설비
    3. 교육
  6. 문화
    1. 문화생활
    2. 박물관·도서관
  7. 역사
    1. 초기의 제국
    2. 성장의 세기
베이징 천안문
베이징 천안문

그렇게 오랫동안 중국처럼 거대한 나라의 정치·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치를 고수해온 도시는 세계에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베이징은 과거 8세기 이상을 중국 역사에서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왔다. 따라서 베이징에 대한 지식 없이 중국을 이해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다. 2,000년 훨씬 이전에 지금의 베이징 부근은 이미 중국 동북부 국경지대의 중요한 군사·교역 중심지였다.

원대(元代:1271~1368)인 1267년 이곳에 대도라는 이름의 신도시가 건설되어 행정수도가 되었다. 명(明:1368~1644)의 제1·2대 황제 재위기간에는 난징[南京]을 수도로 삼았으며, 전대의 수도였던 대도는 베이핑[北平]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그러나 명의 제3대 황제는 베이핑을 다시 수도로 삼고 베이징이라는 새 이름을 붙였다. 그후 베이징은 국민정부가 난징을 다시 수도로 삼았던 짧은 기간(1928~49, 제2차 세계대전중에는 충칭[重慶]으로 천도)을 빼고는 계속 수도로서의 지위를 지켜왔다.

베이징 천단
베이징 천단
지도
베이징

특성

베이징 (Beijing)
베이징 (Beijing)

베이징이 가진 고풍스러운 아름다움은 1949년 이래로 불어닥친 현대화와 공업화의 바람에 의해 거의 파괴되었으나, 아직도 도시 일부에는 옛 모습을 상기시키는 부분이 남아 있다.

불멸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훌륭한 건물들과 오래된 음식점, 전통 공예품 등에서 과거의 향기를 느낄 수 있다. 중국정부는 마침내 베이징이 더이상 공업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법안을 마련했다.

서양의 기준으로 보면 베이징의 생활 리듬은 느린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버스나 자전거로 통근하는가 하면, 무더운 여름날 저녁에는 시원한 바람을 쐬거나 잡담을 하기 위해 집 앞에 나와 앉아 있다. 시민들은 폭넓은 여가활동을 즐기는 편이며, 특히 건강을 위한 여가활동에 치중하여 전통 무술인 태극권(太極拳)이 광범위하게 성행하고 있다.

베이징의 태극권
베이징의 태극권

길가나 공원에서 혼자 또는 집단으로 태극권을 연습하고 있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젊은이들은 이허위안[頤和園], 명나라 역대 13제왕의 능인 스싼링[十三陵], 만리장성과 같은 근처의 역사적인 명소들을 즐겨 찾는다. 노인들, 특히 할아버지들은 조그만 음식점이나 다방에 모여 담소를 나누거나, 모퉁이의 선술집에 혼자 앉아 한 잔의 맥주나 마오타이주[茅臺酒]를 음미하는 것을 즐긴다.

베이징은 그 모든 역사의 변천에도 불구하고, 언제나 베이징 주민들의 자랑거리였다. 여러 세기 동안 변함없는 그들의 집념은 주로 먹을 것과 지식에 관한 것이다. 그들은 먹고 싶을 때는 마음껏 먹고, 비록 책의 공급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지칠 줄 모르고 읽는다. 여러 가지 음식을 파는 노점상들은 신문잡지 판매대와 마찬가지로 많은 단골들을 확보하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소망하는 것은 그들의 자식들이 공장일을 직업으로 갖지 않도록 더 높은 교육을 시키는 것이다. 도시 내의 좁은 생활공간에도 불구하고, 베이징의 가정은 항상 부모와 조부모를 돌보고 나이 든 친척들의 복지에 책임을 다하려고 노력한다.

자연환경

시의 위치
베이징의 자연환경
베이징의 자연환경

베이징의 위치는 3각꼴로 생긴 화베이 평원[華北平原]의 꼭대기에 해당하며, 해발 30~40m에 놓여 있다.

북쪽은 내몽골 고원의 가장자리로 이어지고, 북동쪽에는 옌산 산맥[燕山山脈]의 산줄기들이 뻗어 있다. 이 산맥의 일부가 저지대인 베이징을 북동에서 남서 방향으로 둘러싸고 있는데, 지리학자들은 오목한 활 모양을 이루는 동쪽부분을 베이징 만(灣)이라고 부른다. 융딩 강[永定河]과 차오바이 강[潮白河] 사이에 끼어 있는 베이징 만의 남쪽과 동쪽은 화베이 평원으로 이어진다.

융딩강[永定河]
융딩강[永定河]

베이징은 화베이 평원과 북부의 산맥·평원·고원 사이를 잇는 주요통로상에 있어 천연 출구로 중요한 구실을 해왔다.

베이징이 3각형의 대평원 꼭대기에 있기 때문에 화베이 평원을 통과한 도로들은 자연히 이곳으로 모여든다. 중국 역사가 시작된 이래 옌산 산맥은 남쪽의 화베이 평원과 북쪽의 내몽골 고원 및 둥베이[東北:옛 이름은 만주] 남부의 랴오허[遼河] 평원 사이에서 강력한 방벽 구실을 한다.

또한 베이징은 여러 세기 동안 드넓은 중앙 아시아 내지로 통하는 무역로의 중요한 종점도시였다. 15세기초 이래 베이징 시와 그 주변지역은 거대한 대도시권 지역으로 조직되었다. 베이징의 이러한 특별한 행정지위는 청대 및 중국에 이르기까지 유지되었다. 1959년에 조직된 베이징 대도시권은 오늘날 10개의 구와 변두리에 있는 8개의 부속 현으로 이루어진다.

