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기의 구조

사랑기의 구조

요약 사랑기(Sārangī)는 인도 북부 지방을 비롯한 남아시아 일대에서 연주되는 찰현 악기의 일종이다. 본체는 한 통의 나무를 깎은 것으로 울림통(body), 목(neck), 머리(head)로 구성되어 있고 힌디어로 각각 페트(pet), 차티(chhati), 디막(dimag)이라 불리기도 한다. 현은 3~4개의 연주현과 30~40개의 공명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주현은 거트(gut), 공명현은 강철이나 구리 소재로 되어 있다. 활은 가즈(gaj) 혹은 카마니(kamani)라 불리며 단단한 나무와 말총으로 만든다.

사랑기의 본체는 한 통의 나무 속을 비우고 깎아서 만든다. 사랑기를 만들 때 사용하는 목재는 마호가니의 일종인 툰나무(tun)가 가장 일반적이며 티크나무나 망고나무로도 만드는데, 악기로 만들기 전에 최소 1년 이상 건조시킨 것이어야 한다. 크기는 사랑기의 종류에 따라 다소 다른데 북인도 지방의 고전적인 사랑기를 기준으로 했을 때 길이가 65cm 내외, 폭은 15cm 내외인 것이 보통이며 무게는 2kg 가량이다.

사랑기의 구조는 울림통(body), 목(neck), 머리(head)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울림통은 앞면이 평평하고 뒷면이 둥근 형태이다. 목에는 프렛(fret)이 없으며 수많은 공명현(sympathetic string)이 측면과 정면에 배열되어 있다. 머리에는 연주현의 줄감개와 목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나머지 공명현의 줄감개가 두 편으로 나뉘어 위치해 있다.

사랑기에는 세 개의 브리지(bridge)가 있다. 사랑기의 모든 현을 지탱하는 하나의 주 브리지가 울림통 위에 있고, 각각 6~7개 가량의 공명현을 지탱하는 브리지 한 쌍이 머리에 위치하는데 공명현의 브리지는 악기에 따라 생략하기도 한다.

사랑기의 현은 연주자가 활(bow)을 그어서 연주하는 연주현, 연주현이 울릴 때 함께 울리는 공명현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주현은 세 줄이 흔하나 네 줄인 경우도 있다. 공명현은 35줄 내외로 악기마다 그 개수가 조금씩 다르다.

사랑기를 연주하는 활은 손잡이 부분에 가까운 아랫부분이 볼록한 형태이며 길이는 70cm 가량이다. 활대는 딱딱한 나무 막대로 만들고 활털은 말총으로 되어 있다.

사랑기의 구조

사랑기의 구조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Staatliche Museen zu Berlin) 소장
MIMO, Inventory Number VII c 620 a,b>

1. 울림통(Resonator)

사랑기의 울림통은 정면에서 보면 모서리가 둥근 직사각형 모양이며 허리는 굴곡져 있다. 오른편의 굴곡이 좀 더 깊게 들어가 있는 형태가 많은데 이러한 형태는 배 위로 연결된 목의 왼편에 여러 개의 줄감개가 달려 있다 보니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울림통의 내부에는 줄걸이(stringholder)에 연결된 현의 장력을 버티기 위한 장치들이 숨어 있다. 먼저 나무 막대를 세로로 세워 넣어서 악기의 강도를 높였고, 줄걸이의 윗부분이자 배의 바닥 부분은 3~4cm 가량의 두께로 두껍게 만드는데 이 부분을 '개머리판'(butt plate)이라 부르기도 한다.

줄걸이(Stringholder, Targahan)
줄걸이는 배의 맨 아랫부분 가운데를 길고 네모난 선반 모양으로 깎아 만든 부분이다. 40여 개쯤되는 현이 줄걸이에 뚫은 구멍을 통과해 브리지로 연결되기 때문에, 현의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줄걸이에 뼈나 금속으로 얇게 만든 판을 덧입혀 튼튼하게 만든다. 한편 줄걸이가 줄과 지판의 간격을 적절히 두도록 만드는 줄베개의 역할 또한 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힌디어로 줄베개를 뜻하는 '타르가한'(targahan)이라 부르기도 한다.

