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미센의 연주

샤미센의 연주

요약 샤미센(三味線, しゃみせん)의 세 현을 조율하는 방식으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는데, 각 현의 음정 관계에 따라 '혼초시’(本調子, ほんちょうし), ‘니아가리’(二上り, にあがり), ‘산사가리’(三下り, さんさがり)라고 부른다. 과거에 구전으로 전해지는 경우가 많았던 샤미센 연주는, 서양의 ‘계이름’과 유사한 형태의 ‘쿠치쟈미센’(口三味線, くちじゃみせん) 기법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오늘날에는 샤미센 연주곡을 기보하기 위한 현대적 기보법을 고안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샤미센의 조율

샤미센 연주를 위한 조율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고, 곡의 종류에 따라 또는 곡을 연주하는 도중에도 변화시킬 수 있다. 기본 조율로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먼저 ‘혼초시’(本調子, ほんちょうし)는 첫째 줄을 기준으로 둘째 줄을 완전4도 높게, 셋째 줄을 옥타브 높게 맞추는 방식이다. 혼초시의 조율 방식에 따르면, 서양음계를 대입했을 때 첫째 줄이 C음일 경우, 둘째 줄은 F, 셋째 줄은 한 옥타브 위의 C가 된다.

두 번째 조율 방식으로 ‘니아가리’(二上り, にあがり)가 있다. 이 방식에 따르면 첫째 줄을 기준으로 둘째 줄을 완전5도 높게, 셋째 줄을 옥타브 높게 조율한다. 역시 첫째 줄의 음을 C음이라고 가정하고 서양음계에 대입하면 ‘C-G-C’의 순서가 된다. 이 조율은 사실상 혼초시의 방식에서 둘째 줄의 음만을 높이는 조율이기 때문에, ‘두 번째를 높인다’는 의미의 ‘니아가리’라는 명칭으로 부르게 되었다. 오키나와 현에서는 이 방식을 가리켜 ‘니아게’(二上げ)라고 칭하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산사가리’(三下り, さんさがり) 조율은 첫째 줄을 기준으로 둘째 줄을 완전4도 높게, 셋째 줄을 단7도 높게 조율한다. 혼초시 조율에서 셋째 줄의 음을 아래로 내리는 방식이기 때문에 ‘세 번째를 내린다’는 의미의 ‘산사가리’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오키나와에서는 ‘산사게’(三下げ)라는 명칭도 사용한다. 산사가리 조율을 서양음계에 대입하면 C-F-B♭의 음정이 된다.

이처럼 샤미센의 조율법이 여러 가지 방식을 따르는 것은 주로 서로 다른 조에 대응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고, 나아가 울림의 변화를 통해 분위기를 전환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현재에는 샤미센의 조율에 활용할 수 있는 전자 튜너(electronic tuner)도 판매되고 있다.

에도시대 화가 야시마 가쿠테이(八島岳亭, 1786~1868)가 19세기 초에 작업한 <샤미센 조율>(三味線の調弦)

에도시대 화가 야시마 가쿠테이(八島岳亭, 1786~1868)가 19세기 초에 작업한 <샤미센 조율>(三味線の調弦)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 소장

2. 샤미센의 연주법

샤미센은 방석을 깔고 바닥에 앉아 연주하거나, 팔걸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서 연주하는 경우가 많다. 악기의 목 부분에 해당하는 사오(棹) 부분이 두꺼운 ‘후토자오(太棹)’ 샤미센을 연주할 때에는 사오를 잡고 있는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왼손의 엄지와 집게 손가락 사이에 ‘유비스리’(指すり)라고 하는 천 조각을 덧대기도 한다.

샤미센을 연주할 때에는 기본적으로는 은행잎 모양의 피크(pick)에 해당하는 바치(撥)를 사용하는데, 연주하는 음악의 장르에 따라 바치의 형태나 크기에도 세부적인 차이가 있다. 바치를 손에 쥐는 방식 역시 연주 장르에 따라 조금씩 달라진다.

샤미센 연주에서 왼손의 움직임과 바치의 움직임을 통틀어 ‘테’(手, て)라고 한다. 테의 기본 동작은 연주할 때에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테(手) 연주법 기호

우츠(打つ, うつ)

바치를 사용해 현을 위에서부터 뜯는다.

없음

스쿠이(スクイ)

바치를 사용해 현을 뜯어 올린다.

하지키(ハジキ)

사오를 잡고 있는 왼손 손가락으로 현을 퉁긴다.

스리아게(すりあげ)

왼손으로 저음 위치를 누른 채로 고음 위치로 이동한다.

スリ(⌒)

스리사게(すりさげ)

왼손으로 고음 위치를 누른 채로 저음 위치로 이동한다.

오토시바치(おとし撥)

바치를 위쪽 현에서 아래 현을 향해 누르듯 연주한다.