기후 및 식물

베이징은 보하이 만[渤海灣]에서 161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바다가 베이징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전반적인 대기순환은 1년 내내 주로 북서쪽의 영향을 받으며, 뚜렷한 대륙성계절풍기후를 보인다. 베이징의 기후는 지형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즉 저지대에 놓여 있고 산맥에 의해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같은 위도상에 있는 중국의 다른 지역보다 겨울에 추운 편이다. 풍향 또한 지형의 영향을 받는데, 주로 낮에는 남풍, 밤에는 북풍이나 북서풍이 분다.

연평균기온은 12℃이고, 가장 추운 달은 1월로 월평균기온이 -4℃이며, 가장 더운 달은 7월로 월평균기온이 26℃이다.

연평균 132일 정도가 빙점 이하의 기온으로 내려간다(10~3월). 연강우량은 635㎜로, 1년 중 6~8월에 대부분의 비가 내린다. 통상적으로 7월은 1년 중 가장 습기가 많은 달로, 월평균강우량이 228㎜에 달한다. 강우량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변화가 심하다는 것인데, 1959년(베이징이 대단히 습했던 해)의 총강수량이 약 1,400㎜에 달한 반면, 1891년(대단히 건조했던 해)에는 178㎜를 기록했다. 비오는 날의 평균일수는 80일 정도이고, 평균습도는 57%이다.

베이징의 산간지대는 온대 낙엽성 삼림대에 속하는 반면에 평원지역은 나무가 우거진 초원지대에 속한다.

그러나 여러 세기에 걸쳐 진행된 삼림벌채로 서부와 북동부만이 혼합림으로 덮여 있다. 이 혼합립은 주로 소나무류·참나무류·만주자작나무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으로 분포된 다른 종류의 숲은 좀더 높은 곳에서 볼 수 있다. 이 도시의 서쪽에 있는 많은 산들의 낮은 경사면에는 인간들의 활동으로 인해 숲이 없어지고 약간의 관목과 관목숲만이 드문드문 남아 있을 뿐이다. 평원지역의 대부분은 농지로 개간되었거나 다양한 주거지가 들어서 자연 식물을 보기 힘들다.

도시구획
 베이징시 행정구역
베이징시 행정구역

베이징의 전통적인 중심부는 2개의 성곽도시(지금은 성벽이 남아 있지 않음), 즉 내성(內城)과 외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에 있는 내성은 '타타르 시'로도 알려져 있으며, 그 위치는 대략 원대의 수도 대도가 있었던 자리이다. '중국 시'로도 알려진 외성은 명대 가정연간(嘉靖年間:1521~66/67)에 증축되었다. 내성은 길이 24km에 달하는 성곽이 4각으로 에워싸고 있었다. 내성에 잇닿아 있는 외성은 직4각형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내성의 남쪽 성벽 6.4km를 포함해서 23km에 달하는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내성 안에는 옛 황성이 있는데, 역시 직4각형이며 10km의 붉은 벽돌로 둘러싸여 있다. 이 황성 안에는 3.6km의 담으로 둘러싸여 있고 해자(垓字)로 수비된 쯔진청[紫禁城]이 있다. 또 이 쯔진청 안에는 오늘날 박물관으로 개조된 옛 황궁이 있다. 도시계획면에서 베이징의 조화와 정연함을 따라올 만한 도시는 세계에서 거의 찾아 보기 힘들다(중국건축). 베이징 중심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일직선상에 도시가 계획되었다.

성벽, 주요 도시관문, 널찍한 가도, 종교사원들, 시장 등이 중심축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이 중심축은 역사적으로 지배 정권의 권위를 상징했기 때문에 많은 관공서·대중광장·도시관문 등이 이 축을 따라 세워졌다. 남북으로 뻗은 이 중심선을 따라 중러우[鐘樓], 구러우[鼓樓], 징산 공원[景山公園], 황궁 등을 포함한 쯔진청, 톈안먼[天安門] 광장, 첸먼[前門], 톈차오[天橋] 지역, 융딩먼[永定門:지금은 없어짐] 등이 줄지어 있다.

또한 중심선을 축으로 동쪽과 서쪽이 체계적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명대에 세워진 16개의 도시관문 가운데 7개는 중심선 동쪽편에, 2개는 중심선 위에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남아 있는 문은 거의 없지만, 그 이름들은 거리이름으로 남아 있다(도시계획).

1949년 이후 전개된 도시 외관상의 가장 큰 변화는 옛 성벽의 바깥쪽으로 가도를 연장한 것이다.

구도시의 서쪽편으로 푸싱먼[復興門]이 서 있던 자리로부터 약 1.6km 정도 뻗어 있는 길은 시창안제[西長安街]의 연장인데, 이 길에는 주로 공공관청들이 세워져 있다. 북서쪽의 이허위안 쪽으로는 중국에서 가장 중요한 대학교들과 연구기관들이 들어서 있다. 도시 북쪽의 외곽지역은 북서쪽의 교육 중심지에 인접한 주택지로 발전해왔다. 동쪽 교외지역은 공업지역으로, 화학제품·자동차·농기계 제조가 우세하다. 남쪽의 채소밭은 점차 공장들로 대체되고 있다.

주택

급속한 인구증가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사무직 및 공장 근로자들을 위한 주택 건설계획이 세워졌다.