공명판(Soundboard, Chamara)
공명판은 배의 앞면에 뚫려 있는 구멍을 염소 가죽으로 된 양피지로 감싸서 만들며 힌디어로는 '가죽'(hide)을 뜻하는 '차마라'(chamara) 혹은 '칼'(khal)이라고 부른다.

벨트(Belt, Tasma)
벨트는 공명판의 중앙에서 조금 아랫부분, 허리에서 다소 넓어지는 부분을 가로 방향으로 둘러싼 두꺼운 가죽을 지칭하며 힌디어로는 '타스마'(tasma), 혹은 '파띠'(patti)라고 한다. 벨트는 배를 둘러싼 공명판의 양쪽 측면에 못으로 박혀 있다. 벨트는 브리지가 받히고 있는 현의 장력이 공명판에 큰 압력을 가하는 것을 막기 위해 브리지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브리지(Bridge, Ghoraj)
공명판 위에 있는 브리지는 힌디어로 '고라즈'(ghoraj), '구라츠'(ghurach)라고 부르며 사랑기의 모든 공명현과 연주현을 지탱한다. 브리지는 상아, 낙타나 버팔로의 뼈를 코끼리 모양으로 깎아 만들며 저렴한 악기일 경우에는 플라스틱으로 만들기도 한다. 연주현은 브리지의 위쪽에 걸쳐 있고, 공명현은 브리지에 수많은 구멍을 뚫어 관통하여 목(neck)에 있는 줄감개로 연결되어 있다.

사랑기의 울림통

사랑기의 울림통 스웨덴 공연 예술 박물관(Scenkonstmuseet) 소장
MIMO, Inventory Number M517>

2. 목(Neck, Chhati)

사랑기의 목은 '차티'(Chhati)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는 힌디어로 '가슴'이라는 뜻이다. 사랑기의 목은 울림통 위로 뻗어 있으며 올라갈수록 약간 좁아지는 사각 형태이다. 지판(fingerboard)이 되는 앞부분은 평평한 나무판으로 되어 있어 공명현이 목 측면과 정면에 각각 한 줄씩 배열되어 있다. 악기를 정면에서 봤을 때 측면의 공명현은 직선으로, 오른편의 공명현은 사선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모두 목의 뒷부분에 있는 줄감개에 연결되어 있다.

공명현의 줄감개는 목의 왼편에 수평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줄감개에는 목에 배열된 20개 내외의 공명현이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공명현과 연주현은 목을 거쳐 머리(head)에 위치한 줄감개에 감겨 있다.

지판(Fingerboard, Pathari)
사랑기의 지판에는 프렛(fret)이 없으며 테두리를 얇은 뼈나 상아 조각으로 세밀하게 장식하는 것이 보통이다. 값비싼 악기에는 지판 가운데에 물고기나 꽃 모양 장식을 박아 넣어서 악기를 아름답게 장식함과 동시에 지판이 닳지 않도록 만들기도 한다. 한편 목 내부에 공명현이 박혀 있는 자리마다 상아나 뼈로 만든 작은 구슬을 박아 넣어 그 안에 현을 통과시키는데 이 구슬을 '순다리'(sundari)라 부른다.

줄감개(Peg, Khuti)
줄감개는 사랑기를 정면에서 봤을 때 목의 왼편 내부에 세 줄로 정렬되어 있으며 보통 시샴나무(shisham)로 만든다. 힌디어로는 '쿠티'(khuti), 혹은 '쿤티'(khunti)라고 한다. 맨 위편에 있는 줄감개가 온음계로 조율된 공명현에 연결되며, 아래편에 있는 두 줄의 줄감개는 반음계로 조율된 공명현에 연결된다. 목의 내부로 연결된 공명현 외에 머리로 연결되어 있는 공명현은 머리 정면에 달린 줄감개에 연결되어 있다.