オトシ

우치유비(うち指)

왼손 손가락으로 지판을 눌러 소리를 낸다.
여운으로 소리를 내는 느낌의 연주법

샤미센의 주요 ‘테’ 명칭과 연주법

샤미센 연주 모습(오른쪽)

샤미센 연주 모습(오른쪽)

한편 샤미센의 각 음은 글자로 표현되어 소리내어 읽거나 부를 수 있다. 이와 같은 체계를 가리켜 쿠치쟈미센(口三味線, くちじゃみせん)이라고 한다. 쿠치쟈미센은 특히 샤미센의 연주 내용을 악보 없이 구전의 방식으로 전할 때에 널리 사용되었다.

쿠치쟈미센의 음 읽기 방식은 서양음계의 각 음에 기호를 붙여 읽는 방식과 유사하다. 연주 관행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나타나기도 하고 엄격하게 정해진 원칙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샤미센 연주용 악보에 기보와 함께 병행 표기되기도 하므로 일반적인 내용들을 익혀두면 편리하다.

쿠치쟈미센 연주법
( )는 짧은 음 표현

톤(토) トン(ト)

바치

첫째 줄 또는 둘째 줄의 개방현 음

텐(테) テン(テ)

바치

셋째 줄의 개방현 음

돈(도) ドン(ド)

바치

첫째 줄의 개방현 음

츤(츠) ツン(ツ)

왼손+바치

첫째 줄 또는 둘째 줄의 위치를 누른 음

친(치) チン(チ)

왼손+바치

셋째 줄의 위치를 누른 음

론(로) ロン(ロ)

바치

첫째 줄의 개방현을 뜯어 올림(스쿠이 スクイ)

론(로) ロン(ロ)

왼손+바치

둘째 줄을 가볍게 퉁김(하지키 ハジキ)

룬(루) ルン(ル)

왼손+바치

첫째 줄의 위치를 누르고 뜯어 올림

룬(루) ルン(ル)

왼손+바치

둘째 줄을 뜯어 올림

렌(레) レン(レ)

바치

셋째 줄의 개방현 음을 뜯어 올림

렌(레) レン(レ)

왼손

첫째 줄의 개방현 음을 가볍게 퉁김

렌(레) レン(レ)

왼손

셋째 줄의 개방현 음을 가볍게 퉁김

린(리) リン(リ)

왼손+바치

셋째 줄의 위치를 누르고 뜯어 올림

린(리) リン(リ)

왼손+바치

셋째 줄의 위치를 누르고 가볍게 퉁김

치리 チリ

왼손+바치

셋째 줄을 검지로 누른 채로 약지로 현을 가볍게 퉁김

츠로 ツロ

왼손+바치

첫째 줄을 검지로 누른 채로 약지로 현을 가볍게 퉁김

스리 スリ

왼손+바치

바치로 현을 뜯어 올리고 나서 손가락으로 가볍게 퉁김

테리 テリ

왼손+바치

셋째 줄의 개방현 + 셋째 줄의 위치를 누르고 뜯어 올림

샹샹 シャン ジャン

왼손+바치

두 줄 이상의 현을 동시에 연주

쿠치쟈미센의 표기와 연주법

3. 샤미센의 악보

현재 샤미센 연주에 주로 사용되는 악보는 서양 기타의 타블라추어(tablature) 악보와 유사한 형태로, 악기의 현 수와 같은 세 줄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샤미센의 악보를 가리켜 일본의 한 출판사에서 내놓은 등록상표명인 ‘분카후’(文化譜, ぶんかふ)라는 명칭이 널리 쓰인다.

분카후에서는 맨 아래 선부터 순서대로 첫째 줄, 둘째 줄, 셋째 줄에 해당하며, 각 선에 표기되는 숫자는 지판에서의 손가락 위치를 나타낸다. 개방현을 나타내는 숫자로는 경우에 따라 0 또는 1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보만으로는 정확한 리듬을 알기 어렵기 때문에, 더 정확한 표기를 위해서 서양식 오선보와 함께 나란히 기보하는 경우도 있다.

그밖에 지우타 연주에서 널리 사용되는 세로쓰기 방식(縦書き枠式)의 연주용 기보를 활용하기도 한다. 여기에서는 셋째 줄의 손가락 위치는 아라비아 숫자로, 둘째 줄은 한자로, 첫째 줄은 한자에 사람인 변(イ)을 붙여 표기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 악보에서는 개방현에 0이 아닌 1을 사용하는데, 따라서 셋째 줄의 개방현은 ‘1’, 둘째 줄의 개방현은 ‘一’, 첫째 줄의 개방현은 ‘イ一’로 표기한다. 옥타브 위의 위치는 숫자 오른 쪽에 점(・)을 찍어 구분한다.

참고문헌

  • 기시베 시게오 외. 『일본음악의 역사와 이론』. 이지선 역주. 민속원, 2003.
  • 호시 아키라. 『일본음악의 역사와 감상』. 최재륜 역. 현대음악출판사, 1994.
  • 小島美子 外編. 『図説 日本の楽器』. 東京書籍, 1998.
  • 三木稔. 『日本楽器法』. 音楽之友社, 1996.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 “”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연관목차

678/1344
샤미센의 연주 지금 읽는 중