제1차 5개년계획 기간(1953~57)에 주택사업은 베이징 시의 서쪽 외곽지역에 집중되었는데, 푸싱먼 바깥쪽으로 아파트 건물들이 세워졌다. 1958년부터 북쪽 외곽지역인 안딩먼[安定門] 자리와 더성먼[德勝門] 사이에 허핑리[和平里] 주택가를 중심으로 대단위 연립주택 건설공사가 시작되었다. 또한 북쪽 외곽지역에는 많은 단독주택 단지가 있는데, 공원·극장·오락시설 등이 갖추어져 있다. 이 신축 건물들은 구시가지와는 대조적으로 가스와 수도물이 공급된다.

시 동쪽의 젠궈먼[建國門] 자리 바깥쪽에는 부근의 관공서에서 근무하는 사무직 근로자들과 그 가족들이 살고 있는 아파트들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많은 대사관과 서양식으로 지어진 외교관 주택들이 있다. 베이징 시의 주택 재건계획에 의해 옛 성곽 안쪽의 오래된 구역 안에 있는 낡은 주택들이 철거되고 고층 아파트들이 들어섰다. 그러나 이 계획은 인구의 성장을 따라갈 수 없었다. 그결과 한 집에 3~4가구가 살 수 있도록 많은 전통가옥을 수리해서 몇 칸으로 나누었다. 이렇게 한 집을 나누어 쓰는 가정들은 정원과 대문을 공동으로 사용한다.

대도시의 통근 교통량을 줄이기 위해 시 동쪽과 남쪽 외곽지역에 있는 많은 공장들이 근로자 아파트를 지었다. 독립 단지를 구성하는 이 근로자 주택은 그들의 일터로 쉽게 갈 수 있으면서도 소음공해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 세워졌다. 중심도시로부터 인구와 산업을 분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베이징 근교의 현들에 위성도시가 세워졌다. 잉여 노동력을 흡수하고 농부들의 수입을 늘려주기 위해 외곽지역에 산업발전이 고무되었다.

주민

1949년부터 베이징은 중국에서 가장 인구성장률이 높은 도시 가운데 하나이다. 베이징을 수도로 삼았던 제정(帝政) 시기, 즉 13세기부터 20세기초까지 베이징의 인구는 매우 서서히 늘어났으나, 청나라가 몰락한 이후 40여 년 동안(1911~49) 급속히 증가했다. 이렇게 빠른 인구성장의 요인으로 최소한 다음의 3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군벌 통치시기에 화베이 평원 농촌지역에 만연했던 혼란과 무질서가 베이징 성내로의 대대적인 이주를 촉진했다. 둘째, 1931년 만주지역이 일본에 점령되자 동북부의 성들로부터 수천 명의 피난민이 베이징으로 몰려들었다. 셋째, 정부나 외국 선교사들이 후원하는 수많은 고등교육기관의 설립으로 학생 인구가 늘어났다. 그러나 더 놀랄 만한 인구 증가는 베이징이 다시 수도의 위치를 회복한 후에 일어났다. 1949년 베이징은 전국에서 4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였으나, 약 10년 후 전국 2위의 도시로 부상했다. 이러한 인구증가는 주로 새 수도가 정해짐에 따라 필연적으로 따라오는 수많은 공무원들의 이주, 1950, 1960년대의 급속한 공업발전, 1959년 넓은 농촌지역을 포함한 도시 경계선의 확대 등에 의한 것이다.

베이징 주민 가운데 압도적으로 다수를 차지하는 종족은 한족(漢族)이다. 후이족[回族]·만주족·몽골족이 최대의 소수민족집단을 이룬다.

베이징의 주민은 외부인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방언을 쓰지만, 교육받은 주민들은 현대표준중국어(푸퉁화[普通話])를 사용할 수 있다. 베이징에는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점차 확장되고 있는 외국인 거류지가 있다. 주로 이 도시의 생활에서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으며, 외교관·언론인·사업가·교사 등이 살고 있다. 중국정부는 외국인들의 특별한 요구를 충족시켜주고 될 수 있는 한 지역주민들과 이들을 격리시키기 위해 각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문화대혁명 기간(1966~76)에 파괴되었던 옛 사찰, 교회, 다양한 종교의 신학교들(대부분이 불교)을 복구하려는 노력이 197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졌다. 복구된 건물 중 일부는 실제로 사용하고 있다.

경제

농업

베이징은 수백 년 동안 수도의 자리를 지켜왔으나, 전통적으로 중국의 경제 중심지라고 할 수 있는 비옥한 양쯔 강[揚子江] 유역과는 멀리 떨어져 있었다.

과거에는 베이징 도시지역의 대인구에게 식량을 공급하기 위해 대운하나 바닷길을 이용하여 남쪽으로부터 식량을 운반해오는 것이 편리했다. 1910년대부터는 철도가 수도의 식량보급에 중요한 구실을 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베이징 시는 채소·과일·가금·어류 같은 부식물과 수많은 건축재료들을 대부분 자급자족하기 위해 노력했다. 1958, 1959년의 도시경계선 확장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부분적으로 도움이 되었다.

1980년대에 실행된 농촌 개혁은 개인에게 생산의 자유를 크게 부여했는데, 그결과 베이징에 다양하고 보다 많은 식량공급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대부분의 세계 주요도시들과는 달리 농업이 베이징 경제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채소는 관개수로망이 잘 정비되어 있는 도시 주변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는데, 수많은 전기 양수기가 이 수로들을 보완하고 있다. 이 관개체계로 인해 빈번하게 가뭄이 들던 지역에 집약농업이 가능해졌다. 겨울에는 온실에서 채소를 재배한다. 이 넓은 곡창지대는 또한 중국에서 가장 기계화된 농업지역 가운데 하나이다.