너트(Nut, Pilak)
목 위에 달린 너트는 연주현을 받치는 역할을 하며 힌디어로는 '필락'(pilak), 혹은 '아드'(ad)라고 한다. 6cm 내외의 길이로 뼈나 상아를 조각해서 만들며 목의 맨 윗부분이자 연주현의 줄감개 아래에 붙어 있어 연주현을 적당한 간격으로 받치고 있다.

사랑기의 목

사랑기의 목 스웨덴 공연 예술 박물관(Scenkonstmuseet) 소장
MIMO, Inventory Number M517>

3. 머리(Head, Dimag)

사랑기의 머리는 힌디어로 '디막'(dimag)이라고도 하며 이는 '뇌'라는 뜻이다. 머리는 목 위에 연결되어 있으며 아래에는 연주현의 줄감개집, 그 위로는 공명현의 줄감개집이 있다. 머리 하단, 즉 공명현의 줄감개집에는 아치 모양으로 두 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서 머리 내부에 있는 연주현의 줄감개가 보이고, 연주현의 줄감개집 위에는 공명현의 줄감개들이 정면으로 배치되어 있다.

줄감개집(Peg box)
사랑기의 머리에는 두 개의 줄감개집이 있다. 상부에 있는 줄감개집에는 9~12개 가량 되는 작은 줄감개들이 있는데 이 줄감개들은 공명현과 연결되어 있으며 줄감개가 악기의 정면을 향해 있다. 공명현의 줄감개집 아래로는 연주현의 줄감개집이 있으며 연주현의 줄감개는 공명현의 줄감개보다 훨씬 크고 머리의 양쪽 측면에 위치해 있다. 줄감개가 양편에 두 개씩 있는 경우에는 세 줄의 연주현에 더해서 한 줄의 드론현, 혹은 굵은 공명현이 연결되어 있다. 줄감개가 정면에서 볼 때 오른쪽 측면에 두 개, 왼쪽 측면에 한 개 있는 것은 세 줄의 연주현이 있을 때이다.

너트(Upper nut, Targahan)
머리에 달린 너트는 사랑기의 목에 있는 연주현을 받치는 너트와 구별하기 위해 '상부 너트'(upper nut)라 부르기도 하고, 타르가한이라 부르기도 한다. 이 너트는 공명현의 줄감개집과 연주현의 줄감개집 사이에 가로로 길게 위치해 있으며, 공명현이 너트에 뚫린 구멍 사이로 관통하여 양 옆에 놓인 두 편의 브리지 위에 놓이게 된다.

브리지(Bridge, Aankh)
공명현의 줄감개집 상단 양쪽에 달린 두 개의 브리지는 힌디어로 '눈'(eye)을 뜻하는 '앙크'(aankh)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평평하고 넓은 사각 형태이며 상아나 사슴뿔, 혹은 흑단 등의 목재로도 만든다. 상단의 줄감개로부터 연결된 긴 공명현이 이 브리지를 지나면 미세한 떨림이 일어나면서 인도 현악기 특유의 윙윙거리는 소리를 만들어 낸다. 이 소리를 '지바리'(jivari), 혹은 '자바리'(javārī)라고 하며 이러한 이유로 이 브리지를 '지바리 브리지'(jivari bridge)라 부르기도 한다. 사랑기 제작자들은 브리지의 평평한 표면에 약간의 능선이 생기도록 깎아서 브리지에서 일어나는 지바리를 극대화시킨다.

사랑기의 머리

사랑기의 머리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Staatliche Museen zu Berlin) 소장
MIMO, Inventory Number VII b 134 a,b>

4. 현(String)

사랑기의 현은 활을 그어 연주하는 연주현과 연주현의 진동에 공명하여 음을 내는 공명현(sympathetic string)이 있다. 연주현은 세 줄이 기본이나 종종 한 줄의 드론(drone)현이 포함되며, 공명현은 30개에서 40개까지 악기에 따라 개수가 다양하다.