시 당국은 과실수 및 견과류 나무의 확대 재배를 장려했으며, 과실수를 심기 위해 시 북쪽과 동쪽의 넓은 미개간 지역을 개간했다. 과실수와 다른 나무들의 대규모 조림(造林)으로 토양의 풍식이 상당히 줄어들었다. 구릉지대에서는 배·감·사과·호두·밤 등의 과일을 대량으로 생산하며, 개간된 저지대에는 포도원과 복숭아 밭이 들어서 있다. 과일 수확물의 일부는 기차편으로 둥베이 지역과 내몽골까지 운송된다.

산업

과거 제국의 수도였던 시기와 현재 베이징의 커다란 차이점 가운데 하나는, 제국의 수도였을 때는 생산보다는 소비의 중심지였다는 것이다.

그당시 베이징은 전국 각지에서 온갖 종류의 물품을 공급받았다. 그러나 1949년 이후 총생산 가치면에서 전국에서 상하이[上海] 다음 가는 대규모 산업도시로 떠올랐다. 경공업보다 중공업이 우세하다. 대부분의 성장은 1950년대와 1960년대에 일어났으나, 그후 도시환경에 미치는 산업화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가 산업성장을 위축시켰다. 베이징의 대표적인 대규모 산업공장으로는 구시가지에서 서쪽으로 15km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스징산[石景山] 철강공장이 있다.

이 공장은 서쪽의 구릉지대에서 나는 무연탄과 철광석을 바탕으로 하여 1920년에 문을 열었다. 1937년 일본에 점령된 이후 소량의 선철을 생산했으나, 1958년부터 성장을 계속하여 오늘날 중국에서 가장 큰 철강공장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베이징은 또한 기계류 제조의 으뜸 가는 중심지이기도 하다.

시 중앙의 동쪽과 남쪽 외곽지역에는 여러 가지 기계를 생산하는 공장들이 들어서 있다. 1950년대와 1960년대에 허베이 성[河北省]에서 목화 재배가 급속히 확대되면서 베이징은 중국의 으뜸 가는 섬유산업 중심지가 되었다. 한편 1970년대 중반에 베이징과 둥베이 지구(옛 이름은 만주)의 다칭[大慶] 유전을 연결하는 송유관이 설치되면서 베이징의 석유화학산업은 빠르게 성장했다. 시 남서쪽에 있는 옌산석유화학회사가 베이징의 석유화학산업을 주도하고 있다.

옛 제국의 수도였던 베이징에는 값진 예술품들이 많이 남아 있다.

이는 다양한 수공예업에서 만들어진 것들로, 주로 궁중생활 및 황제의 수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들이다. 이름난 수공예품으로는 양탄자·도자기·자기제품·놋쇠제품·레이스·자수품·옥세공품·상아세공품·법랑·칠기 등이 있다.

상업·금융

베이징 인구와 산업의 급속한 증가로 인해 주로 정부기관에서 운영하는 많은 서비스 산업이 크게 성장했다.

중국은 전국적이고 중앙집중적인 은행경영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국영 금융기관인 런민은행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내성(內城)에 본점을 두고 있는 이 은행은 국고 운영 대행업무를 수행한다. 전국·성·지방 단위의 정부, 인민해방군, 협동조합망뿐 아니라 국영기업체의 자금이 런민은행에 예치된다. 이 은행은 운전자본을 형성하여 경제 및 정부 활동에 자금을 대는 등, 정부 예산과 국가 금융활동 전반에 걸쳐 주요한 출납원 구실을 한다.

또한 지점들과 저축계정 센터들을 통해 도시와 외곽지역 주민들을 위한 일상업무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런민건축은행, 중국농업은행, 중국은행 등이 있으며, 런민은행과 협력관계에 있거나 런민은행의 지도와 감독을 받는 다른 금융기관들이 있다.

베이징에는 체계적인 도시구획 때문에 대부분의 서유럽 도시들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도시 중앙의 조밀한 업무지구가 없다. 역사적으로 황궁의 남서쪽과 남동쪽에 있는 두 도로의 교차점이 각각 베이징의 시장 구역이었는데, 이 두 시장이 있었던 둥단[東單]과 시단[西單] 부근은 오늘날에는 중요한 상가지역을 이루고 있다.

게다가 왕푸징다제[王府井大街] 주변과 시단 지역에 매우 다양한 생활용품을 공급하는 수많은 고층 백화점들이 세워졌다. 시영(市營) 베이징 백화점은 중국에서 가장 큰 백화점 가운데 하나로 전국 각지의 대도시마다 지점이 있다. 싼리툰[三里屯] 외교관지구 근방에 있는 허핑[和平] 상점은 일부 중국인들도 사용하기는 하지만 주로 외국인을 상대로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현대적 건물들 이외에도 12곳의 오래된 시장이 각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왕푸징거리
왕푸징거리

관광업이 베이징 경제에서 차지하는 몫은 점차 커지고 있다.

도심 안의 역사적·문화적 매력뿐 아니라, 시 북쪽에 있는 만리장성·스싼링, 베이징 원인이 발견된 저우커우뎬[周口店] 같은 명승지가 있는 시 남서쪽의 외곽지역으로도 관광객들이 몰려들고 있다. 관광객을 위한 시설은 꾸준히 증가되었고 많은 호텔과 숙박시설이 지어졌는데, 특히 1980년대에 이르러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낡은 호텔들이 개량되고 증축되었다. 국무원 직속기구인 중국국제여행사가 특별히 외국인에 대한 관광·여행 업무를 취급하는 반면, 화교(華僑) 여행사는 주로 중국 관광객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화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두 여행사는 베이징 내성에 본사가 있고 전국 곳곳에 지사가 있다.

교통

베이징은 전국 철로망에서 수많은 노선들의 종착지를 이루는 중국 철도의 중심지이다.

베이징에서 방사선으로 뻗어 있는 중요한 노선들은 선양[瀋陽:랴오닝 성(遼寧省)에 속함], 상하이 시, 광저우[廣州:광둥 성(廣東省)에 속함], 바오터우[包頭: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에 속함], 타이위안[太原:산시 성(山西省)에 속함] 등의 전국적인 상공업 중심지들과 연결된다. 단거리 노선들은 베이징 대도시권 내의 외곽지구들과 연결된다. 베이징은 다른 대도시들과 직행편으로 연결되며, 급행열차로 모스크바, 북한의 평양, 몽골의 울란바토르 등과 연결된다.

철도편으로 베이징과 멀리 떨어져 있는 도시들과 연결되고 있는 반면, 간선도로(公路)들은 반지름 210km 내에 있는 지역들과 이어주는 주요교통수단이다. 도로운송 체계는 도시 크기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며, 장거리 급행 고속도로가 없다. 시내 단거리 교통에는 삼륜 자전차가 널리 이용되며, 시골지역에서는 여전히 마차로 짐을 운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베이징은 또한 민간 항공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중국의 주요 국내 항공노선은 베이징에서 상하이·광저우·우루무치[烏魯木齊:신장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에 속함] 및 다른 대도시들까지 방사선꼴로 뻗어 있다. 시내교통은 주로 시에서 운영하는 버스와 시가전차에 의존한다. 1970년대초에 도시 중심부를 통과하여 동서로 뻗은 중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 개통되었다. 이 노선은 내성의 옛 경계선을 따라 이어진 별개의 환상선(環狀線)에 의해 보완되었다. 이외의 교통수단으로는 상대적으로 적은 택시·자가용 등이 있다.

자전거가 도시내 단거리 교통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베이징의 교통수단
베이징의 교통수단

행정과 사회

시 행정

베이징은 성급(省級)에 해당하는 중국의 3개 특별시(나머지 2개는 톈진[天津]·상하이) 가운데 하나로, 행정적으로는 4개 시구(市區), 6개 교외지구, 주변지역의 8개 현으로 나누어져 있다.

 베이징시 행정구역
베이징시 행정구역

베이징 시 정부는 중국정부의 계층적 조직구조의 일부로, 중국공산당과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즉 국가적 차원의 조직으로부터 성 단위 조직을 거쳐 성 밑의 시와 최종적으로 마을 단위까지 이어진 구조이다. 주요 의사결정기구인 베이징 시 인민대표대회의 주요임무는 행정명령·조세징수·예산책정 및 경제계획의 실행 등이다.

상무위원회는 정책을 의결하며, 시 정부의 활동을 감독한다. 집행 권한은 베이징 시 인민정부에게 있다. 시의 하부조직으로는 각 구마다 자치조직인 구 인민정부가 있다. 도시지역의 구 밑에는 공안파출소와 동회(街道辦事處)가 있다. 100~600세대로 이루어진 주민위원회[居民委員會]는 주민간의 분쟁 조정, 문맹퇴치운동, 복지후생 및 위생설비 감독, 가족계획 장려 등 여러 가지 활동을 한다. 수도인 베이징에는 가장 중요한 정부기관과 정치기구가 모두 모여 있다.

여기에는 최고국가권력기관인 전국인민대표대회, 최고국가행정기관인 국무원과 산하 부서들이 포함된다. 또한 당무위원회·중앙위원회·정치국·서기처 등의 공산당 조직과 최고인민법원이 베이징에 있다.

공공설비

베이징은 강가에 면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에서 소비하는 대부분의 물은 다른 곳으로부터 공급된다.

그러나 일부는 넓은 지역에 퍼져 있는 얕은 우물에서 나오는 물을 쓰기도 한다.

아주 옛날부터 이 지역의 하천들이 이용되어왔다. 시 동쪽에 있는 바이허[白河]는 미윈[密雲] 저수지에서 차오허[潮河]와 합류한 후 차오바이 강이 된다. 물살이 세고 폭이 넓은 융딩 강은 산시 성의 고원과 허베이 성 북서부에 물을 공급한다.

청대에 시 북동부에 있는 샹산 산[香山]과 위취안 산[玉泉山]에서 나오는 물에 수관을 대어 성곽 주위의 호와 황궁 근처의 인공호수로 끌어들였다. 성곽 주위의 호는 베이징 대도시권에 물을 공급하는 주된수원(水源)이 되었다.

1950년대초 대규모 수리개발공사가 진행되어 팽창해가는 도시지역에 더 많은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사업 이후 2개의 커다란 인공호가 만들어졌다. 그중 하나가 시 북동쪽의 미윈 저수지이고, 다른 하나는 만리장성 너머 북서쪽 산지에 있는 관팅[官廳] 저수지이다.