연주현(Playing string)
전통적인 사랑기의 연주현은 굵은 거트(gut) 현으로 되어 있으며 주로 염소의 창자로 만들었다. 다섯 개에서 그 이상 되는 창자를 함께 감아 하나의 굵은 현으로 만들며 인도 북부에 있는 도시인 아그라(Agra)에서 만든 것이 유명하다. 그러나 최근에는 거트 현 대신 금속 재질의 현을 쓰는 경우도 흔하다.

드론현은 강철 소재로 되어 있으며 맨 왼편에 위치해 있다. 악기에 따라서 드론현이 없거나 드론현의 자리에 굵은 공명현을 두는 경우도 있다.

공명현(Sympathetic string, Tarab)
사랑기의 공명현은 힌디어로 '타랍'(tarab)이라 부른다. 공명현의 개수는 악기마다 다소 다른데 총 30개에서 40개에 이르며 35개인 경우가 흔하다. 공명현은 사랑기의 울림통 맨 아랫부분에 있는 줄걸이로부터 이어져서 네 개의 세트로 나뉘어 각각 목과 머리에 있는 줄감개에 연결되어 있다.

이 중 목에 달린 줄감개에 연결된 공명현은 목의 측면과 정면의 오른편에 배열되어 있다. 이 공명현들은 전통적으로 구리나 놋쇠 재질로 만들며 현의 지름이 0.4mm 가량 되는데 최근에는 0.3mm 가량으로 더 가는 강철 현을 사용하는 추세이다. 악기를 정면에서 봤을 때 목 정면 오른편에 대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현은 15개 내외이며 연주현 아래에 위치해 있다. 목 측면에 직선으로 배열되어 있는 현은 8~9개이다.

머리의 줄감개에 연결된 공명현은 주로 강철 소재로 만들며 낮은 음의 현은 구리 소재의 현을 쓰기도 한다. 각각 다섯 줄에서 여섯 줄, 여섯 줄에서 일곱 줄 가량의 세트를 이루어 너트를 통과하여 너트 하단에 있는 사각형의 브리지(앙크) 위에 놓인다.

사랑기의 현

사랑기의 현

5. 활(Bow, Gaj)

사랑기의 활은 힌디어로 '가즈'(gaj), 혹은 '카마니'(kamani)라고도 하며 길이는 사랑기와 비슷하게 70cm 가량 된다. 활대는 곧고 단단한 나무로 만들며 활털은 말총으로 만든다. 과거에는 활대를 흑단으로 제작하여 활이 무척 무거웠으나 오늘날에는 연주하기에 편안하도록 비교적 가벼운 시샴나무로 만들고 있다.

활털과 활대는 활 끝과 활 손잡이 부분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둥글게 휘어진 형태이다. 활대 끝에는 구멍을 뚫어서 활털을 꿰거나 구멍이 없는 경우에는 활대 끝에 활털을 묶어 고정시켜 놓는다.

활의 아랫부분에 붙어 있는 둥글게 휘어진 나무판이 활털과 활대를 연결하며 손잡이 역할을 한다. 손잡이와 활대 끝에는 굵은 실이 십자 모양으로 단단하게 묶여 있는 것이 전통적인 형식이며 이 매듭은 활털의 장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사랑기의 활

사랑기의 활 베를린 민족학 박물관(Staatliche Museen zu Berlin) 소장
MIMO, Inventory Number VII c 833 b>

참고문헌

  • Bor, Joep. " The Voice of the Sarangi." Quarterly Journal 15/3&4, 15/1(1986~1987).
  • ASIAN MUSIC CIRCUIT. "" YouTube(2012. 1. 5).
  • Courtney, David. "" CHANDRAKANTHA.COM.
  • Sarangi Music. "" YouTube(2020. 10. 13).
  • Vetter, Roger. "" grinnell college musical instrument collection.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INDIA INSTRUMENTS.
  • "" Victoria and Albert Museum.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연관목차

662/1344
사랑기의 구조 지금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