이 저수지들은 막대한 양의 물을 저장해 두었다가 강 수위가 낮아졌을 때 방출시켜 바이허와 융딩 강 상류의 흐름을 조절한다. 또한 이보다 작은 규모의 스싼링 저수지, 모스커우 부근의 수력발전소 공사도 진행되었다. 관팅 수력발전소는 베이징 대도시권의 최대 전력 공급원이다.

1908년 처음 설립된 베이징수도회사가 베이징의 물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물은 도시 내에 있는 여러 급수장 외에도 구시가지에 있는 급수장들로부터 공급된다. 화베이 평원 최대의 인공호수인 관팅 저수지는 그 물의 대부분을 베이징에 공급하고 있다. 베이징은 세계에서 손꼽힐 정도로 훌륭한 하수처리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일찍이 15세기부터 310km에 이르는 지하 하수구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나중에 이 하수로망은 공장 폐수와 침전물에 의해 자주 막히게 되었다. 1950년대초에 새로운 하수설비를 마련했는데, 이것은 성내에 한한 것이었고 일부는 옛 하수구를 재건한 것이었다.

대부분의 중국 도시에서 볼 수 있던 개방 하수구는 축소되었고, 베이징의 인구밀집 지역에 새로운 하수관들이 가설되었다.

베이징의 우편업무는 톈안먼 광장 동쪽편에 있는 베이징 중앙우체국 본국에서 담당한다. 이곳은 서유럽 도시들의 우체국보다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편, 전신, 장거리전화 및 신문, 잡지 보급 등의 다양한 업무를 관장한다.

교육

베이징의 교육체계는 문화대혁명으로 인해 크게 단절되었으며, 1980년대는 내내 그 회복의 과정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49년 이래로 베이징 학제(學制) 구조상의 근본적인 변화는 없었다. 여전히 초등교육과정 6년, 중등교육과정 6년의 과정이 보편적이다. 미취학 어린이들을 위한 유치원과 탁아소는 공장·회사·관공서·동회에서 운영한다. 이러한 탁아시설들의 주요기능은 어머니들을 일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교외지역이나 농촌지역에서는 추수시기 같은 농번기에 일시적으로 탁아시설이 세워진다. 1950년대에 사립학교를 폐지하고 모든 교육기관을 나라에서 운영하려는 계획이 추진되었다.

그결과 정부에서 선교사들이 운영하던 모든 사립학교들을 인수했다. 그러나 곧 정부가 교육을 필요로 하는 수백만 명의 학생들에게 충분한 학교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정부는 이 정책을 어느 정도 취소하고 공장·산업관련단체·사회단체·인민공사 같은 조직에게 학교 건립을 장려했다.

초등학교에서는 기초교육을 담당한다.

베이징의 중등교육기관에는 일반 중고등학교, 사범학교, 실업·기술 학교의 3가지 유형이 있다. 전국적인 고등교육의 중심지라는 베이징의 위치는 1949년 이래 더욱 강화되어 오늘날 대도시권 안에 수많은 고등학문기관이 있다. 시 북서쪽 외곽지역에 과학 및 교육 지구가 생겨났는데, 이 지구 안에는 베이징대학교·칭화대학교[淸華大學校] 같은 명문대학들도 있다. 또한 고등교육지구 안에는 사상교육을 주로 하는 런민대학교, 소수민족 학생들을 위한 중앙민족대학도 세워졌으며, 베이징사범대학·베이징의과대학·중양음악대학[中央音樂大學]을 비롯하여 철강연구소, 항공 및 우주항공 연구소, 석유연구소, 지질조사연구소, 임학연구소(林學硏究所) 등 많은 고등학문연구기관들이 있다.

칭화대학교
칭화대학교

중국과학회는 중국에서 가장 뛰어난 연구소로 역시 이 구역 안에 있다.

문화

문화생활

베이징은 명대 이래로 전통적인 중국 문화와 학문의 최고 중심지였다. 황제와 궁정귀족들은 예술, 특히 회화와 서예를 후원했으며, 다른 지방과 외국으로부터 들여온 귀중한 물건들이 모두 수도로 쏟아져 들어왔다. 비록 19세기 중엽에 시작된 정치적·사회적 대격변으로 인해 베이징에 전반적인 문화의 침체가 찾아왔지만, 문화 중심지로서의 역할은 청대에도 계속되었다. 이 문화 침체는 현대로 이어졌으며, 베이징뿐만 아니라 중국 전역에 걸쳐 확산되었다.

1949년 공산당에 패한 국민당은 엄청난 양의 보물급 예술품들을 타이완으로 실어 날랐다. 한편 본토에서 패권을 차지한 공산당 정권은 많은 가정에 상속되어 내려오던 가보들을 헐값에 사들여 외국에 팔거나 박물관을 채웠다. 1960년대초까지 중국공산당은 전통예술·수공예·학문 들을 장려했으나, 문화대혁명은 그 이전 시기의 모든 것들을 일소해버렸다. 그러나 1970년대말에 이르러 중국정부는 훼손된 보물들을 복구하고, 전통예술과 학문을 되살리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이 모든 사건이 베이징에서 일어났기 때문에 베이징은 현재 문화부흥기를 겪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박물관·도서관

귀중한 국보급 예술품들을 가장 많이 모아둔 구궁 박물관[故宮博物館]은 옛 황궁의 주요건물들을 개장한 것이다. 톈안먼 광장 동쪽에 있는 중국역사박물관은 50만 년 전의 인류인 베이징 원인에서부터 근대의 5·4운동에 이르기까지 6,000여 년에 걸친 중국 역사의 발전을 보여주는 많은 사료들이 진열되어 있다.

중국혁명박물관은 19세기 중엽 이래의 중국 역사에 관한 사료들을 전시하고 있는데, 특히 혁명운동과 공산당의 활약상을 강조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베이징 천문관은 전시·공개토론·사진·투영기를 통한 실물 설명, 망원경 관찰 등을 통해 천문학과 자연과학에 관계된 일반지식을 보급하는 학문의 중심지이다. 중국 국립도서관의 역사적 소장도서들을 보관하고 있는 베이징 도서관은 베이하이[北海] 서안에 있다. 이 도서관은 황실도서관이었던 문연각의 서적·필사본·공문서 등을 비롯해서 청대 황실도서관, 여러 황실대학, 개인이 소장하고 있던 책 등을 보관하고 있다.

경극
경극

베이징의 전통 가극이라고 할 수 있는 경극은 문화대혁명 기간에 그 형식을 현대의 혁명적 주제에 맞춰 변화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그후 고유의 모습 그대로의 경극이 되살아났다. 경극은 나이든 사람들에게는 대단한 인기를 얻고 있지만, 젊은이들은 영화·텔레비전·대중음악을 더 선호하고 있다.

오늘날 베이징에서는 다양한 뮤지컬 공연이 이루어지며, 교향악단과 서양식 오페라단 및 발레단이 있다. 또한 외국 악단과 연주자들의 초청 공연을 주최하기도 한다. 다양한 중국 전통극들이 해마다 공연되며, 셰익스피어를 비롯한 다른 서양 극작가들의 작품이 베이징에서 공연되고 있다.

역사

초기의 제국

베이징은 약 700년간 거의 중단 없이 중국 수도의 자리를 지켜왔다.

단지 산시 성[陝西省]의 장안(長安)과 허난 성[河南省]의 뤄양[洛陽]만이 베이징이 제국의 수도로 있던 장구한 세월과 맞먹을 수 있을 것이다. 선사시대에 베이징 주변지역은 최초의 인류들이 살고 있었다. 1918~39년 50만 년 전에 살았다고 하는 베이징 원인과 5만 년 전에 생존했던 상동인(上洞人)의 화석이 베이징에서 남서쪽으로 약 48km 떨어진 저우커우뎬에서 발견되었다.

 저우커우뎬(Chouk'outien)
저우커우뎬(Chouk'outien)
두개골 화석
두개골 화석

베이징 초기 역사의 상당한 기간이 공백으로 남아 있을 수밖에 없지만, 약 3,000년 전에 현재 베이징이 들어서 있는 지점 또는 그 근처에 신석기시대의 공동체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확실하다.

전국시대(BC 475~221)에 강력한 제후국 가운데 하나였던 (燕)은 계(薊)라고 하는 도읍을 이곳에 세웠다. 이것이 베이징 지역에 들어섰던 최초의 수도이다. 이 도시는 (秦:BC 221~206) 제국을 세운 시황제(始皇帝)의 군대에 의해 파괴되었다.

진은 당시 전국을 36군(郡)으로 분할하고 연경(燕京)을 그중의 하나로 합병했다. 대(漢代:BC 206~AD 220)에는 광양군(廣陽郡)에 속한 계현이라는 새로운 도시가 세워졌다. 한대 동안과 그뒤로 이어진 혼란의 시대에도 이곳은 계속 수도의 자리를 보전했다. 삼국시대(220~280)에 이 도시는 다시 연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고대 중국의 북쪽 경계는 현재 베이징의 위치에서 가까웠기 때문에 북쪽의 유목민족들이 자주 국경을 넘어 쳐들어왔다.

따라서 나중에 베이징이 된 지역은 지방의 정치 중심지로서뿐만이 아니라 전략적으로도 중요한 곳이 되었다.

약 300여 년 간(西晉 말기인 316/317년에서 隋 초기인 581년) 지금의 베이징이 들어선 지점을 포함한 북쪽 경계지역이 광범위하게 유목민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나라 때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이 지역은 한족에 의해 수복되었으며, 유주(幽州)라고 불리게 되었다.

당대 중엽 티베트의 탕구트족이 세운 서하(西夏)와 거란족의 침입으로부터 변경지방과 이곳을 보호하기 위한 조처들이 취해졌는데, 그결과 유주의 위치는 점차 중요해졌다. 당나라가 멸망하자 중국 북부에 수많은 나라들이 세워졌는데, 그 가운데 한 나라가 거란족에 의해 세워졌다. 그들은 유주를 파괴한 뒤 (遼:947~1125)를 세우고 거의 같은 위치에 그들의 수도 가운데 하나를 정했다.

그들은 자신들의 본거지인 만주의 수도들과 구분하기 위해 이곳의 수도를 남경(南京)이라고 불렀다. 요의 수도는 둘레 23km, 높이 10m의 네모난 성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성은 8개의 문이 있었고 중앙의 황궁을 에워싸고 있었는데, 이것은 중국의 도시계획에 강한 영향을 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12세기 중엽에 이르러 헤이룽 강[黑龍江] 유역에서부터 남하한 여진족(女眞族)이 요나라를 멸하고 (金)나라를 세웠다.

요의 수도는 중도(中都)라는 이름의 새로운 금의 수도로 재건되었다. 여진족이 세운 금의 지배하에서 중도는 대규모로 건설되었고, 궁전과 궁실들이 화려하게 꾸며졌다. 1211~15년 칭기즈 칸이 이끄는 몽골족이 중도를 금으로부터 빼앗았다. 이때의 전쟁에서 중도의 궁전들은 불타버렸다.

칭기즈 칸의 초상
칭기즈 칸의 초상

칭기즈 칸의 후계자 쿠빌라이 칸(1215~94)이 중국 전역을 차지한 뒤 나라를 세웠다. 그는 몽골 땅에 있는 원래 수도 카라코룸(하라호름)을 버리고 베이징에 새 수도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1271년 그는 새 수도를 대도(大都)라고 이름지었다. 몽골족의 지배하에서 베이징은 처음으로 중국 전역을 포괄하는 정치 중심지가 되었다.

이전의 위치에서 약간 북동쪽에 재건된 대도는 역대의 어떤 도시보다도 큰 규모로 건설되었는데, 외성의 길이가 30km 정도였으며 52㎢가 넘는 지역을 에워싸고 있었다.

지금의 위치보다 약간 서쪽에 있던 황궁은 도시의 남쪽 절반을 차지하는 크기였다. 그당시 으뜸가는 궁전 건축가는 쿠빌라이 칸이 임명한 아랍인이었다. 대도는 원대의 웅장하고 다양한 건축을 보여주는 본보기이다. 4각형의 성벽과 12개의 성문은 중국식 설계를 본떠 만들었으나 실내와 주거공간은 대체로 몽골 또는 중앙 아시아의 양식으로 만들었다. 양쯔 강 이남의 지역에서 공물로 걷어들인 쌀을 베이징 성 안의 새로운 인공호수까지 운반하기 위해 운하(퉁후이[通惠] 운하)를 파서 대운하와 연결시킨 것도 바로 이 시기의 일이다.

성장의 세기

14세기 중엽 주원장(朱元璋)이 이끈 농민봉기가 몽골 제국을 쓰러트렸다.

주원장은 (1368~1644)을 세우고 홍무(洪武)라는 연호로 등극했다. 그는 안후이 성[安徽省]에 있는 자기 고향 근처의 금릉(金陵)으로 수도를 옮기고 난징[南京]이라고 이름지었다. 베이핑으로 개명된 대도는 주원장의 넷째 아들인 연왕(燕王)이 다스렸다. 주원장이 죽고(1398) 그의 손자가 제위를 계승하자, 베이핑을 다스리던 연왕(뒤의 永樂帝)이 조카를 폐하고 스스로 제위에 올랐다.

그결과 1403년 베이핑을 베이징으로 개명하고 공식적인 명의 수도로 삼았다. 명대에 베이징은 원대보다 더 큰 규모로 발전했다. 옛 성벽과 지금까지 남아 있는 해자·궁전·사찰 등은 대부분 15세기에 지어진 것이다. 전대의 수도 대도는 크게 파괴되었으며, 그보다 남쪽에 새 수도가 세워졌다. 1553년 점차 늘어나는 시 외곽의 인구를 수용하기 위해 외성을 쌓기 시작했으나 공사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엄청난 비용이 든다는 것을 곧 알게 되었기 때문에 이 계획은 남쪽 성벽만을 완성한 채 중지되었다. 따라서 오늘날과 같은 모습의 옛 성곽이 된 것이다.

원대에는 곱게 간 흙으로 성벽을 만들었으나, 명대에는 풍화작용을 막기 위해 겉에 벽돌을 덧대었다. 1644년 농민봉기를 이끈 이자성(李自成)이 베이징을 점령했으나 40여 일 만에 만주족에게 빼앗겼다. 만리장성 남쪽에서 총공격을 준비하고 있던 만주족은 성문을 열어준 명나라 장군의 배반 덕분에 손쉽게 베이징을 차지했다. 그해에 (1644~1911/12)의 3대 황제인 순치제(順治帝)는 베이징을 수도로 선포했다.

베이징은 청대 내내 같은 모습을 유지했다. 비록 서쪽 성벽 밖에 많은 궁전·사찰·부속건물, 특히 17세기에 지어진 원명원(圓明園), 19세기에 지어진 이허위안 등의 새로운 건물이 추가되었으나 도시구조는 변함이 없었다. 원명원은 아편전쟁 기간(1856~60)인대 1860년에 영국-프랑스 연합군에 의해 전소되었다.

같은 해에 톈진 조약의 결과로 상설 영국대사관이 세워졌고, 궁전 지역의 남동쪽에 영국 및 다른 나라의 공사관이 세워졌다. 1900년 이 공사관은 의화단운동으로 거의 2개월 가까이 포위되었다.

지금의 베이징을 살펴보면 1911년 신해혁명 이후, 베이징은 국민당이 난징으로 천도한 1928년까지 중화민국의 정치 중심지로 남아 있었다. 난징으로 천도했을 때 다시 베이핑으로 이름이 바뀐 베이징은 1931년 만주에 괴뢰정권 만주국을 세운 일본에 의해 점점 더 큰 압박을 받고 있었다.

1937년 7월 베이징 남서쪽에 있는 루거우차오[蘆溝橋] 부근에서 일본군과 중국군이 충돌한 사건이 일어났다(→ 루거우차오 사건). 곧이어 베이핑은 일본에 점령되어 1945년까지 지배를 받았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베이핑은 국민당에게 반환되었다. 그후 잇달아 일어난 내전에서 국민당은 공산당에게 패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의 수립으로 베이징은 옛 이름을 회복하고, 새 정부의 수도로 선택되었다.

베이징은 곧 중국 전체의 정치·재정·문화 중심지로서의 위치를 회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